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12. 09:24ㆍ金剛山
리달충(李達衷, ?-1385)은 고려 말기에 활동한 문인. 자는 지중(止中), 호는 재정(齋亭). 벼슬은 성균제주, 호부 상서까지 하였다. 집권파관료들의 부패 무능을 비판한 것으로 하여 그들의 미움을 받고 여러 차례에 걸쳐 파면 당하는 등 곡절을 겪었다. 시에 능하였을 뿐 아니라 재능 있는 문장가로 명설을 떨치였다. 시문집으로 《재정집》이 있다.
삼일포(三日浦)
沙路漫漫遠並瀛 모래길 길고 길어 먼 바다와 잇닿았고
雲山漠漠近鋪屏 구름낀 산 아득하여 병풍처럼 둘러있네
四仙亭畔訪仙筆 사선정 찾아가서 신선필적 구경할제
三日浦頭投鷺汀 삼일포 물가에는 해오라기 날아예네
통천 총석정(通川 叢石亭)
冥捜晨登群玉峰 새벽부터 길 더듬어 옥봉우리 올라서니
海日欲上雲錦濃 바다해가 뜨려는가 비단구름 진하구나
珊瑚老樹枝葉脫 산호 같은 늙은 나무 가지잎이 벗겨지고
砥柱湍驚煙露重 여울에 선 숫돌바위 물안개 자욱해라
歳月糢糊峴首碣 고개마루 비석은 그 년월 알 길 없고
風霜寂歷蛾眉松 아미같은 소나무에 풍상자취 적막해라
莫詠滄浪濯斯清 창파의 물결에 씻겨 이렇듯 맑다 읊지 말고
休歌粲爛生不逢 찬란한 경치 생전에 볼 수 없다 노래 말라
老胡曾來獨大叫 늙은 몸 여기 와서 혼자 소리쳐 불러도
仙子已去吾誰従 신선은 이미 가버렸으니 누구와 함께 상종하리
小立峰頭便上馬 봉우리에 잠시 섰다 다시 말에 오르니
塵卑未合攀高蹤 높이 뛰는 이내 몸에 속된 티끌 묻지 못하리
통천 금란굴(通川 金幱窟)
菩薩何為住石間 보살이 하필이면 바위 속에 살면서
剩令吾俗費躋攀 사람들이 험한 길을 찾아오게 하는고
雲濤烟浪相春激 구름과 파도 서로 찧고 쫗고 흘러가도
素服華冠豈老殘 흰 옷에 꽃갓 쓴 그 모습 변할소냐
寂滅知他無體現 형체없이 나타남이 불교의 적멸이니
依稀祗自有心看 마음으로 보아야 그 모습 방불하리
聲求色見已為妄 얼굴 보고 말 듣자는 그것부터 허망한데
目撃道存尤所難 도가 있다는 것 목격하긴 어려워라
[네이버 지식백과] 리달충의 금강산 한자시선 (북한지리정보: 금강산 한자시선(상), 2004.)
'金剛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색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12 |
---|---|
정몽주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12 |
정추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12 |
리제현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12 |
안축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