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14. 10:39ㆍ간찰용어
흥란 興闌 : 흥취가 다함.
흥융출호 興戎出好 : 입으로는 좋은 말을 하지만 서로 싸우는 것. [書大禹謨] ‘惟口出好興戎 朕言不再’
희 犧 : 1. 희생 희. 宗廟之牲. 宗廟의 제사에 쓰는 순색의 몸이 온전한 犧牲. [書傳 微子] 2. 기를 희. 飼也. 宗廟의 祭祀에 쓰기 위해 가축을 기르다. [左傳 召公 22] 3. 술그릇 사. 酒尊名. 비취로 꾸민 제사에 쓰는 술그릇. [淮南子 俶眞] ‘百圍之木 斬而爲犧尊’
희강 姬姜 : 1. 貴族의 여자를 말함. 姬는 周의 姓, 姜은 齊의 姓인데, 두 나라가 通婚한 데서 유래한 말임. 2. 미인의 凡稱. [任昉 王文憲集序] ‘室無姬姜 門多長者’
희경 羲經 : 易經의 딴 이름. 伏羲氏가 周易의 八卦를 처음으로 만들었었다 하여 이르는 말.
희륜 羲輪 : 太陽. 羲陽.
희름 餼廩 : 官廳에서 俸給으로 支給하는 糧食. 품삯.
희백 羲伯 : 堯임금 때 天地 四時를 맡아 보던 관원.
희부 犧賦 : 大夫가 祭祀에 쓰기 위하여 고을의 백성들에게 賦課하여 供出하게 하는 犧牲을 말하는데, 소나 양 등을 기르는 곳을 정해 두는 것이다. [禮記 曲禮 下]
희비사희 노비사노 喜非私喜 怒非私怒 : [禮記 樂記] ‘先王之喜怒 皆得其儕柴焉 喜則天下和之 怒則暴亂者畏之 先王之道 禮樂可謂盛矣’ 注 皆得其儕 言各從其類 喜非私喜 怒非私怒也.
희성 希聖 : 聖人을 본받음. 聖人을 思慕함. [范仲淹 上張右承書] ‘希聖者 聖人之徒也’
희수 喜壽 : 77歲. (日本)
희양 犧羊 : 제사에 쓰는 순색의 양.’
희양 餼羊 : 餼 보낼 희. 살아 있는 희생 희. 1. 告朔의 禮에 犧牲으로 쓰는 양. 2. 禮節과 儀式의 비유.
희우 犧牛 : 얼룩지지않은 소. 犧牲으로 쓰는 純色의 소를 말함. [禮記 曲禮下] ‘毛色 純而不雜曰 犧 養於滌者曰肥 求得而用之曰索’ ‘天子以犧牛 諸侯以肥牛’
희인 犧人 : 제사에 쓸 술과 단술을 맡아보던 벼슬. [國語 周上] ‘犧人薦醴’태위 太尉 : 三公의 하나로 軍事의 일을 맡음.
희천 希天 : 하늘의 德과 같이 되기를 바람. 道德 修養 등을 최고의 경지에 도달하게 하려함. [鶡冠者 泰鴻] ‘泰皇問泰一曰 天地人事 三者孰急 泰一曰 愛精養神 內端者 所以希天 天也者 神明之所根也’ 六佃注 內直者 與天爲徒. [張子 正蒙注 動物] ‘秩序人所必由 而推之使通 辨之使精 則存乎學問 故博文約禮 爲希天之始敎’
희현 希賢 : 賢人과 같이 되기를 바람. 현인을 본받음. [周敦頤 通書 志學] ‘聖希天 賢希聖 士希賢’[范仲淹 上張右承書] ‘希聖者 聖人之徒也’
희화 羲和 : 1. 羲氏와 和氏. 堯舜 때 天文學을 맡은 벼슬 이름. [書 堯典] ‘乃命羲和欽若昊天 曆象日月星辰 敬授人時’. 2. 太陽을 몰고 다니는 神. [楚辭 離騷] ‘吾令羲和弭節兮 望崦嵫而勿迫’. 3. 神話上의 太陽의 어머니. [山海經 大荒南經] ‘羲和者 帝俊之妻 生十日’.
희황 羲皇 : 伏羲氏.
희황상인 羲皇上人 : 太古 때의 백성. 俗世를 벗어나 한가로이 지내는 隱士를 말함.
희희 熙熙 : 1. 화목하고 즐거운 모양. 2. 번성한 모양. 3. 넓고 큰 모양. 4. 평이한 모양.
힐항 頡頏 ; 頡 새가 날아 오를 힐. 鳥飛而上. 頏 새가 날아 내릴 항. 1. 새가 날아 오르락내리락 하는 모양. [詩 邶風 燕燕] ‘燕燕于飛 頡之頏之’ 2. 서로 匹敵함. [晉書 92 文苑傳 序] 3. 剛直하여 남에게 굽히지 않는 모양. [淮南子 脩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