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夫(78)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12
(제42면)夜靜海濤 (제43면)參萬里月 (제44면)明飛錫下 (제45면)天風 陽明詩書贐 (제46면)舟行 元靈 [인장] 李麟祥印(이인상인) 天寶山人(천보산인) [글씨의 원문과 내용] 夜靜海濤參萬里(야정해도삼만리) 밤은 고요하고 바다 물결은 삼만리인데 月明飛錫下天風(월명비..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11
(제26면)其 (제27면)爲 (제28면)氣 (제29면)心 (제30면)至 (제31면)大 (제32면)至 (제33면)剛 (제34면)直 (제35면)養 (제36면)無 (제37면)周 (제38면)塞 (제39면)乎 (제40면)天 (제41면)地 [글자의 원문과 내용] 其爲..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10
이 부분의 글씨는 한 면에 한 글자씩 큰 글자로 전서를 쓴 능호관의 대자형 전서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 아름다운 작품입니다. [글자의 모습] (제10면)人 (제11면)心 (제12면)惟 (제13면)危 (제14면)道 (제15면)心 (제16면)惟 (제17면)徵 (제18면)惟 (제19면)精 (제20면)..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9
이 면은 다른 면과는 달리 한 면에 한 글자가 쓰여 있는데, 글자체는 행서(行書)입니다. (제2면) 見 (제3면) 龍 (제4면) 在 (제5면) 田 (제6면) 天 (제7면) 下 (제8면) 文 (제9면) 明 [글자의 원문과 내용] 見龍在田(현룡재전) 나타난 용이 밭에 있으니 天下文明(천하문명) 천하가 밝게 빛나네. [출전..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8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 중 「중권」 제1면으로 첫 페이지의 모습입니다. 元靈篆 精惟元靈 [글자의 원문과 내용] 元靈篆(원령전) 원령(이인상)의 전서(篆書) 精惟元靈(정유원령) 세밀히 생각하는 원령(이인상)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7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 중 상권 제45면으로 상권의 마지막 페이지의 작품입니다. 이 면은 다른 페이지와는 다르게 한 면에 초서로 모든 글씨가 함께 적혀 있습니다. 능호관(凌壺觀)의 글씨는 전서와 행서를 많이 접할 수 있으나 초서(草書)는 접하기 매우 어려운 ..
2018.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