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화첩 - 김홍도

2017. 6. 6. 13:51옛산행기

금강 사군첩(金剛四郡帖)


 이 금강산화첩은 김홍도(1745~1806)가 44세 때 김응환(金應煥)과 함께 다닌

금강산 및 관동8경 지역을 그린 것이다.

김홍도는 여행에서 그려 온 초본(草本)에 의거해 채색횡권본(彩色橫卷本)과

화첩본(畵帖本, 5권 70폭) 두 가지를 정조에게 진상했다.

그 중 횡권본은 정조가 이덕무(李德懋)와 서유구(徐有榘) 등 신하들에게

보여 주며 제화시(題畵詩)를 짓게 하기도 했으나

그 후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화첩본은

순조가 1809년(순조 9) 매제인 영명위(永明尉) 홍현주(洪顯周)에게 하사하였다.

홍현주의 수장품은 나중에 아들 홍우철(洪祐喆)에게 전해졌으나 그 이후의

전래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이상과 같은 이 화첩의 제작경위와 전래상황 등에 대해서는

강세황(姜世晃)의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와

「송김찰방홍도김찰방응환서(送金察訪弘道金察訪應煥序)」,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서유본(徐有本)의

『좌소산인문집(左蘇山人文集)』, 홍현주의 형인 홍석주(洪奭周)와

홍길주(洪吉周)의 문집 등으로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동주(李東州)의 『우리나라의 옛 그림』이나

199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단원 김홍도(檀園金弘道) -탄신 250주년

기념 특별전』을 통해 ‘금강사군첩’으로 소개된 60폭으로 이루어진 화첩은

김홍도의 진작(眞作)이 아닌 임모작(臨模作 : 글씨나 그림 따위를 본을 보고

그대로 옮겨 쓰거나 그린 작품)으로 판단된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화풍상 두 사람의 필치가

섞여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60폭 금강산화첩은 뛰어난 화가가 정밀하게 임모하였기 때문에

김홍도 원작의 구도를 완벽히 보존하고 있고 화풍상의 특징도 상당히

잘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김홍도의 금강산도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이 60폭 금강산화첩 외에도 이와 거의 유사한 40폭 금강산화첩이 전한다.

또 김홍도의 금강산화첩을 임모한 수많은 작품들이 전하고 있어

김홍도가 후대에 미친 영향을 잘 보여 준다.

강세황의 『풍악장유첩(楓岳壯遊帖)』 중 몇 폭, 이의성(李義聲)의 『해산첩(海山帖)』,

이풍익(李豊翼)의 『동유첩(東遊帖)』, 필자미상(筆者未詳)의

『금강와유첩(金剛臥遊帖)』,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관동명승첩(關東名勝帖)』

과 『해산도권(海山圖卷)』 등이 그 예이다.

이상의 작품들을 상호 비교하여 검토해 보면,

김홍도의 여정과 당시에 그렸던 금강산도의 내용을 복원해 볼 수 있다.

그 결과 김홍도의 여정은 한양(漢陽)→영동 9군(嶺東 9郡)→진양(淮陽)→

내금강(內金剛)→외금강(外金剛)→회양(淮陽)→한양이었고,

당시 경치를 그린 75곳 이상의 지명을 확인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강세황의 「유금강산기」에 의하면 김홍도와 김응환은

당시 각자 1백여 폭의 초본을 그렸다고 한다.

이들 내용은 장차 김홍도의 금강산도와 임모작들이 더 밝혀지면 알 수 있을 것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김홍도는 강세황의 추천으로 이른 나이에 도화서의 화원이 되었다.

20대 초반에 이미 궁중화원으로 명성을 날렸으며, 1773년에는 29세의 젊은

나이로 영조의 어진과 왕세자(뒤의 정조)의 초상을 그렸다.

그리고 이듬해 감목관의 직책을 받아 사포서에서 근무했다.

1781년(정조 5)에는 정조의 어진 익선관본을 그릴 때 한종유(韓宗裕),

신한평(申漢平) 등과 함께 동참화사로 활약했으며, 이에 대한 포상으로

경상도 안동의 안기찰방을 제수 받았다.

이 무렵부터 명나라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의 를 따서 단원(檀園)이라

스스로 칭했다. 이는 그가 이유방의 문사로서의 고상하고 맑으며 그림이

기묘하고 아취가 있는 것을 사모한 데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조희룡의 『산외사』에 의하면 “(김홍도는) 풍채가 아름답고 마음 씀이

크고 넓어서 작은 일에 구속됨이 없으니 사람들은 신선 같은 사람”이라고 했다.

강세황 역시 「단원기」에서 “단원의 인품을 보면 얼굴이 청수하고 정신이

깨끗하여 보는 사람들은 모두 고상하고 세속을 초월하여

아무 데서나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이 아님을 다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적었다.

김홍도는 회화에서뿐 아니라 거문고, 당비파, 생황, 퉁소 등을 연주하는

음악가로서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일찍부터 평판이 높았던 서예가이고,

빼어난 시인이었다.

그의 작품에 고졸한 아취가 흐르는 것은 바로 이러한 멋과 문기(文氣)가

번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김홍도는 1791년에는 정조의 초상을 그리는 일에 또 한 번 참여하게 되었고,

그해 12월 포상으로 충청도 연풍현감에 발령받았다.

이는 중인 신분으로 그가 오를 수 있는 종6품에 해당하는 최고 직책이었다.

정조의 전폭적인 지원 속에서 그는 당대 최고의 화가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그러나 김홍도는 충청위유사 홍대협(洪大協)이 조정에 올린 보고가 발단이

되어 만 3년 만에 연풍현감 자리에서 파직되었다.1795년 서울로 돌아온 김홍도는 그림에 전념했다.

그의 나이 51세로 원숙기에 접어든 그는 이때부터 단원화풍이라고

불리는 명작들을 그려내기 시작했다.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으로 행차하는 광경을 그린 《원행을묘정리의궤》는

조선시대 기록화의 기념비적 대작이고, 《을묘년화첩》과 《병진년화첩》은

우리나라 진경산수의 온화하고 서정적인 아름다움을 유감없이 표현한 명작이다.

김홍도는 이전의 작품에서 보여준 화원다운 치밀함과 섬세함 대신 대가다운

과감한 생략과 스스럼없는 필묵의 구사로 단원 산수화의 진면목을 보여주었다.김홍도는 만년에 이르러 농촌이나 전원 등 생활 주변의 풍경을 사생하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이러한 사경(寫景) 산수 속에 풍속과 인물, 영모 등을 가미하여

한국적 서정과 정취가 짙게 배인 일상의 모습을 화폭에 담았다.

그는 산수뿐만 아니라 도석인물화에서도 자신만의 특이한 경지를 개척했는데,

화원이었던 그가 도석인물화를 많이 그리게 된 것은 당시 서민사회에 널리

퍼져 있던 도석신앙과 관계가 깊다.

굵고 힘차면서 투박하고 거친 느낌의 선이 특징인 그의 도석인물들은

후기에 오면서 화폭의 규모도 작아지고 단아하면서 분방한 필치를 띄게 되었다.김홍도는 산수, 인물, 도석, 불화, 화조, 초충 등 회화의 모든 장르에 뛰어났지만

특히 풍속화를 잘 그린 화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조선 후기 농민이나 수공업자 등 서민들의 생활상을 소재로 하여

길쌈, 타작, 대장간, 고기잡이 등 그들이 생업을 꾸려가는 모습과 씨름, 무동,

윷놀이 같은 놀이를 즐기는 모습, 빨래터와 우물가, 점심 등

서민의 삶과 정서에 밀착된 일상의 모습을 간략하면서도 생동감 있게 표현했다.

그의 풍속화에는 박진감 넘치는 구성과 예리한 관찰, 그리고 인간적인 따뜻한

시선이 담겨 있으며, 활달하고 건강한 한국적 해학과 정감이 묻어난다.

그리고 무엇보다 흰 바지와 저고리를 입은 둥글넓적한 우리 서민의 얼굴이

한국적인 정취를 흠씬 느끼게 한다.김홍도는 왕의 어진에서 촌부의 얼굴까지, 궁중의 권위가 담긴 기록화에서

서민의 삶의 애환이 녹아 있는 속화까지 신분과 장르를 아우르며 그림을 그렸다.

화가 신분으로 종6품에까지 오르는 세속적 출세를 맛보았고,

비록 말년에는 가난과 고독 속에 생을 마감했으나 일생동안 시를 읊고

고졸한 멋을 즐길 줄 아는 진정 위대한 화인이었다.

김홍도의 작품은 조선시대 우리 문화와 역사를 고찰하는 데 절대적인 기여를 했으며,

동시대와 후대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아들인 양기(良驥)를 비롯하여 신윤복(申潤福), 김득신(金得臣), 김석신(金碩臣),

이인문(李寅文), 이재관(李在寬), 이수민(李壽民), 유운홍(劉運弘), 이한철(李漢喆),

유숙(劉淑) 등이 그의 영향을 받았다.작품에는 《자화상》(18세기 중반), 《군선도》(1776), 《서원아집도》(1778),

《행려풍속도》(1778), 『단원풍속도첩』(18세기 후반), 《송월도》(1779),

《꽃과 나비》(1782), 《단원도》(1784), 《사녀도》(1784),

『금강사군첩』(1788), 《연꽃과 게》(1789), 『을묘년화첩』(1795),

『병진년화첩』(1796), 《마상청앵도》(18세기 후반), 《염불서승도》(1804),

《추성부도》(1805) 등이 있다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