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72)
-
간찰 물목 양사 2023.05.22
-
지원 강세륜의 삶과 시문학
목차 책을 펴내며 5 제1부 생애 지원芝園 강세륜姜世綸의 삶과 배경 11 1. 연구사 검토와 서지사항 13 2. 가계家系와 삶의 행적 20 2-1. 가학家學의 전승傳承과 수학기修學期(1세∼22세) 20 2-2. 관직官職과 사환기仕宦期(23세∼62세) 60 2-3. 상주尙州에서의 만년기晩年期(63세∼82세) 71 3. 근기近畿와 영남嶺南 남인南人과의 문학적 교유 81 제2부 상주 시사詩社와 낙강선유시회洛江船遊詩會의 전통 105 1. 계회활동契會活動과 영남동도회嶺南同道會 107 2. 낙강시회洛江詩會의 전통과 추수사秋水社의 결사結社 120 3. 죽우사竹雨社의 활성과 「죽우사시집竹雨社詩集」의 성과 129 4. 열운사悅雲社와 「낙유첩洛遊帖」, 선유문학船遊文學의 시맥 139 제3부 한양 「한경잡영漢京雜詠」과 한양의..
2023.04.18 -
雁塔题名
[성어] 진사가 되어 안탑에 이름을 써 넣다. [당대(唐代)에 새로 진사가 된 사람은 곡강(曲江)에서 벌어진 연회가 끝난 뒤, 안탑에 자기 이름을 써 넣는 관습이 있었음] 백거이가 과거에 급제한 후 대안탑에 주필로 “ 慈恩塔下題名處 十七人中最少年”시구를 남김. 당나라 시대에 새로이 진사가 된 사람은 곡강이라는 곳에서 축하 연회가 있었고 그 연회가 끝난 뒤 안탑에 자신의 이름을 써 넣는 관습이 있었다. [■안탑제명(雁塔題名-기러기 탑에 명패)이란 고위 벼슬아치를 일컫는 말인데 보통 재관(財官)이나 재살(財殺)을 기뻐하는 명(命)을 가리키는 말이다.] 현장과 대안탑 진사시험 합격을 題名이라하였는데 안탑제명이 유명하다.
2023.03.31 -
田家 朴趾源
翁老守雀坐南陂(옹로수작좌남피) 늙은 노인 참새 쫓느라 남녘 둑에 앉았는데 粟拖狗尾黃雀垂(속타구미황작수) 개꼬리 같은 조 이삭에 노란 참새 매달렸네 長男中男皆出田(장남중남개출전) 큰아들 작은아들 모두 다 들에 나가니 田家盡日晝掩扉(전가진일주엄비) 농삿집 온종일 낮에도 문 닫겼네 鳶蹴鷄兒攫不得(연축계아확부득) 솔개가 병아리를 채려다가 빗나가니 群鷄亂啼匏花籬(군계란제포화리) 호박꽃 울타리에 뭇 닭이 꼬꼬댁거리네 小婦戴棬疑渡溪(소부대권의도계) 젊은 아낙 바구니 이고 시내를 건너려다 주춤주춤 赤子黃犬相追隨(적자황견상추수) 아이와 누렁이가 줄지어 뒤따르네 〈감상〉 이 시는 농촌의 풍경을 핍진(逼眞)하게 그려내고 있다. 연암은 아들 박종간(朴宗侃)이 「후지(後識)」에서, “시는 고체시와 금체시를 합하여 모두 42수이..
2023.03.26 -
송시열,송준길 간찰
송시열,송준길 간찰
2023.03.23 -
송시열 간찰 2023.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