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72)
-
秋杪
늦가을. 만추(晚秋). 秋杪 : 가을의 말미로서 음력 9월을 가리킨다. 判讀文 (上略) 星紀再周, 渤海國大彛震遣司賓卿賀守謙來聘. 府選報復, 議 先會主, 假瀛州司馬, 朱衣使行. 癸丑秋, 方舟而東, 海濤萬里. 明 年秋杪, 達忽汗州, 州卽挹婁故地. 彛震重禮留之, 歲換而返. □王大 會, 以豊貨寶器名馬文革以餞之. 九年仲秋月復命, 凡所牋啓賦詩, 盈溢 緗帙. 又著渤海記, 備盡島夷風俗宮殿官品, 當代傳之. (下略) 省式 向往中 伏承問札 仍審秋抄政履萬福 昻慰區區, 이인엽(李寅燁), 21(禮)-282 秋抄欲登五臺中峯 仍之重泛鏡湖 而勝遊難再 第切毣毣, 윤순거(尹舜擧), 23-75 幽居深隱松岡上(유거심은송강상) 소나무 언덕 위에 조용히 살 터전을 마련하고 雨歇秋林鬱森爽(우헐추림울삼상) 비 그치니 가을 숲이 시원스레 탁 트였다...
2023.03.06 -
蘖氏求 卍氏求
흥겨울 때에 장단을 맞추며 변화 있게 내는 소리. 얼씨구 절씨구(孽氏求 卍氏求) 지하자 졸씨구( 至下者 卒氏求)’의 靈的인 解釋 얼씨구(孼氏求) 란? 우리나라의 가족사에 서얼(庶孼)이란 말이 있다. 서자(庶子)와 얼자(孼子)를 합친 말이다. 서자(庶子)는 양반의 남자가 양가나 중인의 여자를 첩으로 얻어 낳은 자식을 말하며 얼자(孼子)란 천민의 여자로부터 얻은 자식을 말한다. 그러니 천대받는 서얼(庶孼)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또 절씨구(卍氏求)란 절깐에서 씨를 구한다는 의미이니 중의 씨를 구한다는 뜻인데 당시 승려는 사노비(私奴婢)와 백정, 무당, 광대, 상여꾼, 기생(妓生), 공장(工匠)과 함께 팔천(八賤)이라 하여 천민(賤民)에서도 최하위 천민에 속해 있었다. 그래서 천민에 속해 있는..
2023.03.05 -
平壤
북한 학계는 부루나의 이두식 표기가 '평양(平壤)'[23]이라고 본다. 또 다른 별칭으로는 버드나무의 고장이라는 뜻의 유경(류경, 柳京)이 있다.[24] 류경호텔의 류경도 여기서 따온 명칭이다. 고려시대의 명칭에서 비롯한 서경(西京)이라는 역사적 표현도 있다. 평양(平壤)은 '밝은 나라', '광명의 땅'을 나타내는 우리 옛말 '바라나'의 한문표기이다. 바라나는 '바라=밝은(明)', '나=땅'을 의미한다고 에서 박병식 선생은 주장한다. 평(平)은 바라(밝), 부루(붉)를 나타내기 위하여 차용한 한자이다. 바라는 벌(原)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ㅂ이 ㅎ 으로 변하면서 일본어에서는 하라/하루/바루로 읽기도 한다. 양(壤)은 땅, 나(나라)를 의미한다. 나=내가 되어서 냇가를 뜻하는 천(川)을 사용해서 ..
2023.02.27 -
箕山之志
고대 중국의 허유가 기산에 숨어 절조를 지켰다는 이야기에서, 은둔하는 고결한 뜻을 이르는 말 중국 하남성(河南省) 등봉현(登封縣)의 동남쪽에 있는 산. 요(堯) 임금 때의 은자(隱者)인 소보(巢父)와 허유(許由)가 이곳에 숨어 살아 '기산지절(箕山之節)'ㆍ'기산지지(箕山之志)' 등의 고사가 전함. 굳은 절개 또는 절의. 굳은 절개나 신념에 충실함의 비유. 許由(허유)가 堯(요) 임금이 왕을 양위한다는 말을 듣고 귀가 더러워 귀를 씻고 기산에 은거 하였다는 옛일에서 온 말. 箕山之操(기산지조). 箕山之志(기산지지). 또는 許由巢父(허유소부). 越俎代庖(월조대포) 요리사가 요리를 잘못한다고 시동이나 시주가 술 단지와 고기 그릇을 들고 그를 대신할 수 없음. 직권을 벗어나 남의 일을 대신하거나 신분에 어긋나는..
2023.02.27 -
木瓜之報
木瓜之報 선물에대한 보답 선물로 주고 받는 물건. 『시경(詩經)』「위풍(衛風)」[목과(木瓜)]의 “나에게 목과를 던져 줌에 옥으로 보답하네(投我以木瓜 報之以瓊.)”라는 구절에서 온 말. 下惠珍墨 重此拜領 深荷垂眷 而弊邑殘陋 未有木瓜之報 一笑一歎, 박태보(朴泰輔), 21(禮)-272
2023.02.27 -
망휴한장도(莣畦寒螿圖)- 강세황
荒畦斷隴新霜後(황휴단롱신상후) 거친 밭 끊어진 두둑에 새로 서리가 내리니 瘦蝶寒螿晩景前(수접한장만경전) 파리한 나비와 울지않는 매미가 저녁 경치 앞이네. * 荒畦(황규) : 거칠어진 밭 * 晩景(만경) : ①해가 질 무렵의 경치(景致) ②철이 늦은 때의 경치(景致) * 前(전) : 1. 앞 2. 먼저 3. 미래(未來), 앞날 4. 미리, 앞서서, 사전에(事前-) 5. 거무스름한 빛깔 6. 가위 7. 앞서다 8. 나아가다 9. 인도하다(引導--) 10. 뵙다, 찾아뵙다 11. 소멸하다(消滅--) 12. 자르다 [출전] : 금말원초(金末元初) 원호문(元好問) 「야국좌주한한공명작(野菊座主閒閒公命作)」 [출전의 원문과 내용] 野菊座主閒閒公命作(야국좌주한한공명작) 야국좌주(강호의 시험관) 한한공의 명에 따라 지음..
2023.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