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夫(78)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24
(제25면) 獨立不懼 遯世无愚 [글자의 원문과 내용] 獨立不懼(독립불구) 홀로 서 있어도 두렵지 않고 遯世無愚(둔세무우) 세상과 멀리 있어도 어리석지 않다. [출전] : 『주역(周易)』 제28괘 택풍대과(澤風大過) 상사(象辭) [출전의 원문과 내용] 象曰 澤滅木大過 君子以獨立不懼 遯世..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23
(제19면) 日暮長江更遠山遠山 (제20면) 衹在有無間不須極目 (제21면) 增惆悵且看漁舟近往 (제22면) 還舟泊谿頭夢不成忽 (제23면) 聞雲裡數鐘聲起來共 (제24면) 倚松梧影夜半月明潮 (제25면) 未平 [글씨의 원문과 내용] 日暮長江更遠山(일모장강갱원산) 해 저무는 장강은 먼 산이 이어졌는..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22
(제15면) 常棣之華 鄂不韡韡 凡今之莫(如) 人兄弟 脊隝在原 兄弟急難 每有良朋 (제16면) 況也永歎 兄弟鬩于 牆外禦其 務每有良 朋烝也無 戎 (제17면) 喪亂既平 既安且寧 雖有兄弟 不如友生 妻子好合 如鼓琴瑟 (제18면) 兄弟既翕 和樂且湛 常棣五章 鍾岳西舍寫 [글자의 원문과 내용] 常棣之..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21
(제11면) 伐木丁丁鳥鳴嚶嚶出自幽谷遷于 (제12면) 喬木嚶其鳴矣求其友聲相彼 (제13면) 鳥矣猶求友聲矧伊人矣不求 (제14면) 友生神之聽之終和且平 書與 [글자의 원문과 내용] 伐木丁丁(벌목정정) 鳥鳴嚶嚶(조명앵앵) 쩡쩡 나무를 베는데, 짹짹 새가 울더니 出自幽谷(출자유곡) 遷于喬木(천..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20
(제9면) 萬象皆 (제10면) 春氣孤槎自客星 [글씨의 원문과 내용] 萬象皆春氣(만상개춘기) 만물의 모습이 모두 봄기운인데 孤槎自客星(고사자객성) 외로운 뗏목은 객성 때문이네. * 客星(객성) : 중국 고대에 신성(新星)과 혜성(彗星)을 가리키던 말 [출전] : 두보(杜甫), 숙백사역(宿白沙驛 ; 백..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19
(제7면) 顯諸仁藏諸用鼔萬物 (제8면) 而不與聖人同懮盛德 (제9면) 大業至矣哉 [글자의 원문과 내용] 顯諸仁 모두 인(仁)으로 드러나고 藏諸用 모두 작용 속에 숨어 있으면서 鼓萬物 만물을 부추기나 而不與聖人同憂 성인과 함께 근심하지 않으니 盛德大業至矣哉 크고 훌륭한 덕을 크게 이..
2018.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