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夫(78)
-
錦囊經 上
錦囊經 上 금낭경 상 제1 기감편(氣感編) 葬者乘生氣也. 五氣行乎地中. 人受體於父母, 本骸得氣, 遺體受蔭. 장자승생기야. 오기행호지중. 인수체어부모, 본해득기, 유체수음. <역> 장사(葬事)는 생기(生氣)를 받아야 한다. 오기(五氣)가 땅속으로 흐른다. 사람은 부모로부터 몸을 받고, ..
2018.10.01 -
靑烏經
靑烏經 盤古渾淪, 氣萌大朴. 分陰分陽 爲淸爲濁, 生老病死 誰實主之, 無其始也. 無有議焉,반고혼윤, 기맹대박. 분음분양 위청위탁, 생노병사 수실주지, 무기시야. 무유의언, 不能無也. 吉凶形焉. 曷如其無, 何惡其有.불능무야. 길흉형언. 갈여기무, 하오기유. <역>반고(태고)의 혼돈 상..
2018.10.01 -
[스크랩] 몽유도원도13 - 강석덕(姜碩德)
몽유도원도13 - 강석덕(姜碩德) 강석덕(姜碩德): 태조 4년 ~ 세조 5년 (1395 ~ 1459) 자는 子明, 호는 玩易齋. 본관은 晉州, 淮伯의 아들로 蔭補로써 啓聖殿直된 이후 知楊根郡事가 되어 선정을 베풀고 그 공으로 仁壽府少尹에 발탁되었다. 태종 16년(1416)에는 工曹佐郞이 되었으나, 그 해 千秋使..
2018.05.01 -
[스크랩] 몽유도원도 14 - 정인지 (鄭麟趾) 편
몽유도원도 14 - 정인지 (鄭麟趾) 편 정인지(鄭麟趾) : 태조 5년 ~ 성종 9년 (1396 - 1478) 자는 伯휴, 호는 學易齋, 본관은 河東,. 石城縣監 흥인의 아들로 태종 14년 (1414년) 式年文科에 급제하여 禮賓主簿. 司憲監察 등을 지내고, 세종조에 집현전학사로 등용되어 應敎, 直提學에 올랐다. 세종 9..
2018.05.01 -
[스크랩] 몽유도원도 15 -박연 (朴堧)편
몽유도원도 15 -박연 (朴堧)편 박연(朴堧) : 우왕 4년 ~ 세조 4년 (1378 - 1458) 初名은 然, 자는 탄부(坦夫), 호는 蘭溪, 본관은 밀양 三司左尹 天錫의 아들로 태종 5년(1405) 文科에 급제하여 集賢殿校理, 持平, 文學을 역임하였다. 세종이 즉위하면서, 악학별좌(樂學別坐)에 임명되어 악기의 調律..
2018.05.01 -
[스크랩] 몽유도원도24-근보 성삼문(謹甫 成三問)편
몽유도원도24-근보 성삼문(謹甫 成三問)편 성삼문(成三問) : 태종18년~세조 2년(1418 - 1456) 사육신(死六臣)의 한사람, 자는 근보(謹甫). 눌옹(訥翁)이며 본관은 창녕(昌寧). 도총관(都摠官) 승(勝)의 아들로 태어나 세종 20년(1438) 식년문과(式年文科)에 하위지(河緯地)와 함께 급제하여 집현전학..
2018.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