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夫(78)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18
총 두면에 걸쳐서 가지런하게 쓰여 있는 전서의 글씨는 두보(杜甫)의 오언절구 시 중 한 부분을 발췌한 문장입니다. (제5면) 水流心不競雲在意 (제6면) 俱遲沈兮韻書 [글자의 원문과 내용] 水流心不競(수류심불경) 강물은 흐르면서 마음에 다툼이 없고 雲在意俱遲(운재의구지) 구..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17
한 면에 아홉자씩 총 33자 전서 글씨가 쓰여 있는 이 작품은 글씨가 매우 가지런하면서도 보관상태 또한 양호하여 능호관의 전서 글의 전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겉표지) (제1면) 龍門餘韻氷壺的源 (제2면) 理壹分殊折衷群言潮 (제3면) 呑百川雲開萬灑落荷 (제4면) ..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16
(제69면)挹 (제70면)蒼 (제71면)樓 [느낀점] 이 글씨는 어느 누각의 이름을 능호관이 써 주고 편액을 하여 걸려 있는 것을 종이에 탁본을 하여 서첩에 함께 포함시킨 작품입니다. 인터넷의 여러 자료를 찾아보았으나 「읍창루(挹蒼樓)」라는 이름을 가진 누각의 소재지가 어디인..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15
(제60면) 縱壹葦之 (제61면) 所如凌萬 (제62면) 頃之茫然 (제63면) 浩浩乎如馮 (제64면) 虛御風不 (제65면) 知其所之 (제66면) 飄飄若遺世 (제67면) 獨立羽化 (제68면) 而登僊 元靈 [글씨의 원문과 내용] [출전] : 소식(蘇軾)의 「전적벽부(前赤壁賦)」 [내용] 縱壹葦之..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14
(제50면) 水行有常程中夜尚未 (제51면) 安微月没已久崖傾路 (제52면) 何難大江動我前洶若 (제53면) 溟渤寬篙師暗理楫歌 (제54면) 笑輕波瀾霜濃木石滑 (제55면) 風急手足寒入舟已千 (제56면) 憂陟巘仍萬盤回眺積 (제57면) 水外(已)始知衆星干遠 ..
2018.04.30 -
조선 후기 능호관(凌壺觀) 이인상(李麟祥)의 원령첩(元靈帖)13
(제47면)孤槎拳使日南 (제48면)國万里題詩天 (제49면)畔亭 何仲黙詩 [글씨의 원문과 내용] 孤槎拳使日南國(고사권사일남국) 외로운 뗏목에 주먹 쥐고 일남국에 사신으로 와서 万里題詩天畔亭(만리제시천반정) 만리 떠난 하늘가 정자에서 시를 짓네. 何仲黙詩 하중묵의 시다. * ..
2018.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