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언(78)
-
비덕지명(非德之明),
비덕지명(非德之明), 수찰이인불복(雖察而人不服). 덕을 갖춘 현명함이 아니면, 비록 똑똑해도 남이 따르지 않는다. 덕(德)이란 무엇일까? 사전(辭典)엔 도덕이나 품행 또는 은덕이나 은혜의 뜻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복(福)의 뜻도 있어서 인덕(人德)은 인복(人福)과 같은 뜻입니다. 어진 ..
2012.07.17 -
곡불일욕이백(鵠不日浴而白),
곡불일욕이백(鵠不日浴而白), 오불일검이흑(烏不日黔而黑). 고니는 날마다 목욕하지 않아도 희고, 까마귀는 날마다 검정이를 묻히지 않아도 검다. 고니는 희고 까마귀는 검게 태어났습니다. 자연이 그리 만든 것으로 씻거나 검정이를 묻혀도 그 실체의 변화에는 별별 영향을 미칠 수가 ..
2012.07.17 -
화간반개(花看半開),
화간반개(花看半開), 주음미취(酒飮微醉). 꽃은 반만 피었을 때 보고, 술은 약간 취하도록 마신다. 옛날 옛날 아주 오랜 옛날부터 꽃은 반만 피었을 때 가장 아름답다 하였으며, 술은 약간 취하도록 마시라 하였을까요? 꽃은 만개하였을 때가 가장 아름다울 것입니다. 그러나 극점의 아름..
2012.07.17 -
인수상가비(人瘦尙可肥).
인수상가비(人瘦尙可肥). 사속불가의(士俗不可醫). 사람이 여위면 그래도 살찌울 수 있지만, 선비가 속된 것에 물들면 치유할 수 없다. 그래서 옛선비들은 거쳐주변에 대나무를 심어 그마력에서 벗어나려 하였다고 합니다. 굳건한 뿌리, 곧은 줄기, 똑바른 마디, 빈 속마음, 푸른 잎을 본..
2012.07.17 -
백락교기소증자상천리지마(伯樂敎其所憎者相千里之馬)
백락교기소증자상천리지마(伯樂敎其所憎者相千里之馬) 백락은 미워하는 이에게 천리마 감정하는 법을 가르쳤다. 어른들 말씀에, 할머니께서 친손주는 손을 잡아주어 걸어가게 하고, 외손주는 등에 업어 얼러준다고 하시는 말씀을 들었습니다. 백락(伯樂)은 고대에 말을 잘 감정한 대표..
2012.07.17 -
성인무상심(聖人無常心),
성인무상심(聖人無常心), 이백성심위심(以百姓心爲心). 성인(聖人)은 고정된 마음이 없이 백성(百姓)의 마음을 그 마음으로 삼는다. 성인은 본래 이상 속의 완전무결한 존재입니다. 물론 말하는 이의 생각이나 믿음에 따라 차이가 날 수도 있습니다. 그 이상적인 존재인 성인은 집착이나 ..
2012.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