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후기(17)
-
조선시대 주거 건축의 고찰
조선시대 주거 건축의 고찰 주택(가옥, 살림집) 이라는 것은 한 가족 단위의 구체적인 생활 공간이다. 모든 건축양식이 각 민족이나 시대, 지역 간의 문화사상적 특수성을 내포하고 있지만 특히 주택은 넓게는 민족성을 포괄하고 자연환경적 제반요소가 가미되어 시대상을 반영하는 구체..
2017.10.12 -
조선시대의 주택
조선시대의 주택 가. 인문 사회적 배경 1. 정치, 사회제도가 주택 건축에 미친 영향 (1) 가대(家垈)의 제한 조선시대의 정치 기구나 신분제도가 주택 건축에 미친 영향 중 그 첫째가 조선시대의 개국과 한양천도와 더불어 이루어진 가대의 제한이다. 한양의 땅 이 한정되어 있어 개성부에서..
2017.10.12 -
조선/행정구역
조선/행정구역 최근 수정 시각: 2017-09-20 22:47:10 상위 문서: 조선, 8도 1. 개요2. 지방관3. 경관직4. 외관직(8도)4.1. 감영(관찰사)4.2. 경기도4.3. 강원도4.4. 충청도4.5. 전라도4.6. 경상도4.7. 황해도4.8. 평안도4.9. 함경도5. 참고항목 1. 개요[편집] 조선의 행정구역(지방 제도)에 대해 정리한 문서이다..
2017.10.12 -
도행장(導行帳)
정의 고려 및 조선시대에 조세를 부과하기 위해 전지(田地)를 측량하고 구체적인 내용들을 자세히 기록한 토지대장.개설 고려시대를 비롯하여 조선시대에도 양전(量田)이 여러 차례 행해졌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법제상으로 20년에 한 번씩 양전을 실시하고, 그에 따라 양안(量案)을 3부..
2017.10.12 -
전안(田案)
정의 국가에서 토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양전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록한 장부.개설 전안은 양안을 지칭하는 용어로, 토지조사사업인 양전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록한 장부를 일컬었다. 조선시대에 토지는 국가의 재정 운영의 근간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매 20년마다 양전..
2017.10.12 -
결부법
정의 논밭에서 수확한 곡식의 양을 기준으로 토지의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개설 전근대사회에서 토지의 면적을 측정하는 방식으로는 절대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경무법과 수확량을 기준으로 하는 결부법이 있다. 경무법이 주로 중국에서 많이 이용되었다면 한국에서는 결부법을 주로 이..
2017.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