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72)
-
동문오東門吳
열자列子는 양주楊朱에게 그 외 많은 이야기들을 들려주었다. (.....) 「옛날 위魏나라에 동문오東門吳라는 사람이 있었네. 그의 아들이 뜻하지 않은 사고로 죽고 말았는데 동문오는 근심조차 하지 않았네. 그래서 청지기가 동문오에게 물었지. 그러자 동문오가 대답했지. 동문오는 운명에 순응할 줄 아는 지혜를 가졌던 거지 나의 죽음을 생각할 때도 그래. 원래 나란 존재는 없었던 것이 아닌가. 그때는 내가 나로 인해 염려할 필요가 없었지. 내가 죽는다는 것은 원래 내가 없던 그대로 돌아가는 것과 똑같지. 그러므로 나는 나의 죽음을 조금도 염려할 필요가 없네. 자네들도 얼마 있지 아니하여 나의 죽음을 목도하게 된다 하더라도 슬퍼하거나 근심하지 말게. 없다가 있게 된 삶이나 있다가 없게 된 죽음이나 다 조삼모사朝三暮..
2022.10.23 -
《陈情表》是西晋文学家李密
[原文] 陳情表 李密 臣密言:臣以險釁,夙遭閔凶。生孩六月,慈父見背;行年四歲,舅奪母志。祖母劉憫臣孤弱,躬親撫養。臣少多疾病,九歲不行,零丁孤苦,至於成立。既無伯叔,終鮮兄弟,門衰祚薄,晚有兒息。外無期功強近之親,內無應門五尺之僮,煢煢孑立,形影相弔。而劉夙嬰疾病,常在牀蓐,臣侍湯藥,未曾廢離。 逮奉聖朝,沐浴清化。前太守臣逵察臣孝廉;後刺史臣榮舉臣秀才。臣以供養無主,辭不赴命。詔書特下,拜臣郎中,尋蒙國恩,除臣洗馬。猥以微賤,當侍東宮,非臣隕首所能上報。臣具以表聞,辭不就職。詔書切峻,責臣逋慢;郡縣逼迫,催臣上道;州司臨門,急於星火。臣欲奉詔奔馳,則劉病日篤,欲苟順私情,則告訴不許。臣之進退,實爲狼狽。 伏惟聖朝以孝治天下,凡在故老,猶蒙矜育,況臣孤苦,特爲尤甚。且臣少仕僞朝,歷職郎署,本圖宦達,不矜名節。今臣亡國賤俘,至微至陋,過蒙拔擢,寵命優渥,豈敢盤桓,有所希冀!但以劉日薄..
2022.10.23 -
계사전 상 9-12장
第九章 天一地二天三地四天五地六天七地八天九地十 天數-五 地數-五 五位相得而各有合 天數-二十有五 地數-三十 凡天地之數-五十有五 此-所以成變化 而行鬼神也 大衍之數-五十 其用 四十有九 分而爲二 以象兩 掛一 以象三 揲之以四 以象四時 歸奇於扐 以象閏 五歲 再閏 故 再扐而後掛 乾之策 二百一十有六 坤之策 百四十有四 凡三百有六十 當期之日 二篇之策 萬有一千五百二十 當萬物之數也 是故 四營而成易 十有八變而成卦 八卦而小成 引而伸之 觸類而長之 天下之能事-畢矣 顯道 神德行 是故 可與酬酢 可與祐神矣 子-曰 知變化之道者-其知神之所爲乎 繫辭上傳 第九章 天一 地二 天三 地四 天五 地六 天七 地八 天九 地十이니 1, 3, 5, 7, 9 는 天의 수이고 2, 4, 6, 8, 10 은 地의 수이니 天數五오 地數五니 五位相得하며 而各有合하니 天..
2022.10.23 -
계사전 상 8장
第八章 聖人 有以見天下之賾而擬諸其形容 象其物宜 是故謂之象 聖人 有以見天下之動而觀其會通 以行其典禮繫辭焉 以斷其吉凶 是故謂之爻 言天下之至賾而不可惡也 言天下之至動而不可亂也 擬之而後言 議之而後動 擬議 以成其變化 (風澤中孚 : 九二爻) 鳴鶴在陰 其子和之 我有好爵 吾與爾靡之 子曰 君子居其室 出其言 善則千里之外應之 況其邇者乎 居其室 出其言 不善則千里之外違之 況其邇者乎 言出乎身 加乎民 行發乎邇 見乎遠 言行 君子之樞機 樞機之發 榮辱之主也 言行 君子之所以動天地也 可不愼乎 (天下同人 : 九五爻) 同人 先號咷而後笑 子曰 君子之道 或出或處或黙或語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澤風大過) 初六藉用白茅 无咎 子曰 苟錯諸地而可矣 藉之用茅 何咎之有 愼之至也 夫茅之爲物 薄而用 可重也 愼斯術也 以往 其无所失矣 (地山謙 : 九三爻)..
2022.10.23 -
계사전 상 1-7장
繫辭上傳 [本義] 繫辭 本爲文王周公所作之辭 繫于卦爻之下者 卽今經文 此篇 乃孔子所述繫辭之傳也 以其通論一經之大體凡例 故无經可附而自分上下云 繫辭는 본래 文王과 周公이 지은 것으로 卦와 爻의 아래에 단 것을 말하니 곧 지금의 經文이다. 이 篇은 바로 공자가 서술한 계사의 傳이다. 한 經의 大體와 凡例를 通論하였기 때문에, 經文에 붙일 만한 곳이 없어서 별도로 上下로 나눈 것이다. 第一章 (天) 天尊地卑 乾坤定矣 卑高以陳 貴賤位矣 動靜有常 剛柔斷矣 方以類聚 物以群分 吉凶生矣 在天成象 在地成形 變化見矣 (地) 是故剛柔相摩 八卦相盪 鼓之以雷霆 潤之以風雨 日月運行一寒一暑 乾道成男 坤道成女 (人) 乾知大始 坤作成物 乾以易知 坤以簡能 易則易知 簡則易從 易知則有親 易從則有功 有親則可久 有功則可大 可久則賢人之德 可大則賢人之業..
2022.10.23 -
주역 원문 어휘
1. * 周易(주역)이란? 주역이란 주나라의 역이란 뜻인데, 易은 해(日)와 달(月)의 합성 자로 보는 견해와 하루에도 몇 번씩 색을 바꾸는 카멜레온(도마뱀)을 형상화 한 글자로 보는 설이 있는데, 어느 것이든 바뀌고 변한다는 의미가 있다. 중국 夏(하)나라 때는 連山(연산)역, 銀(은)나라 때는 歸藏(귀장)역이 있었다고 하는데 상고할 길이 없고, 주나라를 세운 문왕이 오늘에 쓰이는 바와 같이 천지자연을 다룬(形而上) 상경 30괘와 인사(形而下)를 다룬 하경 34괘 도합 64卦를 배열하고 괘마다 卦辭(괘사)를 붙이고, 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의 아우인 周公이 384(6×64)효마다 爻辭(효사)를 붙인 데다 공자가 彖傳(단전), 象傳(상전), 乾文言傳(건문언전), 坤文言傳(곤문언전), 계사상 하전, 설괘전, ..
2022.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