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12. 09:23ㆍ金剛山
정추(鄭樞, ?-1382)는 고려 말기에 활동한 문인. 자는 공권(公權), 호는 원재(園齋). 한때 정당문학 등의 벼슬을 하였으나 정계생활보다 학문에 관심이 높았다. 시를 잘 지어 널리 알려졌다. 시 《밤에 우는 개구리 소리》는 고려 말기에 창작된 반침략애국주제의 시가문학에서 대표적 작품 중의 하나로 알려져왔다.
개고개(狗岺)
狗岺烟霞膩 개고개1)엔 짙은 안개 감도는데
尼坮樹木攢 녀승대의 나무들은 무성쿠나
登危山更擁 올라서면 험한 산이 또 가로막지만
探勝路何難 탐승길 험하다 어찌 탓하랴
林過樹梢帽 숲 지날 때 나무가지 모자를 걸치고
崖行石戞鞍 벼랑 오를 때엔 자갈들이 안장 때리네
愛他盧雋井 사랑스럽구나 개고개의 풍성한 샘
千載不曾乾 천 년 세월 흘렀어도 마르지 않으라
삼일포(三日浦)
一湖形勝自天成 삼일포 좋은 경치 하늘이 마련했나
三十六峰秋更清 서른 여섯 봉우리에 가을빛 맑았어라
不有中流舟蕩槳 저 바다 한가운데 배 저울 노 없으니
那看南石字分明 남석이란 또렷한 글자 어이 볼 수 있으랴
亭前雨過鳴沙響 정자 앞에 비 뿌리니 흰 모래 소리내고
浦口秋深落木聲 포구에는 가을빛 짙어 나무잎 떨어지네
細問安詳當日事 안상이 놀던 옛일 자세히 물어보자
神仙也是足風情 신선들도 우리처럼 이 풍경 즐겼는가고
통천 금란굴(通川 金幱窟)
為訪金幱窟 금란굴 찾아보려
蘭舟放海門 포구에 꽃배 띄워가노라
洪濤懷地軸 넓은 물결 땅 우에 감돌고
神物護雲根 령물이 구름바위 지키고 있네
霧濕丹青色 안개는 단청색에 물들어
天成刻削痕 하늘이 다듬어준 자리같고
烟中看鷺下 연기 속에 해오라기 날아 내리니
想見白衣尊 흰옷 입은 관음보살같이 보이네
[네이버 지식백과] 정추의 금강산 한자시선 (북한지리정보: 금강산 한자시선(상), 2004.)
'金剛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몽주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12 |
---|---|
리달충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12 |
리제현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12 |
안축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전치유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