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일반(204)
-
[스크랩] 魏晉南北朝시대의 書論
Ⅴ. 魏晉南北朝시대의 書論 1. 魏晋시대의 用筆論과 流美論 서예가 예술의 한 영역으로 자각되기 시작한 것은 漢나라 시대이며 때를 같이 하여 서예 이론이 탄생하였다. 魏晋시대에 모든 서체가 완전한 형태로 자리잡게 되자 書論도 점차 체계를 잡아가고 범위도 넓어진다. 기록과 전달, ..
2012.03.15 -
[스크랩] 서체 변천의 종결 -楷書, 行書
Ⅵ. 서체 변천의 종결 1. 楷書의 변천과 완성 先秦시대의 한자는 甲骨文이후 완전한 문자의 기능을 하면서 여러 형태로 변천하였으며 秦나라 이후에는 시대별로 통일된 서체를 중심으로 하여 점차 변천하였다. 楷書로서 길고 긴 한자의 변천이 막을 내릴 때까지 서체는 正體와 草體의 두 ..
2012.03.15 -
[스크랩] 한국, 중국의 서예사
書藝史 1 中國 韓國 時 代 人 名 事 歷 時 代 人 名 事 歷 三皇(수인,복희,신농) 五帝(皇帝, 전욱, 곡, 요, 순) 古朝鮮 紀元前 2333-108년 은(殷) 紀元前1,500 복희(伏羲) 창힐(蒼頡) 紀元前1,550 紀元前1,300 결승(結繩) 서계(八卦) 조적문자 (鳥跡文字) 갑골문자 (甲骨文字) 종정문자 (鍾鼎文字)..
2012.03.15 -
김일중글씨
一中의 글씨 개회식의 잡담 속에서 일중의 '백씨수병'(伯氏壽屛)을 보며 ‘글씨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다시 했다. 맏형님 문현의 회갑을 기려 작은 아우 창현(호 백아)이 글을 짓고, 큰 아우 일중이 글씨를 쓴 열폭 병풍이었다. 백아 다음이 여초 응현인데, 5형제 중 여초까지 위로 네 분..
2012.03.15 -
[스크랩] [전주]시대를 대표하는 명필, 송성용 선생의 작품을 전시한 강암서예관
남부시장을 돌아보다 저녁을 먹기전 약간의 시간이 남아 전주천을 따라 향교쪽으로 가다보니 강암서예관이란 건물이 보인다. 잘알지 못하는데 일단 안으로 들어가 보니 우리시대를 대표하는 서예가의 작품 전시관이다. 강암 서예관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는 서예 관련 전시관이다. 1990..
2012.03.15 -
[스크랩] 유석암(劉石菴)-첩학파(帖學派)
첩학파(帖學派) 유석암(劉石菴) 글씨는 필획의 대소 장단 강약 리듬 여운 등 기의 연과 등이 거문고 가락처럼 상징성이 있고 원세(遠勢)가 유심하여 속기가 없다. 유석암은 황산곡의 필단의장의 교훈에 감동, 점획을 짧게 긋지만 뜻과 호흡은 길게, 자간 행간을 넓게 취하여 힘과 여운을 ..
2012.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