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상식(63)
-
[스크랩] 後赤壁賦
後赤壁賦(후적벽부) 蘇軾(소식) 성독 후적벽부.mp3 是歲十月之望에 步自雪堂하여 將歸于臨皐할새 二客從予라 過黃泥之坂하니 霜露旣降하고 木葉盡脫이라 人影在地어늘 仰見明月이라 顧而樂之하여 行歌相答이라 蘇-소생할 소 軾-수레앞턱 가로나무 식 皐-언덕 고 泥-진흙 니 坂-언덕 판 ..
2014.03.21 -
[스크랩] 한자의 부수(漢字部首)
부수란 한자 자전에서 글자를 찾는 데 길잡이가 되는, 글자의 한 부분이다. 이 부수는 한자의 기본이 되는 부분이므로, 부수의 뜻을 알면 그 한자의 뜻을 대강 짐작할 수도 있다. 한자의 부수 글자는 214 자가 있는데, 부수가 놓인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변 : 글자의 ..
2014.02.03 -
한자숫자쓰기
은행에 들어가면 카운터 유리창 혹은 테이블 앞에 “壹(yī) 、贰(èr) 、叁(shān) 、肆(sì) 、伍(wǔ) 、陆(liù) 、柒(qī) 、捌(bā) 、玖(jiǔ) 、拾(shí) ”라고 표시된 한자를 볼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재무관리 시 영수증, 수표 등을..
2014.02.03 -
[스크랩] 열락과 삼락 - 학습의 뜻
說樂 논어 해설 '學而'편 --- 군자론 : 성인의 말씀을 배워서 따라 하면 최소한 군자는 된다.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有朋 自遠方來 不亦樂乎. 유붕 자원방래 불역락호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慍(성내다, 화, 노여..
2014.01.29 -
[스크랩] 죽림칠현(竹林七賢)
죽림칠현도 죽림칠현(竹林七賢)은 중국 위(魏) , 진(晉) 왕조 시절 완적(阮籍) , 혜강(嵆康) , 산도(山濤) , 상수(向秀) , 유령(劉伶) , 완함(阮咸) , 왕융(王戎)을 가리킨다. 정치 권력에는 등을 돌리고 죽림에 모여 거문고와 술을 즐기며, 청담(淸談)을 주고받고 세월을 보낸 일곱 명의 선비..
2013.11.20 -
進 學 解 - 韓 愈
進 學 解 解 題 文 韓 愈 본편은 憲宗 元和 6년. 811년에 지은 글로, 학자의 자세로 학업에 정진함과 꾸준한 덕행에 힘 써야 하는 것을 강조하며, 정치적으로는 불우한 생을 보냈던 성인인 맹자와 순자를 예로 들면서, 자신의 처지를 묵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글을 읽은 재상은 작자를 ..
2013.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