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7. 12:48ㆍ金剛山
리인로(李仁老, 1152-1220)는 12세기 말~13세기 초에 활동한 시인, 학자. 자는 미수(眉叟), 호는 쌍명재(雙明斎). 벼슬은 우간의대부에 이르렀다. 1170년 무신정변 이후에는 《해좌칠현》의 대표적 시인으로서 《세상살이 어려워라》를 비롯하여 악착하고 불합리한 현실에 대한 예리한 비판과 결합된 랑만주의적 경향의 시들을 많이 썼다. 시문집으로 《은대집》, 《쌍명재집》이 있었다고 하나 전하지 않고 패설작품집인 《파한집》이 남아 전해지고 있다.
영랑호(永郞湖)
紫淵深深紅日浴 깊고 깊은 자지빛 영랑호 붉은 해 여기서 목욕함이런가
萬丈光焰浮暘谷 만리창공에 해살 뿌리며 동쪽 계곡에 솟아올랐구나
晨霞爍石虹貫岩 돌을 녹이려나 새벽노을 무지개 되여 바위를 뚫었거니
蒸作丹砂知幾斛 단사로 변한 붉은 모래 많고 많아 그 몇 섬인가
娟娟秋水出芙蓉 잔잔한 가을물에 련꽃송이 곱게 피여나고
皎皎玉牀垂箭鏃 맑고 맑은 구슬상에 화살촉 드리웠나
碧波窮處洞門開 푸른 물결 끝난 곳에 골문이 열렸는데
一徑繚繞三茅腹 초가 세 채 앞을 지나 오솔길 구불구불
天遥陸斷鸞鶴袁 하늘가 아득히 지평선 너머 란새와 학이 날아가고
悠悠仙樂聞琴筑 저 멀리 신선음악 가야금에 실려 들려오네
憶昔劉安玉骨輕 그 옛날 류안은 귀한 풍채 가벼워서
雲間鷄犬相追逐 구름 속에 날아올라 닭과 개를 쫓았는데
仙蹤却恐世人知 신선이 되는 길을 세상사람 알가 두려워
故向枕中寶籙藏 베개 속 깊숙이 비기책 감추었다네
我生早讀紫霞篇 내가 그 중 자하편을 남 먼저 몰래 읽었으나
恥將白柄尋黃獨 맨손으로 토란 깨는 격 장차 어찌될가 두렵구나
爐中已試錙銖火 화로에 시험 삼아 불씨를 일구었거니
鼎裏直敎龍虎伏 솥에 약을 달여 룡과 범도 길들이리
不用忽忽騎馬去 총총히 말을 달려 어찌 떠나버릴손가
山中邂逅幾人覿 산중에서 어찌하면 신선 만날 수도 있으리라
[네이버 지식백과] 리인로의 금강산 한자시선 (북한지리정보: 금강산 한자시선(상), 2004.)
'金剛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지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
김극기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김부의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최치원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박장원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