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7. 12:52ㆍ金剛山
민지(閔漬, 1248-1326)는 13세기 후반기~14세기 초에 활동한 학자. 자는 룡연(龍涎), 호는 묵헌(黙軒). 벼슬은 수정승 등을 지내였다. 당대의 명망 높은 학자로서 《편년강목》, 《세대편년절요》 등의 편찬에 참가하였다. 시문집으로 《묵헌집》이 있다.
금강산(金剛山)
關東一座金剛山 관동땅 제일명승 금강산
巋然獨秀高城北 고성 북쪽에 홀로 우뚝 솟았구나
惟山之大幾千圍 명산의 크기는 몇 천 아름이 되는고
由旬數里無人識 두루 다녀봐도 리수를 아는 이 없어라
惟山之高幾千丈 명산의 높이는 또 몇 천 길이나 되는고
家頂似與銀河接 높고 높은 산정은 은하수에 닿은 듯 하여라
撑天柱地嵬嵬乎 하늘과 땅 버티고 아아히 솟은 네 모습
厥大厥高誰敢及 크기로나 높이로나 누가 감히 따르랴
我欲覽此山之形 명산의 기이한 형세 내 돌아보고저
始上尼岩忘世情 중바위에 처음 올라설제 세상 인정 잊었도다
流汗喊呀登狗嶺 땀 흘리며 허덕이며 개고개에 올라서니
盧偆井溢含餘倩 로춘정에 맑은 물 철철 넘쳐나네
漸高山勢似還下 높고 높던 산세는 점점 낮아져 산 밑에 내린 듯 한데
路逐溪邊尤未平 시내 따라 뻗은 오솔길 더욱 평탄치 않아라
及登歎喜未聞鐘 환희재에 오르니 종소리는 안 들리고
但見撑漢山重重 오로지 은하수에 잇닿은 중중첩첩 산들만 보일 뿐
從此至於三峽橋 여기서부터 삼협교에 이르기까지
長溪雪翻巨壑中 흰 눈 날리는 큰 시내물 골짜기에 차 넘치여라
又從此至丹楓橋 다시 이곳에서 단풍교에 이르는 사이론
寬平直路通下腰 평탄하고 곧은 길 산허리로 통하였어라
次有白雲明月橋 그 다음엔 백운대 명월교가 있는데
臨橋屋角干雲霄 다리에 이르니 구름 속에 잠긴 집 보이여라
正値山西日欲側 해는 산 서켠으로 넘어가 저녁이 깃들 무렵
扣門剥啄請留宿 똑똑똑 문을 두드려 하루밤 묵어 가자 청하였네
僧言此是古楡岾 중이 하는 말 이 집은 옛 유점사라
經營已久将蕪沒 세운지 오래되여 무너져 페절되여 갈제
適有信心大檀越 때마침 성실한 이 크게 시주하며
發願重剏為願刹 소원성취 빌어 이 절을 다시 세우고
改為壽聖報德寺 이름 고쳐 수성보덕사라 하였는데
新榜巨手金生筆 현판에는 옛 명필 김생의 글씨 걸려있네
一一皆是僧之言 이 이야기는 모두 중의 말이거늘
我欲此行在今日 이곳 찾은 보람 오늘에 있다 하리로다
北有金書解脫門 절간 북쪽에는 금자로 쓴 해탈문 있고
左右四大天王門 그 좌우에는 네 천왕 모신 천왕문이 있는데
第三門內亦何有 세 번째 문안엔 또 무엇이 있는고
庭有端荘靑石塔 뜰에는 단정하고 장엄한 푸른 돌탑 섰는데
能仁寶殿金篆光 능인보전이라 쓴 금빛 뿌리는 전자글씨
似有黃龍未起蟄 황룡이 있는 듯 하건만 꿈틀거리지 않아라
怳始地湧寶光殿 황홀하다 땅 우에 솟은 저 보광전
緑窓朱戶黃金屋 창문은 초록빛 지게문은 황금빛
中有金仙五十三 안에는 금부처 쉰세상 있는데
泛鐘至此自身毒 서역에서 종을 타고 이곳에 왔다 하네
是寺院內曾無泉 그 옛날 이 절간엔 샘물이 안 나와
居僧常苦下溪汲 여기 살던 중들 물 길어먹기 고생스럽더니
有井忽随烏啄流 까마귀 쪼아서 샘물터를 찾았다고
因名是井為烏啄 우물 이름 오탁정이라 하였다네
如斯勝事可勝言 이런 일 이런 이야기 어이 다 말하랴
具載流傳書十幅 글로써 전한다 해도 열 책은 넘으리라
我幸入此山中來 내 다행히 여기노라 이 산속에 들어온 것을
宣借閑房歇行脚 마땅히 집을 얻어 다리쉼하고 싶어도
未償宿志忙欲憤 보고 싶던 소원 이루지 않고는 견딜 수 없어
翌日便着登山履 다음날 일어나자마자 등산길에 다시 올랐네
過溪先賞普賢庵 시내물 건너 가서 먼저 본 것 보현암
雲深木老最幽獨 구름 속에 늙은 나무 더없이 그윽해라
鴈門岾壓香爐峰 안문점에 올라 향로봉을 굽어볼제
松柏盛蔓盤如葛 소나무 잣나무 무성하여 칡넝쿨인 양 얽혀있네
嵯峨最高人不來 우뚝 솟은 산봉우리 너무 높아 사람은 갈 수 없고
惟有鴈飛通箭筶 오로지 기러기만 살같이 날아 지나누나
同遊呼指萬年松 같이 가는 나그네 멀리 가리키는 만년송
實非松柏似松柏 실상은 송백이 아니요 송백같이 보이여라
長不盈尺青婆娑 키는 한 자도 못되나 푸른 기상 아름답고
風雪未能傾苦節 풍설도 그 절개 꺾지 못하여라
曾聞一萬二千峰 일찌기 듣건대 금강산 일만 이천 봉우리라 하였거늘
倍前所聞數不得 이미 들은 것보다 갑절 많아 그 얼마인지 헤아릴 수 없어라
又聞菩薩數如峰 내 또 들었노라 금강산 보살수 산봉우리와 같다고
肉眼末能窺彷彿 허나 굽어 살피건대 내 눈엔 그 비슷한 것도 보이지 않네
岾有永郎名謂何 영랑재란 그 이름 어찌하여 생겨났노
因有古仙遊此嶽 먼 옛날 신선이 이 산에서 놀고 간 데 기인된 것이여라
上有白雲名亦何 그 우에 있는 백운봉 그 이름은 또 어찌된 것이냐
日夜白雲棲嶺室 낮과 밤 따로 없이 흰 구름 떠돌기 때문이라네
更有最包國望岾 그 우에 다시 가장 높은 곳에 국망봉 있거니
奚唯國望總無隔 어찌 나라만 보이고 다른 것은 다 막혔다 하랴
已上岾高更何論 이보다 높은 령 더 말해 무엇하랴
日過月過互搪揬 해와 달도 지나다가 서로 부딪칠 듯
望之意欲遍登臨 바라보면 볼수록 오르고 싶은 마음뿐이건만
足心酸澀不能陟 발바닥이 아파서 올라갈 수 없구나
翻身東下九淵洞 몸을 돌려 동쪽으로 구룡동에 내려가니
九龍名窟千尋碧 아홉룡 도사린 아홉개 굴 푸른 물이 천 길일세
次復南登般若臺 그 다음 다시 남쪽으로 반야대에 올라가니
陰深風多日色薄 그늘 깊고 바람 많아 해빛도 얕아라
西行又入百川洞 서쪽으로 걸음 옮겨 또 백천동에 들어서니
百川分派綴林麓 백 군데로 갈라진 물 숲속을 뚫고 흘러가네
北去復尋萬瀑洞 북쪽으로 들어가서 만폭동을 찾아들자
萬瀑分層吼空谷 일만 폭포 층을 이루고 빈 골짜기 울부짖네
群岾之中拜岾低 뭇 봉우리들 가운데서 배재령 제일 낮고
神琳庵外蒼龍伏 신림암 뒤산에는 푸른 룡 엎드린 듯
僧言昔有王将軍 중의 말 그 옛날 왕장군이
行及此岾拜菩薩 이 고개 넘다가 보살 만나 절했다네
又言有時松檜門 중의 말이 옛날 여기에 송회문이 있어
菩薩放光如白日 보살이 해빛처럼 밝은 빛 뿌렸다네
乘昏請宿表訓寺 해 저물어 표훈사 찾아 묵어가기 청했더니
老僧迎門餉蔬糲 늙은 중 문 열어맞고 산나물밥 대접하여라
餉已將書呈我前 저녁 후 내 앞에 책 한 권 드리거늘
開巻始謁曇焦竭 뚜껑 열고 앞장에서 보살상을 보았노라
我愛菩薩波崙者 그 중에도 파륜보살 나는 사랑하거니
賣肝供養學般若 간을 팔아 공양하고 지혜를 배웠다네
聖蹟一如經所傅 전해지는 불경 이야기 성인사적 분명타면
多謝下工早成籍 고마워라 나 같은 사람도 공부할 수 있으리라
凌晨寓目金剛臺 날이 새자 이른 새벽 금강대에 올라보니
萬丈層岩向空落 만 길 되는 층층바위 허공에 떨어지는 듯
過此又有繋般處 이곳을 지나면 또 배를 매던 곳이 있거니
巨石一片挿雲角 큰 돌 하나가 구름 속에 끼여있네
常疑經云在海中 금강산 황홀경 바다 속에 있다는 말 내 의심했더니
見此舟痕解前感 이 배의 흔적 보고 전날의 의심이 풀리여라
今在平陸更何疑 륙지에 배가 있다 무엇이 이상하랴
由來海陵相翻覆 바다가 뭍이 되고 뭍이 바다 되여 왔거늘
石有觀音洗巾處 돌 우엔 관음보살 수건 빨던 돌이 있어
自陷如臼現霊蹟 스스로 절구같이 음푹 패워 령험사적 나타나네
次有臨溪七寶岩 다음은 계곡 따라 칠보암 있거니
七寶當流光灼爍 일곱가지 보물 물에 비쳐 반짝반짝
有二銅柱臨蒼崖 푸르른 저 벼랑에 의지한 두 구리기둥
凛然撑扶普徳窟 보덕굴을 떠받들고 든든히 서있구나
相傅蹲坐石獅子 전하는 말에 꿇어앉은 저 돌사자
奮迅哮吼防胡入 울부짖고 떨쳐나서 오랑캐 침입을 막았다네
尋溪又上離言臺 시내 따라 들어가서 리언대에 오르니
一般雲物更奇絶 구름 속에 잠긴 뭇 경치 참으로 아름다워라
石面誰撒眞珠來 돌 우에 누가 뿌렸는고 새하얀 진주알을
交光奔流啜山色 반짝반짝 굴러내려 산빛 속에 흘러드네
佛地庵前石壁間 불지암 앞에 있는 돌벼랑 사이에는
誰復新雕大彌勒 누구인가 미륵불 크게 새로 만들었네
仰面合掌心歸依 얼굴 들어 합장하고 공손히 바라볼제
落落坐臨喬木末 너그러이 앉은 그 모습 나무 끝에 걸려있구나
又復進歩登猿岩 또다시 걸어나가 원숭이 바위 앞에 올라서니
崎嶇形勝望何極 높고도 웅장한 산경치 볼수록 가관일세
起伏穹嶐巒幾<span data-
'金剛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곡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
신천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김극기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리인로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김부의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