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72)
-
산과 관련 된 성어
-江山萬古主人物百年賓 (강산만고주인물백년빈) : 강과 산은 만고의 주인(主人)이요, 사람은 백년(잠시(暫時) 왔다가는)의 손님임. -江山之助 (강산지조) : 산수의 아름다운 풍경이 사람의 시정(詩情)을 도움. -江山風月 (강산풍월) : 자연의 아름다운 풍경. -江山風月主人 (강산풍월주인) : 산(江山)과 풍월(風月)을 차지한 주인(主人)이란 뜻으로, 경치(景致)가 좋은 산수(山水) 간(間)에서 욕심(慾心) 없이 즐겁게 살고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揭斧入淵 (게부입연) : 도끼를 들고 산으로 가지 않고 물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짓을 함을 이르는 말. -耕山釣水 (경산조수) : 산에서 밭을 갈고 물에서 고기를 낚는다는 뜻으로, 속세를 떠나 산중에서 농사를 짓고 사는 은둔 생활을 이르는 말. -孤..
2022.10.14 -
三伏天
삼복 더위가 시작 되는 날 초복(三伏)을 중국에서는 삼복의 시작이라고 하여 입복(入伏)이라고 합니다. 여름날 더위가 한창인 요즘을 가리켜 삼복천(三伏天)이라 하고 초복(三伏)을 삼복천(三伏天)의 시작이라하여 두복(头伏)이라고도 부릅니다. 중국 고대(古代) 『간지기일법(幹支紀日法)』에 의하면 매년(每年) 하지(夏至) 이후(以後) 세번 째 『경(庚)』자(字)가 들어있는 날이 초복(初伏)이고 네번 째 경일(庚日)은 중복(中伏)이며 입추(立秋) 후(後) 첫번 째 경일(庚日)이 말복(末伏)이다. 양력(陽歷)으로 계산(計算)할 경우 7 월 중순(中旬) 부터 8 월 중순(中旬) 사이에 삼복이 들어있으며 일년중(一年中) 가장 더운 시기(時期)이다. 속설(俗話)에『冷在三九,熱在三伏』。이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추위..
2022.10.14 -
초환유자문
산당집 제3권(山堂集卷之三) 1. 별집.(1) (1) 초환유자문.(2) 紅塵之間靑雲之上民巖崒嵂宦海洞盪爾何以峨冠振纓之士佩組搢笏之英鳧趨鳳殿之下虎拜龍樓之庭甘世上之彈雀忘身後之亡羊惟乘鶴之是悅豈烹狗之可傷忘身嗜利醉死夢生碌碌狐媚區區蠅營終身汩沒竟死何榮胡不返兮樂山水而放情爾若耕于萃野釣于渭濱樂天知命養性怡神於是國君聞之時相薦焉飾蒲輪以迎士築金臺以招賢飛鶴書於隴頭俾鳳鳴於北闕則宜乎飜然而自起囂然而自得謝靑鶴於猿嶺導白駒於鵷列朝附鳳於鸞樓暮逆鱗於龍閣致吾君於堯舜納斯世於雍穆遂使小民之生得蒙大道之澤是聖賢之所業宜君子之所欲今爾則不然乘時射利要君阿相趑趄於形勢之途囁嚅於公卿之門奔走於頤指之下含忍乎唾面之辱非三徵九辟之命而爭媚於竈懷千鍾萬石之寵而競進以入買富貴於黃昏驕妻子於白日隨行而旅進旅退模稜而患得患失鈇鉞在頸而不戒刀鋸觸項而莫察一資一級縱可得也三夷三族敢不惕哉念於爾而何利不自任其行..
2022.10.14 -
萬馬齊瘖
만마제음(萬馬齊瘖)’이란 ‘만 마리의 말이 일제히 울음을 그치다’라는 뜻입니다. 고요한 밤 아늑한 마을에서 한 마리의 개가 무엇을 보고 짖으면 온 동네가 시끄럽습니다. 다른 집의 개는 까닭도 모르면서 소리에 이끌려 짖는 ‘일견폐형 백견폐성(一犬吠形 百犬吠聲)’입니다. 한 사람의 의견에 따지지도 않고 우르르 몰리는 부화뇌동(附和雷同)의 군중심리를 나타냅니다. 반면 '도둑 한 놈에 지키는 사람 열이 못 당한다'는 말은 아무리 지키는 사람이 많아도 나쁜 일을 막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만 마리나 되는 많은 말(萬馬)이 일제히 울음을 그치고 벙어리가 된다(齊瘖)는 이 성어는 ‘사람들이 불의에 모두 입을 닫고 모른 체하는 것’을 비유합니다. 북송(北宋) 때의 문장가 소동파(蘇東坡, 1037~1101)가 쓴 ‘삼마도..
2022.10.14 -
抖擻
抖擻 두수 抖 떨 두 擻 버릴 수 뜻풀이부 1. 물건(物件)을 듦. 2. 정신(精神)을 차려 일어남. 3. 두타(頭陀). 두수 한시어사전 번뇌(煩惱)를 떨어 버림. 두타(頭陀). 탁발(托鉢). 頭陀第一是爲抖擻(두타제일시위두수 ; 두타의 첫째는 이곧 두수이다.) 抖擻辭貧里(두수사빈리 ; 탁발승은 가난한 마을에는 사양해 가지 않네.) 외국어 표기 抖擻(한자) 두수 시공 불교사전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dhuta 털어 버린다는 뜻. 외국어 표기 抖擻(한자) 동의어 두타
2022.10.14 -
흥~힐 단어 어휘
흥란 興闌 : 흥취가 다함. 흥융출호 興戎出好 : 입으로는 좋은 말을 하지만 서로 싸우는 것. [書大禹謨] ‘惟口出好興戎 朕言不再’ 희 犧 : 1. 희생 희. 宗廟之牲. 宗廟의 제사에 쓰는 순색의 몸이 온전한 犧牲. [書傳 微子] 2. 기를 희. 飼也. 宗廟의 祭祀에 쓰기 위해 가축을 기르다. [左傳 召公 22] 3. 술그릇 사. 酒尊名. 비취로 꾸민 제사에 쓰는 술그릇. [淮南子 俶眞] ‘百圍之木 斬而爲犧尊’ 희강 姬姜 : 1. 貴族의 여자를 말함. 姬는 周의 姓, 姜은 齊의 姓인데, 두 나라가 通婚한 데서 유래한 말임. 2. 미인의 凡稱. [任昉 王文憲集序] ‘室無姬姜 門多長者’ 희경 羲經 : 易經의 딴 이름. 伏羲氏가 周易의 八卦를 처음으로 만들었었다 하여 이르는 말. 희륜 羲輪 : 太陽. 羲陽. ..
2022.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