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7. 7. 05:56ㆍ金剛山
박장원(朴長遠, 1611-1671)은 17세기 중엽에 활동한 문인. 자는 중구(仲久), 호는 구당(久堂). 벼슬은 리조 판서에 이르렀으나 여러차례 추방도 되고 류배살이를 하는 등 곡절을 겪었다. 문장에 능하여 《선조실록》편찬에 참가하였으며 국가의 중요문서들을 많이 맡아 집필하였다. 시문집으로 《구당집》이 있다.
정양사에 묵으며(1수)(宿正陽寺次晴峰韻)
表月三千界 하늘중천 달이 밝고
靑霞一萬峰 일만 봉우리에 푸른 안개 감도네
正陽今夜景 정양사의 이 밤경치
人世再難逢 인간세상에서 다시 보기 어려우리
정양사에 묵으며(2수)(宿正陽寺次晴峰韻)
山開積玉秋空冷 흰 구슬 쌓인 듯한 금강산에 가을날씨 서늘쿠나
露壓危松鶴夢回 숲속에 이슬 내려 졸던 학 꿈속에 헤매이네
雲臥正陽明月夜 구름 서린 정양사에 달빛 받고 누웠으니
直疑身世在蓬萊 봉래산에 내렸는가 정신마저 아리숭하여라
보덕굴에서(1수)(普德窟次晴峰韻)
洞裏鶴天空 골짜기 속의 학은 하늘을 날아예고
風前松子落 바람결에 소나무는 잎새가 우수수
孤庵不見僧 외로운 절간에 중은 간 곳 없으니
客意禽先覺 나그네의 뜻을 학이 먼저 알았구나
보덕굴에서(2수)(普德窟次晴峰韻)
鉄鎻垂千刼 쇠사슬은 천 길 허공에 드리워있고
金莖擎百層 구리기둥은 백 길 바위 떠이고 솟았네
寺空雲滿地 텅빈 절에 구름만이 가득한데
斜日客來登 석양에 나그네 보덕굴에 올랐노라
풍악산에서 청봉과 헤여지며(楓岳與晴峰分路次韻)
萬瀑洞中雲 만폭동 구름 속으로 그대는 가고
四仙亭下路 사선정 아래길로 나는 내리네
東西此日分 동쪽서쪽으로 이렇듯 리별하니
不獨秋懷苦 가을의 시름만이 괴롭다 하랴
'金剛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극기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
리인로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김부의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최치원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
조한영의 금강산 한자시선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