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일반(204)
-
[스크랩] 16. 운필 기교의 종류
16. 운필 기교의 종류 (1) 제안(提按) 기법의 표현에서 단지 중봉ㆍ측봉ㆍ장봉ㆍ노봉만 알면 충분하지 않다. 점과 획 자체의 활력은 운필 과정의 제안ㆍ경중ㆍ완급의 변화에 의하여 나타난다. 글씨를 쓰는 과정은 실제로 제안과 변환의 과정이다. 필봉을 종이 위에서 운행할 때 줄곧 ‘제..
2012.03.23 -
[스크랩] 17. 용필의 방법
17. 용필의 방법 창봉(搶鋒)·뉵봉(衄鋒)·좌봉(挫鋒)·적봉(趯鋒)은 용필의 방법들이다. ‘창봉’은 필획이 다하는 곳에 이르러 붓을 들어 종이에서 뗄 때 갑자기 앞에서 밀고 나오는 힘을 받아 회봉하는 동작을 가리킨다. 의미는 절봉(折鋒)과 같으나 힘․속도, 그리고 공..
2012.03.23 -
[스크랩] ?18. 운필의 기교
18. 운필의 기교 ‘추(推)ㆍ타(拖)ㆍ념(捻)ㆍ예(拽)’는 운필의 법칙으로 노조(盧肇)가 깨달아서 임온(林蘊)에게 전해 주었다. 남당에 이르러 이욱(李煜)은 집필법에서 오자결(五字訣) 이외에 ‘도(導)ㆍ송(送)’ 이 두 가지를 더 하였다. ‘도(導)’는 다섯째 손가락이 넷째 손가락을 오..
2012.03.23 -
[스크랩] 왕희지 (제필진도후)
제필진도후(題筆陣圖後) 왕희지(王羲之) 夫紙者陣也, 筆者刀矟也, 墨者鍪甲也, 水硯者城池也, 心意者將軍也, 本領者副將也, 結構者謀略也, 颺筆者吉凶也, 出入者號令也, 屈折者殺戮也. 夫欲書者, 先乾硏墨, 凝神靜思, 預想字形大小偃仰平直振動, 令筋脈相連, 意在筆前, 然後..
2012.03.23 -
[스크랩] 왕희지 (서론)
서론(書論) 왕희지(王羲之) 夫書者, 玄妙之伎也. 若非通人志士, 學無及之. 大抵書須存思, 余覽李斯等論筆勢, 及鍾繇書, 骨甚是不輕, 恐子孫不記, 故敘而論之. 夫書字貴平正安穩. 先須用筆, 有偃有仰, 有攲有側有斜, 或小或大, 或長或短. 凡作一字, 或類篆籒, 或似鵠頭, 或如散..
2012.03.23 -
[스크랩] 왕희지 (자논서)
자논서(自論書) 왕희지(王羲之) 吾書比之鍾張當抗行, 或謂過之, 張草猶當雁行. 張精熟過人, 臨池學書, 池水盡墨, 若吾耽之若此, 未必謝之. 後達解者, 知其評之不虛. 吾盡心精作亦久, 尋諸舊書, 惟鍾張故爲絶倫, 其餘爲是小佳, 不足在意. 去此二賢, 僕書次之. 須得書, 意轉深, 點畫之間..
201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