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7. 12:56ㆍ金剛山
안축(安軸, 1282-1348)은 13세기 말~14세기 전반기에 활동한 문인. 자는 당지(當之), 호는 근재(謹齋) 벼슬은 성균학정, 사의대부, 찬성사, 강원도 관찰사 등을 지내였다. 어릴 때부터 시문에 능하고 관심이 많아 자신의 생활체험을 시에 담아 읊었다. 그의 시 작품들로는 강원도 관찰사로 있을 때 관동지방을 돌아보며 읊은 시들을 묶은 시집 《관동와주》와 경기체가요들인 《관동별곡》과 《죽계별곡》이 널리 알려졌다. 시문집으로 《근재집》이 있다.
금강산(1수)(金剛山)
直過長空入紫煙 하늘중천 지나서 노을 속에 들었거니
始知登了最高巓 이제야 알겠노라 산마루에 올랐음을
身遂飛雲疑駕鶴 내 구름에 몸 감으니 학을 타고 오른 듯
路縣危磴似拂天 가파로운 돌층계는 하늘가에 잇닿았네
금강산(2수)(金剛山)
骨立峰巒劒戟明 골격만 선 산봉우리 창검인 듯 선명하고
居僧齋罷坐無營 재 올린 중들은 할 일 없어 앉아 있네
如何山下生民類 어찌하여 저렇듯 산아래 백성들은
瞻望時時蹙額行 이곳을 바라보며 이마살 찌프리나
삼일포(1수)(三日浦)
仙境藏洞中 골안에 묻혀 있는 신선경치
瑠璃水溶溶 유리같은 바다물이 출렁이는데
團欒小蓬島 오손도손 사이좋은 작은 섬들은
出水如芙蓉 련꽃인 양 물 우에 솟아있구나
飛亭鳥斯革 새처럼 나래 펼친 정자 우에선
金壁混玲瓏 금단청 아롱다롱 빛을 뿌리고
憑欄四廻
란간에 의지하여 사방을 살펴보니
三十六奇峰 서른 여섯 봉우리 기기묘묘하여라
石佛左石龕 돌집에 안치한 돌부처는
萬古蒼苔封 태고적 푸른 이끼 덮여 있는데
仙人駕黃鶴 신선들 학을 타고 떠나간 여기
峩洋千萬重 높은 산 넓은 바다 천만 겹일세
断碣没沙際 동강난 옛 비석은 모래에 묻히고
丹書留筆蹤 붉은 빛 옛 글 흔적만 겨우 남았구나
乗般揖清芬 배를 몰아 맑은 향기 맡으려 해도
簪履無由逢 신선의 그 자취는 찾을 길 없네
娟娟水中月 물속에 잠긴 달 더없이 아름답고
落落石上松 바위 우에 자란 솔 푸르고 푸르네
嗟予生苦晩 슬프다 이내 몸 늙어서인가
滿目愁雲濃 떠도는 구름조차 시름겹구나
삼일포(2수)(三日浦)
亭上奇觀似畫成 정자 우의 기묘한 경치 볼수록 한폭 그림 같네
怳疑凡骨入三清 속세에 떠도는 나그네 선경에 와닿은 듯
雙雙白鳥和烟静 쌍을 이룬 해오라기 안개 속에 날아예고
六六奇峰照水明 기묘한 서른 여섯 봉우리 물 우에 밝게 비치누나
甲乙難尋碑篆迹 비석 우의 글씨 흔적 그 시기 찾기 어렵고
宮商已變棹歌聲 어부들 부르던 노래 가락조차 변하였구나
唯餘石面丹書在 오로지 남아있는 건 바위 우의 필적뿐이거니
誰解仙郞萬古情 누가 그것을 보고 영랑의 마음 헤아리랴
통천 총석정(通川 叢石亭)
千條恠石成奇峰 천 갈래 기괴한 돌 기봉을 이루었고
蒼崖烟霏水墨濃 푸른 벼랑 안개 비껴 물빛같이 진해라
鯨濤起海雪霜漲 고래물결 끓는 바다 눈서리로 가득 찬 듯
蜃空浮空樓閣重 아지랑이 공중에 떠 루각은 겹쳐보이네
模糊字沒太古碣 태고 때의 비석 있어 흐린 글자 알 듯 말 듯
瘿痩根盤何代松 어느 시대 로송인지 뻗은 뿌리 울퉁불퉁
磯邊蒻笠坐相揖 물속 돌의 부들갓은 서로 마주 절을 하고
月下羽衣招可逢 달빛 아래 도사는 부르면 만나볼 듯
悵望仙徒已雨散 신선들이 비방울로 흩어진 것 슬퍼지며
厭看俗子如雲従 속인들이 구름같이 따르는 것 보기 싫어
若為亭前伴鴎鷺 정자 앞의 물새들과 서로 벗이 된다면
却掃人間塵土蹤 인간세상 티끌자취 쓸어버리리
총석(叢石)
形容不必費詩圖 아름다운 그 모습 시로 쓰랴 그림에 담으랴
以一言天下無 두말없이 한마디로 말하면 천하에 없는 절경이여라
船上浪昑前輩記 배우에서 옛사람의 글 흐뭇이 읊었건만
老夫三至尙驚吁 올 적마다 이 늙은이 오히려 경탄만 하노라
영랑호(永郞湖)
平湖鏡面澄 끝없이 펼쳐진 호수 거울같이 맑은데
蒼波疑不流 파란 물결 잔잔하여 흐르지 않는 듯
蘭舟縦所如 꽃배 띄워놓고 가는 대로 맡겨두고
泛泛随軽鴎 날아예는 갈매기 따라 흔들흔들 저어가네
浩然發清趣 가슴도 후련하게 맑은 정취 자아내니
沂洫入深幽 이름난 강 죄다 모인 듯 깊고도 그윽해라
丹崖抱蒼石 붉은 벼랑 우엔 푸른 돌 깔려있고
玉洞藏瓊珠 백옥같은 골안에는 진주돌 묻혔으리
循山泊松下 산세 따라 내려가다 솔숲에 배를 대니
空翠凉新秋 하늘은 푸르고 가을선기 도는구나
荷葉浄如洗 련꽃은 정갈하여 물에다 씻었는가
蓴緑滑且柔 풀빛 짙은 순채나물 연하고도 보드랍네
向晩欲廻棹 저물녘 배 몰아 돌아가려니
風煙千古愁 눈앞에 펼쳐진 경치 만고의 시름인 듯
古仙若可作 내 만약 옛 신선처럼 될 수만 있다면
於此従之遊 여기서 그들 따라 싫토록 놀고 가리
통천 옹천1)(通川 翁遷)
峻岩臨海作懸崖 험한 바위 바다 막아 높은 벼랑 되였으니
棧道緑空望欲迷 구름다리 공중 걸려 바라보니 어지럽네
俯瞰狂瀾深莫尺 굽어보니 미친 파도 그 깊이 알 수 없는데
仰攀危磴滑難梯 톺아오를 돌길은 아슬하고 미끄러워라
行人匍匐投雙手 사람들은 엎드려 두 손 잡고 기여가고
赢馬凌兢跼四蹄 여윈 말은 겁을 먹고 네 굽을 움츠리네
叱馭王公
畏慎 마부를 호령하는 왕공자신도 떨거늘
解飛漢士亦顛躋 날 줄 아는 신선도 걸쳐 넘어지리라
險巇豈與井陘比 험하고 가파롭기 정경관에 비길소냐
要害應將函谷齊 요새로는 모름지기 함곡관 같으리라
聞道賊軍曾過此 외적들이 이곳을 넘나 들었다 하거늘
恠無良將一丸泥 어찌하여 이런 길목 쉽게 지킬 명장 없었노
흡곡 천도(歙谷 穿島)
小島出洪濤 큰 파도 답새기는 이 작은 섬에
橫穿作通穴 가로 뚫린 훤한 구멍 마주 났기에
南北水互連 남북 물이 서로 만나
相激碎飛雪 맞부딪쳐 부서지며 눈발 날리네
満島石状奇 기묘하게 생긴 바위 온 섬에 가득 차
條條均削截 줄기줄기 한결같이 깎아질렀네
橫臥若積籌 산가치를 쌓은 듯 가로 누운 것
倒垂如裏鐵 무쇠기둥 감싸듯 거꾸로 선 것
長者束而立 긴 것은 한데 묶어세운 듯
短者散以列 짧은 것은 흩어지고 널리여 있네
陰崖或作窪 그늘진 벼랑에는 웅뎅이 생겨
驚浪常春齧 놀란 파도 쉬임없이 찧고 깨물어
穴中小廣平 구멍 안이 좀 넓고 평평하지만
坐席無地設 앉을 자리 펼만 한 땅도 없어라
苔石滑而側 이끼돌은 미끄럽고 기울어지고
腥潤不清潔 비린내 풍기여서 불결하여라
海風忽打頭 바다바람 갑자기 머리를 치니
須臾心不悅 잠시나마 마음이 불쾌해지네
望崖促行舟 기슭을 바라보며 배를 재촉해
舟人力鼓枻 사공이 힘 다하여 삿대질하니
行行白沙渚 가고 가서 백사장 물가에 닿아
始喜免魚
고기밥을 면했음을 기뻐했노라
以島比叢石 이 섬을 저 총석에 대비한다면
奚止十倍劣 열곱이나 못 미칠 뿐이겠는가
觀彼此可遣 저것 보면 이것은 말이 아닌데
悔余信人説 남의 말 믿은 것을 후회하노라
使賓遠聞名 사신과 손 멀리서 헛소문 듣고
来往無時節 무시로 왔다갔다 하는 바람에
豈惟舟楫労 배사공이 배를 모는 고생뿐더러
亦凌民膏血 백성들의 고혈을 짜내는구나
霹靂不摧残 벼락이 이 섬을 쳐없애기 전엔
此害何時絶 이 페단이 언제나 가셔질 건가
안변 국도(1수)(安邊 國島)
蒼海支流作鏡湖 푸른 바다 한구석이 거울같은 호수 되여
青奉四擁水平鋪 산봉우리 둘러싸고 물면은 잔잔해라
中藏別島非塵土 그 복판에 섬이 있어 세속의 땅 아니니
上有高臺作畫圖 섬 우의 높은 루대 그림같이 아름답네
日映波心跳尺鯉 물속 깊이 해빛들어 한자 잉어 꼬리쳐 놀고
雨晴沙觜戱雙鳧 비 멎은 모래불에 쌍오리가 희롱하누나
百年前輩風流散 백년 전 선배들의 풍류 흩어졌으나
唯有長松老不枯 아직도 높은 솔은 늙어가며 살아있네
안변 국도(2수)(安邊 國島)
仙島遥疑駕六鰲 여섯 마리 자라 타고 신선섬2)에 왔다가
茫茫去路隔雲濤 구름파도 망망하여 돌아갈 길 막혔는가
浮宮一朶孤峰兀 물 우에 뜬 궁전인 양 외봉우리 우뚝 솟고
揷海千條恠石高 천 개의 괴석들은 바다 우의 기둥 같네
望斷身嗟無鳥翼 날개 없다 한탄하며 단념하던 이 몸으로
渉來命恐等鴻毛 새털 같은 목숨 될가 떨면서 건너왔네
満磯苔上散輕葉 이끼덮인 물가돌에 가랑잎 휘뿌리며
打岸風前掀小舠 기슭 치는 바람 안고 거루배 끌어올릴 때
搖棹疲民流熱汗 노 젓는 지친 백성 구슬땀을 흘리나니
具筵貧邑瀝殘膏 남은 술과 고기로 빈촌사람 대접했네
若為添作東溟水 만약에 동해물 여기다 끌어들여
没盡奇觀免此労 묘한 경치 잠근다면 이 고생을 안할 것을···
고성(1수)(高城)
海嶠昏陰巻 바다산에 어두운 구름 감기고
村墟霽景明 마을쪽엔 비 걷히니 경치 맑아라
晩涼浮几席 늦은 선기 자리 우에 떠돌아들고
空翠落簷楹 잎사귀는 기둥 밑에 떨어지네
雪裡苔岩痩 이끼바위 눈 속에서 여윌 것이나
風前麥壠平 모래밭은 바람 안고 무연하여라
屡經凋弊邑 초라한 이 고을에 자주 와보나
無術濟民生 백성살림 추세울 길이 없어라
고성(2수)(高城)
倦遊南北路茫茫 떠다니기 지쳤으니 남북길이 망망해라
來往如梭有底忙 북같이 왔다갔다 왜 이다지 분주한고
翠麓断時看佛塔 푸른 기슭 끝나니 절간 탑 보이는데
橫峯高處踞胡床 봉우리 높은데서 접의자에 앉았어라
老鴉村樹秋烟淡 까마귀집 정자나무 가을안개 살짝 끼고
痩馬河堤暮莫黃 말 놓은 강언덕에 저녁풀이 누렇고나
弊郡殘民誠可憫 쇠한 고을 백성들 참말로 가련쿠나
一年生理失農桑 한해 동안 살아나갈 농사를 망쳤으니···
고성(3수)(高城)
竹雨松風嶺半樓 비 오고 바람 부는 대솔밭 산허리
登臨到底占清幽 다락에 올라서니 자못 맑고 그윽해라
忽將濕熱彤雲夏 붉은 구름 낀 무더운 여름날에 갑자기
翻作淒涼白露秋 흰 이슬이 신선한 가을날씨 되는고나
[네이버 지식백과] 안축의 금강산 한자시선 (북한지리정보: 금강산 한자시선(상), 2004.)
'金剛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추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12 |
---|---|
리제현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12 |
전치유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리곡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신천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