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후기(17)
-
조선시대 관직품계 현대직위 비교
◈조선시대 관직품계 현대직위 비교◈ 조선시대 관직과 품계(官職과 品階) 품 계(品階) (현대의직위) 관 직 명(官職名) 정 1 품 (국무총리) 영의정 좌의정(문관) 우의정 도제조(이상 무관)영사 도제조 대장(이상 지방관) 종 1 품 (부총리) 좌찬성 우찬성 판사 제조,판사 정 2 품 (장관,차관, 본..
2017.08.18 -
[스크랩]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표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표♣ 댓글8 귀공자 이웃추가 | 2013. 4. 17. 15:27 앱으로 보기 본문 기타 기능 본문 폰트 크기 조정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공감하기 5 공유하기 URL복사 번역하기 ♣조선시대 품계와 관직표♣ ​ ​ 동반관직 - 문관의 품계-정1..
2017.08.18 -
칙명
주임관 임명에 사용하는 칙명지보 – 주임관고(奏任官誥) 吳凝 수취(受取), 世祖 발급(發給) - 발행사항 : 筆寫, 漢城 : 純宗 發給, 純宗 1(1907) - 크기(가로×세로 cm) : 32.0 x 45.0 cm - 책수 : 1張 - 청구기호 : 우촌古文2102.2-704 융희 1년(1907) 8월 20일에 6품 승훈랑(承訓郞) 강진수(姜進秀)를 주전..
2017.08.18 -
御製小學序
御製小學序 (어제소학서) 어제(御製)는 임금이 지은 글을 말하는데 임금이 직접 짓기도 하지만 지제교(知製敎: 조선시대 왕에게 교서 등을 기초하여 바치는 일을 담당한 관직)를 시켜 짓게 하기도 한다. 본 서문(序問)은 조선시대 숙종(肅宗)이 이덕성(李德成: 조선 후기의 문신)을 시켜 지..
2017.08.16 -
《대명집례(大明集禮)》 서문 - 숙종
○ 상이 친히 《대명집례(大明集禮)》 서문을 지어 정원에 내려 모두 책에 넣어 인쇄하게 하였다. 그 서문에 이르기를, “대저 천하의 지극한 이치는 다 예(禮)에 표현되어 있다. 예란 사람의 일상 생활이나 모든 사물의 타당한 것으로서, 체용(體用)이 다 갖추어져 있어서 작은 일이나 큰 ..
2017.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