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스승 회소의 초서를 노래하다

2012. 5. 30. 17:47서예일반

9. 스승 회소의 초서를 노래하다(懷素師草書歌)

 

마운기(馬雲奇)

懷素才年三十餘 회소 나이 30이 넘도록

不出湖南學草書 호남에서 초서를 공부 하였네.

大夸羲獻將齊德 이왕을 칭찬하고 어깨를 나란히 하였지만

切比鍾繇也不如 내심 종요와 비교하니 미치지 못하네.

疇昔闍梨名蓋代 도리의 명성은 세상에서 으뜸이었고

隱秀于今墨池在 지금의 묵지에서도 그윽한 품위가 있네.

賀老遙聞怯後生 하지장의 칭찬소리가 멀리에서 들리고

張顚不敢稱先輩 장욱은 스스로를 선배라고 기업렵다 하네.

一昨江南投亞相 일전에 강남에서 아상에게 의탁하여

盡日花堂書草障 종일 화려한 대청에서 가리개에 초서를 썼었네.

含毫勢若斬蛟龍 필호의 기세는 교룡을 벨 듯하고

挫管還同斷犀象 필관의 움직임은 코뿔소 뿔을 자를 덧하네.

興來索筆縱橫掃 흥이 나면 붓을 찾아 종횡으로 휘호하니

滿望詞人皆道好 성망이 높은 문인들 칭찬이 대단하였네.

一點三峰巨石懸점획의 기운은 낭떠러지 바위 같고

長畵万歲枯松倒필획은 고송의 기세로세.

叫噉忙忙禮不拘술 마시고 취함이 구속 받지 않았으며

萬字千行意轉殊 수많은 작품들은 변화와 남다른 운치가 있네.

紫塞傍窺鴻雁翼 큰기러기 날개 같이 빼어난 자태

金盤亂撒水晶珠 금 쟁반에 수정 구슬처럼 진귀한 가치로세.

直爲功成歲月多 공적은 수많은 세월도 같이하여

靑草湖中起墨波청초호에 먹물 물결 일어났네.

醉來只愛山翁酒 술 취하면 오직 취옹됨을 좋아하고

書了寧論道士鵝서작은 차라리 도사의 거위와 같이 여하네.

醒前猶自記華章깨기 전에도 여전히 화려한 시문을 기록하고

醉後無論絹與墻 술 취한 후에는 비단과 담장을 가리지 않네.

眼看筆掉頭還掉시선은 붓 가는대로 따라가고

只見文狂心不狂외형은 제멋대로 인듯하나 흐트러짐 없네.

自倚能書堪入貢 작품 실력은 황제에게 바칠 자신이 있었지만

一盞一回捻筆弄술 한 잔 마시고는 붓을 잡고 놀았네.

壁上颼颼風雨飛벽에 쌩쌩 비바람 나리더니

行間屹屹龍蛇動행간은 용과 뱀이 꿈틀거리네.

在身文翰兩相宜작품은 문장과 필묵이 서로 잘 맞으며

還如明鏡對西施 또한 거울상의 서시를 보는 것 같네.

三秋月澹靑江水 9월의 달빛 가늘고 강물은 푸르고

二月花開綠滿枝 2월의 꽃 피고 가지는 녹색이라네.

聞道懷素西入秦 회소가 서쪽 진나라로 간다는 소식을 듣고

客中相送轉相親 여행 중에도 배웅하여 서로 가까워졌네.

君王必是收狂客 임금이 반드시 회소를 받아들인다고

寄語江潭一路人강가를 여행하는 사람들이 전하네.

【설명】

이 시는 회소가 서호(徐浩)에게 의탁한 후 장안(長安)으로 들어가기 이전에 마운기가 지었다. 회소의 뛰어남을 들은 작가는 회소를 만나 그의 초서를 직접 확인하고 감동하여 회소를 스승으로 모시고 시를 바쳤다. 당나라 시대에는 아주 뛰어난 서예가가 많았고 또 왕후장상이나 문인묵객의 칭찬을 받은 서예가도 매우 많았다. 그러나 당시 문인묵객의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사람은 바로 회소이다.

 

1) 마운기(馬雲奇): 회소(懷素)와 같은 시대 사람이다. 당(唐) 대력(大曆)연간에서 당 덕종(德宗)건중(建中) 2년에이르러 감주(甘州: 지금의 감숙성(甘肅省) 장액(張掖)) 장관막부(長官幕府)를 맡았으며, 감주 보위전(保衛戰)에 참가하였다. 건중 2년에 토번(吐蕃: 옛날의 종족이름. 지금의 티벳에 웅거했으며 당대에 가장 융성하였음)이 감주를 쳐부수고, 마운기를 포로로 붙잡아 임번(臨蕃) 도시주변으로 구금시켰으며 그 밖의 사적은 상세하지 않다.

2) 희헌(羲獻): 왕희지(王羲之)와 왕헌지(王獻之)다.

제덕(齊德): 서로 같은 인품과 덕성

3) 주석(疇昔): 여태껏

도리(闍梨): 범어, 승도(僧徒)의 스승. 의역을 하면 모범선생을 말한다. 의미는 제자의 품행을 바로 잡기위한 제자들의 규범이라 할 수 있다.

4) 은수(隱秀): 그윽하고 품위가 있다.

5) 하로(賀老): 당(唐)대의 저명한 서예가 하지장(賀知章)을 말한다.

후생(後生): 젊은 후배

6) 장전(張顚): 장욱(張旭)이다.

7) 아상(亞相): 당(唐)대의 서예가 서호(徐浩)를 가리킨다. 번역한 시 8. <회소스님의 초서를 노래하다(懷素上人草書歌)에 주14)에 나타난다.

8) 화당(花堂): 화려한 건축물, 웅대하고 아름답게 장식한 대청.

9) 함호(含毫): 입으로 붓이 풀리도록 축이는 것을 말한다.

10) 좌관(挫管): 붓끝을 꺾는 것. 운필할 때 갑자기 멈춰서 방향을 바꾸는 것을 가리킨다. 청(淸)주이정(朱履貞)의《서학첩요(書學捷要)》에 “초서는 끊겼다 이어졌다하며 돌고, 전절(轉折)이 분명한 이러한 법을 특히 중요시한다.(草書尤重此法, 則斷續顧盼, 轉折分明.)”라고 되어있다.

단서상(斷犀象): 위부인(衛夫人)의《필진도(筆陣圖)》에 영자팔법(永字八法: 영(永)자 한자에 의하여 모든 글자에 공통하는 여덟 가지의 필법을 알게 하는 법)에서 삐침 획은 마치 “육단서상(陸斷犀象)”같다고 하였다.

11) 일점삼봉거석현(一点三峰巨石懸): 점획의 험준함을 형용함. 위부인(衛夫人)《필진도(筆陣圖)》에서 점획이 “마치 산꼭대기에서 떨어지는 돌과 같고, 돌 부딪치는 소리가 실지로 산이 무너지는 것 같다.(如高峰墜石, 磕磕然實如山崩也.)”라고 하였다.

12) 장화만세고송도(長畵萬歲枯松倒): 필획이 고풍스럽고 힘이 있음을 형용함.

13) 규담(叫噉): 먹을 음식을 소리쳐 부르는 것. 여기서는 큰소리로 술과 음료수를 찾는 것을 말한다.

14) 자색방규홍안익(紫塞傍窺鴻雁翼): 글씨의 운치가 빼어나고 들판이 확 트임을 형용함.

15) 금반란살수정주(金盤亂撒水晶珠): 붓글씨 한 글자 한 글자가 구슬 같으며, 진귀하고 기이함을 형용함.

16) 청초호(靑草湖): 고대 다섯 호수중의 하나. 그 남쪽에 청초산(靑草山)이 있었기 때문에 이름 하였다.

17) 도사아(道士鵝): 왕희지(王羲之)가 쓴《도덕경(道德經)》과 산음도사(山陰道士)가 거위와 바꾼 이야기.

18) 화장(華章): 화려한 시문(詩文: 시와 산문)

19) 필도두환도(筆掉頭還掉): 붓끝 가는대로 머리가 따라 간다.

20) 문광심불광(文狂心不狂): 붓 끝은 제멋대로이나 마음속에 이미 계산되어 있었고, 붓을 대기 전에 구상을 잘 한다.

21) 입공(入貢): 황제에게 바치다.

22) 염필(捻筆): 필관을 잡다. 큰 초서를 쓸 때의 집필방법이다. 엄지, 식지, 중지, 약지 네 손가락으로 필관 꼭대기를 세워서 잡고 쓴다.

23) 수수(颼颼): 비바람소리

24) 흘흘(屹屹): 높게 숭배하는 모양

25) 문한(文翰): 문장과 필묵

26) 강담(江潭): 강의 깊은 곳

 

출처 : 중국과 서예
글쓴이 : 금릉산방인 소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