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7. 12:49ㆍ金剛山
김극기(金克己, 12세기 말-13세기 초)는 고려 중엽에 활동한 시인. 호는 로봉(老峰). 어려서부터 남달리 총명하고 비상한 창작적 기량을 지니여 그의 말은 마디마디 그대로 문장이 되고 시로 되여 사람들을 경탄시키였다고 한다. 일찌기 진사시험에 합격하였으나 벼슬살이를 원하지 않았고 거의 한생을 산촌에 살면서 농민들과 깊이 사귀였으며 창작으로 락을 삼았다. 시문집으로 《김거사집》이 편찬출판되였다고 하나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통천 총석정(1수)(通川 叢石亭)
不用区区比鳳笙 총석을 어찌하여 생황1) 모양에 비기랴
奇形詭状諒難名 기묘한 그 형상을 표현하기 어려워라
初疑漢柱撑空去 처음에는 하늘 고인 궁전기둥인가 했더니
更恐奏橋跨海行 아마도 바다 우에 뜬 구름다리인가 부다
刻削鬼功偏耗巧 깎아 세운 귀신 솜씨 갖은 공력 다 들인 듯
護持神力暗儲精 신령스런 힘 지니여 온갖 정화 이루었네
浪聲亂碎喧鼙鼓 북을 치듯 어지러이 부서지는 파도소리에
潭底驪龍夢幾驚 물바닥 검은 룡은 꿈속에서 몇 번이나 놀라 깨였나
통천 총석정(2수)(通川 叢石亭)
東遊大壑訪鴻濛 동방의 큰 골짜기 해뜨는 곳 찾아오니
萬像奔趨一望中 만 가지 모양 달려와서 한눈에 안기누나
石束鸞笙臨碧海 피리 묶어 세운 듯 바위돌은 푸른 바다 접해있고
松飛孔蓋向靑空 큰 일산 펼친 듯 소나무는 하늘 향해 흔들리네
大聲拂耳鯨牙浪 고래 같은 파도는 귀가 메게 소리치고
寒気侵膚鶴羽風 학깃 같은 바람이 몸에 스며 추워지네
恐我前身非俗士 아마도 나의 전신 속된 선비 아닐지니
真遊亦與四仙同 당시에 네 신선과 함께 놀았으리라
통천 총석정(3수)(通川 叢石亭)
奇巖枕海忽叢生 바다 낀 기암들이 무지무지 생겼으니
始信亭因石得名 돌에서 딴 정자이름 과연 옳다 믿어지네
携下漢邊隨博望 박망후2)가 가지고 온 은하수의 옥돌인가
叱行山上
初平 황초평3)이 호령하던 금화산의 돌양인가
神功可補東南缺 동남방이 허전한 걸 신력으로 막았으니
俗議寧容甲乙評 갑론을박 속된 론의 들을 필요 있겠는가
莫怪仙菖會縱賞 신선들이 마음껏 탐승한 일 의심 말라
探幽訪異古今情 절승경개 찾는 것은 고금에 통한 심정이거니···
통천 총석정(4수)(通川 叢石亭)
海面無風碧似鋪 바다면에 바람없어 푸른 주단 펴놓은 듯
奇巖跨水勢尤殊 물을 타고 앉은 기암 기세 더욱 볼만 해라
東觀日出鞭來否 해 돋는 곳 보려고 진시황4) 몰아온 돌인가
北補天傾鍊去無 북쪽 하늘 보태려고 녀와5)가 다듬은 돌이런가
廬阜三粱徒作記 려산기, 삼량기6)는 공연히 지었으며
蜀川八陣浪成圖 촉천도, 팔진도7)는 쓸데없이 그렸고나
豈如束立溟波上 파도 우에 묶어세운 총석경치만 하랴
軒騎探尋日宴娛 가마와 말 찾아들어 매일 흥성거리네
통천 총석정(5수)(通川 叢石亭)
金蘭古郡枕巨壑 금란이란 옛 고을 큰 골짜기 끼고 있어
壮觀世上誰爭雄 장한 경치 세상에서 누가 으뜸을 다투랴
七星臺上起傑閤 칠성대에 훌륭한 다락집을 일으키니
欄檻倚雲浮靑紅 구름 덮인 란간에는 울긋불긋 꽃 떠있네
亭前叢叢幾株石 정자 앞에 무지무지 돌기둥이 그 얼마인고
逸勢突兀撑半空 기운차게 우뚝우뚝 반공을 떠받쳤네
誰識靈根裂九地 신령스런 돌뿌리가 대지를 째고 들어
下磻萬仭洪濤中 만길 파도속에 꽂힌 줄 누가 알리
頭頭駢立自纏束 나란히 선 바위머리 저절로 다발 되니
面面削成誰琢礱 깎아지른 바위면은 누가 갈고 갈았던가
控帶層崖誇挺拔 띠를 두른 층층 벼랑 패여 남을 자랑하며
鼈頭屭贔抃方蓬 자라머리 설레설레 신선경에 춤추는 듯
凌臨駭浪擬騰翥 덮쳐드는 놀란 파도 솟구쳐 날아오르는 듯
鳳翼參差橫昊穹 봉황새 날개 들쑥날쑥 창공 가로 질렀네
却恐秦皇欲架海 아마도 옛날 왕이 해솟는 새벽 동쪽
往觀曉日初生東 가보려고 바다 속에 디딤돌을 놓았는가
不爾天孫機下石 아니면 직녀성이 베틀 아래 고인돌을
遥隨漢使墜星宮 한나라 사신편에 떨구어 보냈는가
始謂天翁本不宰 하늘이 이 조화를 맡아 한 것 아니라면
如何刻晝誇紳巧 깎고 그린 귀신솜씨 이다지도 희한하랴
功成深藏亥步外 만들어 깊이 감춘 천태만상 기묘한 모양
萬状詭特難終窮 걸음 빠른 옛사람도 다 돌아보지 못하리
虢人揮斤尙非巧 괵나라 사람들의 도끼로도 못 다듬고
張子落筆殊不工 장자도 붓을 던져 그려 내지 못했어라
乃知天奇固絶世 하늘 솜씨 절세에 기묘함을 알았으니
人力未可侔形容 인력으로 그 형상을 본딸 수는 없으리라
幾時官家命法駕 하루속히 관가에서 임금행차 마련하여
觀向岱嶽東登封 동방명산 바라보며 이 산 올라 제 지내고
金泥玉檢紀功德 금인 찍힌 옥돌판에 그 공덕을 아로새겨
斲作寶成再重 보배로운 함을 쪼아 길이 전할 것이어늘
可憐奇才未見用 가련하다 기특한 공 알아주지 아니하고
空被陽候吼怒日夕來相攻 공연히 물귀신 노여움 산 듯 밤낮으로 파도에만 시달리누나
흡곡 천도(歙谷 穿島)
千尋海面湧仙山 천길 되는 바다 우에 신선의 섬 솟았는데
洞戶橫穿疊壁間 암벽을 가로 질러 굴구멍이 맞뚫렸네
誰向月中呼一戶 그 누가 달 속에다 집 한 채 짓겠다고
玉斤鑱破碧孱顔 옥도끼로 날카롭게 험한 바위 찍어냈노
고성 명사(高城 鳴沙)
馬閑行海上汀 말을 내려 한가로이 백사장을 거니는데
寒沙策策趁人鳴 찬 모래 바삭바삭 나를 따라 소리 내네
感傷肯到無情物 측은한 마음이야 목석엔들 안 미치랴
怜汝向由亦不平 애처롭다 너도 또한 무슨 일에 불평이냐
회양 철령8)(淮陽 鐵嶺)
巉巉高不極 아슬히 높고 험한 이 산이
巨勢鎭關東 거세찬 기세로 관동을 지키나니
頂逈侵天盡 산마루는 까마득 하늘에 닿고
跟深徹地窮 밑뿌리는 땅속 깊숙이 박혔네
冬威春冽冽 겨울 기운 남아 봄철까지 쌀쌀하고
暝色晝濛濛 어두운 빛 감돌아 낮에도 침침쿠나
鶴驚峰腰露 산허리에 이슬 내려 학은 놀라 깨고
猿号洞口風 골어구에 불어드는 바람에 원숭이 울부짖네
頹崖飛雨黑 날벼랑은 비 뿌려 컴컴하고
秀嶺落霞紅 높은 봉우리엔 노을 붉게 비꼈는데
下顧塵寰隔 굽어보면 티끌세상 떨어져있는 듯
前尋石磴通 앞에는 바위짬 오솔길 통해 있어라
攢巒擎戌堡 모여든 봉우리들 군사보루 떠받들고
疊嶂抱靈宮 산은 첩첩 둘러 신선궁전 옹위하네
紫気籠靑峭 자색구름 청산에 짙게 감돌고
丹霏噴碧空 붉은 안개비 창공에 뿜어올라라
馬蹄懸樹杪 말발굽은 나무 끝에 걸려있는 듯
人影閃雲中 사람 모습 구름 속에 얼른거리누나
溜接星河浪 물은 흘러 은하수에 잇닿았고
林兮月桂叢 수림은 월계수런 듯 총총하여라
狐丘看袞岱 여우굴 언덕에서 큰 산을 쳐다보고
觀垤視華嵩 개미뚝에서 높은 산 바라보는 듯 하여라
鳳管吟難功 봉황의 악기로도 노래하기 어렵고
鮫綃寫未工 인어가 짠 비단으로도 그려내지 못하리
鑿開煩力士 산길을 내느라 공들인 장사
移厝笑愚公 산을 옮겼다는 우공을 비웃었으리
眺聽皆殊特 보는 것 듣는 것 모두가 신기하거니
誰知造化功 하늘의 조화임을 그 누가 알랴
[네이버 지식백과] 김극기의 금강산 한자시선 (북한지리정보: 금강산 한자시선(상), 2004.)
'金剛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천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
민지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리인로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김부의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최치원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