工夫(78)
-
송대(宋代)에 채탁된 석고문(石鼓文) 감상(感賞)
宋拓《石鼓文》赏析 《石鼓文》是迄今所见我国最早的石刻文字,世称“石刻之祖”。 石作鼓形,共十鼓,分别刻有四言诗一首,记述了秦国君游猎之事,故又称“猎碣”。 此刻石唐贞观时始被发现,杜甫、韦应物、韩愈作歌诗以后,始显于世。历经磨难、迁徙, 原石现藏故宫博物院..
2018.04.30 -
청대 서화가 오창석(吳昌碩)과 석고문(石鼓文)
吳昌碩,原明名俊,又名俊卿,字昌碩,七十歲以後,以字行。 號昌碩、蒼石、缶廬、老缶、老蒼、苦鐵。浙江安吉縣人,生於清宣宗道光二十四年 (西元一八四四年),卒於民國十六年(西元一九二七年),享年八十四歲,他是我國 近代集詩文、書法、篆刻、繪畫大成的藝術家。 十..
2018.04.30 -
김홍도,윤순거,이소한,이계선,김인후,유득공,정조,이언진 글씨
조선후기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유묵첩 「회도인시(回道人詩)」 가로 44cm 세로 33cm 크기의 종이바탕에 행초체로 쓴 단원 특유의 글씨입니다. 『단원유묵첩』에 들어 있는 여러 글씨 중 하나인 이 글씨는 중국 송대(宋代) 사람 조령치(趙令畤)의 시(詩)「회도인시(回道人詩)」입니다...
2018.04.30 -
정철,성수침,김상현,이달,한호,김시습 글씨
성균관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위창 오세창 선생의 서간필적 모음 책자인 『근묵(槿墨)』에 들어 있는 송강(松江) 정철(鄭澈)의 글씨입니다. 쓰여진 글씨가 불명확하거나 모르는 글자는 그의 문집에 있는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글씨의 원문과 내용] 奉送聖節使洪..
2018.04.30 -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 종려나무 그리는 법
椶櫚樹唐人畫於園林山水 中後郭忠恕每爲之 椶櫚樹唐人畫於園林山水 종려나무는 당대(唐代) 사람들이 정원의 산수로 그렸는데, 中後郭忠恕每爲之 중기 이후에는 곽충서(郭忠恕)가 늘 그렸다. * 椶櫚(종려) : 종려(棕櫚). 야자과(椰子科)의 상록교목(常綠喬木) [종려나무] * 園..
2018.04.30 -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 오동나무 그리는 법
鈎勒梧桐見王維輞川圖 鈎勒梧桐 구륵(鉤勒)의 오동나무는 見王維輞川圖 왕유(王維)의 망천도(輞川圖)에서 보인다. [왕유(王維)의 망천도(輞川圖)중 부분도, 聖福寺,日本] 元人寫意梧桐墨點或冒以綠點 元人寫意梧桐 원대(元代) 사람들은 뜻이 들어 있는 오동나무에 墨點或冒以綠..
2018.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