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상식(63)
-
[스크랩] 백거이(白居易)-장한가(長恨歌), 비파행(琵琶行).
<느낌이 있는 여행> 양귀비(楊貴妃)와 당(唐)현종(玄宗) 장한가(長恨歌)는 당(唐)나라 6대 왕 현종(玄宗:AD685--762)과 양귀비의 사랑을 소재로 한 120행 840자로 된 장시(長詩)이며 비극적인 역사적 사실을 읊은 백거이(白居易)의 대표적 서사시(敍事詩)이기도 하다. 황제가 양귀비(楊貴妃)..
2013.02.28 -
[스크랩] 설도(薛濤)-동심초(同心草)
꽃잎은 하염없이 바람에 지고... 만날 날 아득한데 기약이 없네... 무어라 맘과 맘은 맺지 못하고 한갓 되이 풀잎만 맺으려는가~♪♬. 절절한 그리움이 녹아든 애절하면서도 슬픈 이 노랫말을 누가 지었을까~? 나는 동심초(同心草)의 노랫말을 지은 그 누군가가 무척이나 궁금했었다. 소프..
2013.02.28 -
[스크랩] 두보(杜甫),-등악양루(登岳陽樓), 추흥(秋興).登高(등고).
<느낌이 있는 여행> 登岳陽樓(등악양루) 두보(杜甫)일가는 양자강을 중심으로 유랑 중에 악주(岳州)에서 동정호(洞庭湖)로 들어와 1년 수 개월 간 동정호 일대를 떠돌아다니며 살았다. 말로만 듣던 악양루(岳陽樓)에 올라 동정호수(洞庭湖水)를 바라보며 감회에 젖어 지은 詩 "등악양..
2013.02.28 -
[스크랩] 장계(張繼)-풍교야박(楓橋夜泊)
<느낌이 있는 여행> 楓橋夜泊(풍교야박)... 밤배 풍교에 깃들다. 풍교야박(楓橋夜泊)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장계(張繼)가 과거시험에 응시 했다가 세 번 째 낙방을 한 직후에 쓴 시(詩)라는 점부터 알아야 한다. 그의 나이 56세 때 그러니깐 당나라 중기 현종 때 쓴 詩다. 중국은 나라가 ..
2013.02.28 -
[스크랩] 왕희지(王羲之)-난정서(蘭亭序),
<느낌이 있는 여행> 왕희지(王羲之) 321~379 서성(書聖)으로 일컬어지는 중국 최고의 서예가(書藝家)로, 자는 일소(逸少)이고 낭야(瑯邪) 지금의 산둥성(山東省) 린이현(臨沂縣) 사람이다. 아버지 왕광(王曠)은 동진(東晉) 건국에 공을 세운 왕도(王導)의 사촌동생이 된다. 왕희지(王羲之)..
2013.02.28 -
[스크랩] 조식(曹植)-칠보시(七步詩): 일곱 걸음만에 지은 시.
<느낌이 있는 여행> 煮豆燃荳箕(자두연두기) : 콩깍지를 태워 콩을 삶는다. 조식(曹植) 192~ 232 중국(中國)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나라의 시인(詩人)이다. 자는 자건(子建). 시호는 진사왕(陳思王)이고 중국의 가장 위대한 서정시인(敍情詩人) 중 한사람으로 불리며, 아버지는 삼국시..
2013.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