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672)
-
과포은구택가
過圃隱舊宅歌(과포은구택가).許均(허균).字:端甫(단보).號:蛟山(교산).鶴山(학산).惺所(성소).白月居士(백월거사). 朝鮮中期(조선중기)文臣(문신).社會矛盾(사회모순)을 批判(비판)한 小 說家(소설가)謀逆罪死刑(모역죄사형). <檀紀弘益人間3902年朝鮮14代宣祖2年己巳=1569~~1618=朝鮮15代光 ..
2012.03.02 -
지창
池窓(지창).白居易(백거이).字:樂天(낙천).號:香山(향산). 당(唐)나라의 시인(詩人). (772~846) =연못이 보이는 창(窓)에서= 池晩蓮芳謝(지만연방사) 연꽃이 시드는 연못가의 저녁 窓秋竹意深(창추죽의심) 밖에 가을, 대나무의 뜻 깊어라. 更無人作伴(갱무인작반) 다시 친구 삼을 사람도 아무도 ..
2012.03.02 -
고죽불성림
題倪雲林竹石(제예운림죽석.}高遜志(고손지).=高巽志(고손지).明初(명초).生沒年代 未詳(생몰년대미상). =애운림(倪雲林)의 죽석(竹石) 그림에 제(題)함= 拳石不盈尺(권석불영척) 자갈은 한 자(尺척)도 못 되고 孤竹不成林(고죽불성림) 외로운 대나무는 숲은 이루지 못했다. 惟有歲寒節(유..
2012.03.02 -
독신호학
여초 김응현 선생님의 글입니다. 먹나라 몽산글씨 태그 논어(論語)-164 태백편 <제13장> <제13장> 子ㅣ 曰篤信好學하며 守死善道ㅣ니라 공자 가라사대 돈독히 믿고 배움을 좋아하며 죽음을 지키고 도를 선히 할지니라. 篤은 厚而力也ㅣ니 不篤信則不能好學이라 然이나 篤信而不好..
2012.02.26 -
[스크랩] 인디언 이름 짓기
인디언 이름 짓기 / 인디언 이름 짓기 / 인디언 이름 짓기 / 인디언 이름 짓기 / 인디언 이름 짓기 심심해서 한번 해봤어요. 제 인디언식 이름은.... 욕심많은 늑대네용.. ㅠㅜ 좀더 이뿌고 멋진 이름이었으면 좋으련만...ㅎㅎ 욕심많은 늑대라 그런가용?? ㅋㅋ 여러분들도 한번 해보..
2012.01.12 -
[스크랩] 명필 한시 감상- 미불이 쓴 왕유의 시
송나라 시대 소동파, 황정견과 더불어 송 3대 서예가로 불리는 미불(1051~1107)은 화가로도 이름이 높아 미불점법이라는, 서양화 기법으로 본다면 신인상주의 화가인 조르쥬 쇠라와 폴 시냑이 시도했던 점묘법을 수묵으로 창시하여 산수화를 그린 유명한 서화가인데, 그가 이백, 두..
2012.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