松浩書室(29)
-
출사표
先帝創業未半 而中道崩殂 今天下三分 益州疲弊 此誠危急存亡之秋也 然侍衛之臣 不懈於內 忠志之士 忘身於外者 蓋追先帝之殊遇 欲報之於陛下也 誠宜開張聖聽 以光先帝遺德 恢弘志士之氣 不宜妄自菲薄 引喩失義 以塞忠諫之路也 宮中府中 俱爲一體 陟罰臧否 不宜異同 若有作奸犯科 及爲忠善者 宜付有司 論其刑賞 以昭陛下平明之理 不宜偏私 使內外異法也 侍中侍郞 郭攸之 費褘 董允等 此皆良實 志慮忠純 是以先帝簡拔 以遺陛下 愚以爲 宮中之事 事無大小 悉以咨之 然後施行 必能裨補闕漏 有所廣益 將軍向寵 性行淑均 曉暢軍事 試用於昔日 先帝稱之曰能 是以衆議 擧寵爲督 愚以爲 營中之事 事無大小 悉以咨之 必能使行陣和睦 優劣得所也 親賢臣 遠小人 此先漢所以興隆也 親小人 遠賢臣 此後漢所以傾頹也 先帝在時 每與臣論此事 未嘗不歎息痛恨於桓靈也 侍中尙書 長史 參軍..
2024.10.10 -
사령운
사령운謝靈運(385년-433년)의 증숙조曾叔祖는 사안謝安, 조부는 사현謝玄인데, 역사상 유명한 비수淝水(안휘성安徽省에 있는 강) 전투의 지휘자였는데, 동진東晋 왕조를 보위하기 위해서 북방 이민족 병탄倂呑에 큰 공을 세웠다. 사령운은 그러한 혁혁한 가세에 힘입어 순조롭게 벼슬길을 밟았다. 그는 일찍이 조부의 “강락공康樂公” 작위를 세습하여, 17,8 살부터 벼슬길에 올랐다. 산수시山水詩를 처음으로 창조하다 사령운 때 동진東晋 왕조는 이미 숨이 곧 끊어질 듯이 간들간들한 상태에 처해 있었다. 동진안제東晋安帝 사마덕종司馬德宗은 원래 백치여서 실권은 모두 강한 병사를 보유한 대신들이 쥐고 있었다. 특히 장군 유유劉裕는 비록 한미한 집안 출신이지만, 여러 차례의 전쟁에서 점차로 실력을 장대하게 키웠다. 그는 황위..
2024.06.19 -
잠삼 위원외가화수가
○ 韋員外家花樹歌 - 잠삼(岑參) (서기715-770)의 시 두 편. 今年花似去年好 : 올해 꽃 지난해와 같이 아름다운데 去年人到今年老 : 지난해 왔던 사람 올해엔 늙었구나. 始知人老不如花 : 사람 늙는 거 꽃 같지 않음을 처음 알았으니 可惜落花君莫掃 : 애처로이 떨어진 꽃 그대여 쓸지 말게 君家兄弟不可當 : 그대 집 형제들 당할 수 없나니 列卿御史尙書郞 : 열경에 어사 상서랑이네. 朝回花底恒會客 : 퇴궐하면 꽃나무 아래에 언제나 손님들 모여 花撲玉缸春酒香 : 꽃잎 가득한 옥항아리의 봄 술이 향기롭네. 위 시는 위곡(韋曲)에 살았던 형제들의 우애를 노래한 시로 ‘花樹之樂’이란 사자성어가 전해진다. 위씨(韋氏)들이 친족을 모아 놓고 술을 마신 고사에 의해서 화수회(花樹會)라는 말이 생겼지만 처음 화수라는 ..
2024.06.19 -
雅言覺非 (序文)
아언각비(雅言覺非) 【정약용(丁若鏞)】 아언각비(雅言覺非)는 다산 정약용이 1819년에 펴낸 우리말 연구서이다. 이 책은 우리말 중에서 잘못된 연원을 따져서 백성들의 언어생활을 바르게하기 위하여 이치에 맞지 않고 와전된 말들을 찾아 그 잘못된 뜻과 확실한 용례를 들어 설명한 국어책이다. 아언각비(雅言覺非)는 3권 1책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다산이 긴 유배생활을 마치고 양주의 집으로 돌아온 이듬해에 펴냈으니 지금부터 200년 전이다. 아언(雅言)이란 말은 논어의 술이(述而)편에 나오는데, “공자께서 평소에 하신 말씀(子所雅言)은 시와 서(詩書)이며 몸가짐과 행동은 예를 지키는 것(執禮)이었으니 이 모두가 평소에 하시는 말씀(皆雅言也)이다”라고 하였다. 당나라 때 유학자 공영달은 이 ‘아언(雅言)’이란 말은..
2023.09.20 -
전국서원현황
1 보물 제210호 도산서원전교당(陶山書院典敎堂) 경북 안동시 안동시 2 보물 제211호 도산서원상덕사부정문및사주토병(陶山書院尙德祠附正門및四周土塀) 경북 안동시 안동시 3 보물 제350호 도동서원강당사당부장원(道東書院講堂祠堂附墻垣) 대구 달성군 서흥김씨종중(유림) 4 보물 제1402호 소수서원문성공묘(紹修書院文成公廟)경북 영주시 영주시 5 보물 제1403호 소수서원강학당(紹修書院講學堂) 경북 영주시 영주시 6 보물 제1569호 논산 돈암서원 응도당(論山 遯岩書院 凝道堂) 충남 논산시 돈암서원 ○ 사적(9개소) 1 사적 제55호 소수서원(紹修書院) 경북 영주시 영주시 2 사적 제154호 옥산서원(玉山書院) 경북 경주시 . 3 사적 제166호 무성서원(武城書院) 전북 정읍시 정읍시 4 사적 제170호 도산서..
2023.09.18 -
栁公權 - 66歲書《玄秘塔碑》 202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