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일반(204)
-
[스크랩] 두보의 궁중의 양감이 장욱의 초서를 보여주다
궁중의 양감이 장욱의 초서도를 보여주다 (殿中楊監見示張旭草書圖) 두보(杜甫) 斯人已云亡 장욱은 이미 세상을 떠났으니 草聖秘難得 초서의 진품은 참으로 얻기 어렵네. 及玆煩見示 지금 괴로운 마음으로 보고 있노라면 滿目一凄惻 눈에는 처량한 눈물만 가득하네. 悲風生微綃 ..
2012.05.30 -
[스크랩] 두보-이조의 팔분과 소전을 노래함(李潮八分小篆歌)
이조의 팔분과 소전을 노래함 (李潮八分小篆歌) 두보(杜甫) 蒼頡鳥迹旣茫昧 창힐의 문자 창조는 아득한 옛날의 설이고 字體變化如浮雲 자체의 변화는 구름같이 변화무쌍하네. 陳倉石鼓又已訛 진창의 석고문 또한 변화하여 大小二篆生八分 대전에서 소전으로 또 팔분이 생겨났네. ..
2012.05.30 -
[스크랩] 7. 가탐(賈耽)-우세남의 서예를 노래함(賦虞書歌)
7. 우세남의 서예를 노래함 (賦虞書歌) 가탐(賈耽) 衆書之中虞書巧 여러 서예 가운데 우세남의 서예가 뛰어나 體法自然歸大道 결체가 자연스럽고 법도에도 어긋나지 않네. 不同懷素只攻顚 회소가 오직 장욱을 공부한 것과 다르고 豈類張芝只創草 초서만 창작한 장지와 어지 같은 부류리..
2012.05.30 -
[스크랩] 소환(蘇渙)-회소의 초서를 노래하다(懷素上人草書歌)
회소스님의 초서를 노래하다 (懷素上人草書歌) 소환(蘇渙) 張顚沒在二十年 장욱이 세상을 떠난 지 어언 20년 謂言草聖無人傳 초성의 글씨 전하는 이 없다고 하네. 零陵沙門繼其後 영릉의 스님인 회소가 그 뒤를 이어 新書大字大如斗 새로 쓴 큰 글씨는 말만큼 크네. 興來走筆如旋風 흥이 ..
2012.05.30 -
[스크랩] 스승 회소의 초서를 노래하다
9. 스승 회소의 초서를 노래하다(懷素師草書歌) 마운기(馬雲奇) 懷素才年三十餘 회소 나이 30이 넘도록 不出湖南學草書 호남에서 초서를 공부 하였네. 大夸羲獻將齊德 이왕을 칭찬하고 어깨를 나란히 하였지만 切比鍾繇也不如 내심 종요와 비교하니 미치지 못하네. 疇昔闍..
2012.05.30 -
[스크랩] 손과정 서보의 미학사상
孫過庭『書譜』의 미학 사상 손과정(孫過庭)은 당나라 초기 우세남(虞世南)과 이세민(李世民) 등이 체계를 세운 서예 미학 사상을 계승 발전시켰다. 우세남과 이세민 등이 주장한 서예 미학의 표준은 충화(沖和)의 미학이었다.『필수론(筆髓論)․계묘(契妙)』에서 우세남은 “서예..
2012.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