한시(246)
-
問來使(문내사)-陶淵明(도연명)
問來使(문내사)-陶淵明(도연명) 심부름 온 사람에게 묻다 爾從山中來(이종산중내) : 그대 산 속에서 왔으니 早晩發天目(조만발천목) : 아침늦게 천목산을 떠났겠네요 我屋南窓下(아옥남산하) : 우리 집 남쪽 창문 아래에는 今生幾叢菊(금생기총국) : 지금 몇 포기의 국화가 피었던가요? 薔..
2012.09.17 -
歸園田居3(귀원전거3) - 陶淵明(도연명)
歸園田居3(귀원전거3) - 陶淵明(도연명) 種豆南山下(종두남산하) : 남산 아래에 콩 심으니 草盛豆苗稀(초성두묘희) : 풀만 무성하고 콩 싹은 드물다 晨興理荒穢(신흥리황예) : 새벽 일찍 일어나 밭에 잡초 매고 帶月荷鋤歸(대월하서귀) : 달빛을 받으며 호미 메고 돌아온다 道狹草木長(도협..
2012.09.17 -
동천년로항장곡
충절시 - 상촌 신흠(象村 申欽) 桐千年老恒藏曲 (동천년노항장곡) 오동나무는 천년이 되어도 항상 곡조를 간직하고 梅一生寒不賣香 (매일생한불매향) 매화는 일생동안 춥게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다. 月到千虧餘本質 (월도천유여본질) 달은 천 번을 이지러져도 그 본질이 남아 있고 柳..
2012.09.17 -
도연명 - 世 外 桃 源
世 外 雲 山 好 溪 邊 草 屋 新 相 逢 煇 不 識 疑 是 避 泰 人 세상밖에는 운산이 아름답고 시냇가에는 초가집이 새롭구나 서로 만나도 전혀 알지 못하니 진나라를 피해온 사람인가 의심스럽다
2012.09.17 -
술을 마시고(飮酒)
술을 마시고(飮酒) - 陶淵明(도연명) - 結廬在人境(결려재인경) : 변두리에 초가집 지어 사니 而無車馬喧(이무거마훤) : 날 찾는 수레와 말의 시끄러운 소리 없다 問君何能爾(문군하능이) : 묻노라, 어찌 이럴 수 있는가 心遠地自偏(심원지자편) : 마음이 욕심에서 멀어지니, 사는 곳도 구..
2012.09.17 -
龐參軍(방참군) - 도연명(陶淵明)
龐參軍(방참군) - 도연명(陶淵明) 衡門之下(형문지하) : 지게문 밑에도 有琴有書(유금유서) : 거문고 있고 책도 있다네 載彈載詠(재탄재영) : 타기도 하고 읊조리기도 하며 爰得我娛(원득아오) : 내 즐거움으로 삼는다네. 豈無他好(기무타호) : 어찌 다른 좋은 일 없겠는가만 樂是幽居(락시..
2012.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