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기초書(117)
-
鵩鳥賦
鵩鳥賦 朝代:兩漢 作者:賈誼 原文: 單閼之歲兮,四月孟夏,庚子日斜兮,鵩集予舍。止於坐隅兮,貌甚閒暇。異物來萃兮,私怪其故。發書佔之兮,讖言其度,曰:“野鳥入室兮,主人將去。”請問於鵩兮:“予去何之?吉乎告我,兇言其災。淹速之度兮,語予其期。”鵩乃嘆息,舉首奮翼;口不能言,請對以臆: “萬物變化兮,固無休息。斡流而遷兮,或推而還。形氣轉續兮,變化而蟺。沕穆無窮兮,胡可勝言!禍兮福所依,福兮禍所伏;憂喜聚門兮,吉凶同域。彼吳強大兮,夫差以敗;越棲會稽兮,勾踐霸世。斯遊遂成兮,卒被五刑;傅說胥靡兮,乃相武丁。夫禍之與福兮,何異糾纆;命不可說兮,孰知其極!水激則旱兮,矢激則遠;萬物回薄兮,振盪相轉。雲蒸雨降兮,糾錯相紛;大鈞播物兮,坱圠無垠。天不可預慮兮,道不可預謀;遲速有命兮,焉識其時。 且夫天地爲爐兮,造化爲工;陰陽爲炭兮,萬物爲銅。合散消息兮,安有常則?千變萬化兮,未始有極,忽然爲..
2023.08.03 -
心經
송나라 진덕수(眞德秀)가 경전과 도학자들의 저술에서 심성 수양에 관한 격언을 모아 편집한 책. 내용 수록된 내용은 먼저 경전에서 뽑은 것으로 ≪서경≫(1장)·≪시경≫(2장)·≪역경≫(5장)·≪논어≫(2장)·≪중용≫(2장)·≪대학≫(2장)·≪예기≫ 악기(樂記)편(3장)·≪맹자≫(12장)의 29장이 실려 있고, 다음에 송나라 도학자들의 글로는 주돈이(周敦頤)의 <양심설 養心說>과 ≪통서 通書≫·<성가학장 聖可學章>, 정이(程頤)의 <사잠 四箴>, 범준(范浚)의 <심잠 心箴>, 주희(朱熹)의 <경재잠 敬齋箴>·<구방심재잠 求放心齋箴>·<존덕성재잠 尊德性齋箴>으로 7편이 실려 있다. 진덕수는 이 명문들에 송나라 유학자들의 논의들을 붙여서 주석으로 삼았으며, 자신의 <심경찬 心經贊> 1편을 덧붙였다. 1234년 ..
2023.02.21 -
小窗幽记
《小窗幽记》作者陈继儒(1558~1639),字仲醇,号眉公,松江华亭(今上海松江)人。 陈继儒自幼颖异,博学多通,尤工诗善文,书法苏米,兼能绘事,名重一时。二十几岁时,绝意科举,隐居于小昆山,后筑室东佘山,闭门著述。屡奉诏征用,皆以疾辞。其所作“或刺取琐言僻事,诠次成书,远近竞相购写”。陈继儒一生涉猎甚广,著述宏富,有《陈眉公全集》传世。 《小窗幽记》为陈继儒编著的修身处世格言,条条都是人生的回味和处世的领悟。体现了儒家修身、齐家、治国、平天下的积极人生态度,有兼容了佛家超凡脱俗和道家清静无为的智慧,历来被称为修身养、自我提升的佳作。 要处理好读书与人生的关系。书籍本身不可能改变世界,但是读书可以改变人生,人可以改变世界。读书关系到一个人的思想境界和修养,关系到一个民族的素质,关系到一个国家的兴旺发达。一个不读书的人是没有前途的,一个不读书的民族也是没有前途的。 ——温家宝 集醒篇 ..
2023.02.18 -
《陈情表》是西晋文学家李密
[原文] 陳情表 李密 臣密言:臣以險釁,夙遭閔凶。生孩六月,慈父見背;行年四歲,舅奪母志。祖母劉憫臣孤弱,躬親撫養。臣少多疾病,九歲不行,零丁孤苦,至於成立。既無伯叔,終鮮兄弟,門衰祚薄,晚有兒息。外無期功強近之親,內無應門五尺之僮,煢煢孑立,形影相弔。而劉夙嬰疾病,常在牀蓐,臣侍湯藥,未曾廢離。 逮奉聖朝,沐浴清化。前太守臣逵察臣孝廉;後刺史臣榮舉臣秀才。臣以供養無主,辭不赴命。詔書特下,拜臣郎中,尋蒙國恩,除臣洗馬。猥以微賤,當侍東宮,非臣隕首所能上報。臣具以表聞,辭不就職。詔書切峻,責臣逋慢;郡縣逼迫,催臣上道;州司臨門,急於星火。臣欲奉詔奔馳,則劉病日篤,欲苟順私情,則告訴不許。臣之進退,實爲狼狽。 伏惟聖朝以孝治天下,凡在故老,猶蒙矜育,況臣孤苦,特爲尤甚。且臣少仕僞朝,歷職郎署,本圖宦達,不矜名節。今臣亡國賤俘,至微至陋,過蒙拔擢,寵命優渥,豈敢盤桓,有所希冀!但以劉日薄..
2022.09.30 -
전서 천자문 2022.06.07
-
送孟東野序
08-11[고문관지(古文觀止)]11.送孟東野序(송맹동야서) 이 편은 고문관지(古文觀止) 제8권 ‘당문(唐文)’의 11번째 편으로 한유(韓愈)의 送孟東野序(송맹동야서)이다. 송맹동야서(送孟東野序)는 한유(韓愈)가 벼슬에 올라 떠나려는 맹교(孟郊)를 위로하며 쓴 글이다. 맹동야(孟東野)는 맹교(孟郊)이며 字가 동야(東野)이다. 46세에 뒤늦게 진사에 급제하여 50세에 율양현위(凓陽縣尉)가 되어 떠나는 맹교(孟郊)가 마음에 내키지 않는 것 같자, 역사적 인물들을 동원하여 그 치적에 대하여 논하고 어렵게 살아온 맹교에게 운명은 하늘에 달린 것이니 편히 직무에 임하라는 당부의 글이다. 또한 맹교와 이별을 아쉬워하면서 지은 시에 醉留東野(취류동야)가 있다. 11.送孟東野序(송맹동야서) 大凡物不得其平則鳴(대범물부득기..
202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