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후기(17)
-
[스크랩] 4. 대한제국기의 개혁사업 > 2) 광무 양전 관계 발급 사업 다. 지계아문의 설립과 관계 발급 사업
다. 지계아문의 설립과 관계 발급 사업 대한제국은 양전 사업을 진행하고는 있었지만 토지의 소유권을 보장하는 제도는 아직 시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를 실시하라는 의견은 계속되었다. 〔사료 4-2-09〕「중추원 의장 김가진(金嘉鎭), 관계 발급 상소」 “삼가 생각건대, 나라..
2017.10.12 -
광무양전
광무양전 다른 표기 언어 光武量田 요약 1898~1904년에 걸쳐 전국적으로 시행된 양전. 목차펼치기 조선시대에 실시된 마지막 양전이며, 당시 고종의 연호를 따서 광무양전이라 불린다. 광무양전은 2단계로 시행되었다. 1898∼1901년은 탁지부(度支部) 산하 양지아문(量地衙門)에서 양전을 주관..
2017.10.12 -
光武量田事業
광무양전사업 다른 표기 언어 光武量田事業 툴바 메뉴 폰트확대|폰트축소|공유하기| 공유서비스 더보기카카오스토리트위터페이스북인쇄 미리보기|오류 수정 문의 요약 테이블시대 근대 성격 경제제도, 토지제도, 정부정책, 조사사업 유형 제도 시행일1898년 폐지일1904년 분야 역사/근대..
2017.10.12 -
양안
양안 동의어 도행장 다른 표기 언어 量案 요약 조세 부과를 목적으로 전지(田地)를 측량하여 만든 토지대장. 목차접기 내용 양안실례 조세부과를 목적으로 전지(田地)를 측량하여 만든 토지대장. 1719년(숙종 45)~1720년에 걸쳐 작성된 ≪경자양안≫이다.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내용 국가적인..
2017.10.12 -
量案
양안(量案) : 조선시대의 토지대장으로 일제초기 토지조사사업 때까지 사용되었던 장부로써 전적(田籍), 양안증서책(量案謄書冊), 전안(田案), 전답안(田畓案) 등이라 칭했으며 세금징수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양안에는 논밭의 소재지, 천자문의 자호, 지번, 양전방향, 토지형태, 지목, ..
2017.10.12 -
양지아문의 토지측량과 광무양안
(1) 양지아문의 토지측량과 광무양안 量地衙門은 성격상 정부기구 중에서 내부·탁지부·농상공부 등 3부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으며, 각기 내부의 土木局·版籍局과 탁지부의 司稅局, 농상공부의 農務局·鑛山局 등이 유기적으로 관련되었다. 그래서 양지아문 총재관은 별도의 관료를..
2017.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