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산행기(19)
-
遊漢拏山記 - 崔益鉉
유한라산기(遊漢拏山記) 최익현(崔益鉉) 고종(高宗) 10년 계유년(癸酉年) 겨울에, 나는 조정에 죄를 지어 탐라(耽羅)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하루는, 섬사람들과 산수(山水)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내가 말하기를, “한라산의 명승은 온 천하가 다 아는 바인데도 읍지(邑誌)를 보거..
2017.06.06 -
鄭忠弼: (1725∼1789)의 유속리산록(遊俗離山錄)
예약된 유람록 : 백불암 어른과의 약속 속리산은 한양에서 가깝기도 하고 산도 그리 험하지 않다. 또 많은 사람이 찾았고 남긴 유람록도 많으며, 전하는 유람록에 대한 소개도 많다. 그런데 많은 기록들 가운데 대부분의 작품들은 짤막한 글이며, 제법 긴 것들도 또한 소개됐다. 그중에 영..
2017.06.06 -
조선 선비의 산수기행
2016. 7 『조선 선비의 산수기행』은 정원림의 《동국산수기》 및 기타 몇 편의 산수유기 수작들을 저본으로 삼은 책으로, 조선 팔도의 명산 20곳을 담고 있다. 이 책의 편역자인 전송열, 허경진은 20편의 작품들을 사계절의 변화와 함께 산의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집필 시점을 기..
2017.06.06 -
서명응의 유백두산기(遊白頭山記)
서명응의 <유백두산기(遊白頭山記)> 글·사진 윤호진 경상대학교 한문학과, 남명학연구소장 기자의 다른 포토보기 백두산 생태와 감상, 동식물까지 묘사… 국방·국경 등에 대한 정보도 상세 소개 1. 유배(流配)인가, 유람(遊覽)인가? 민족의 성산(聖山)으로 인식되는 백두산(白頭山)..
2017.06.06 -
遊白頭山記 - 소재집(篠齋集) - 서기수(徐淇修)
유백두산기(遊白頭山記) 1. 갑산(甲山)에서 운총보(雲寵堡)까지의 기록 백두산(白頭山)은 땅 북쪽 끝에 있어서 우리나라 모든 산의 비조(鼻祖)가 됨이 중국의 곤륜산(崑崙山)과 같다. 진(秦)나라 때는 황복(荒服)에 예속되었고 사대부의 다녀간 흔적이 드물었다. 쫓겨 온 신하들이나 귀양 온..
2017.06.06 -
금강산화첩 - 김홍도
금강 사군첩(金剛四郡帖) 이 금강산화첩은 김홍도(1745~1806)가 44세 때 김응환(金應煥)과 함께 다닌 금강산 및 관동8경 지역을 그린 것이다. 김홍도는 여행에서 그려 온 초본(草本)에 의거해 채색횡권본(彩色橫卷本)과 화첩본(畵帖本, 5권 70폭) 두 가지를 정조에게 진상했다. 그 중 횡권본은 ..
2017.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