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易의 理解(63)
-
[스크랩] [도전! 64卦] 01-3. 乾卦, 헤쳐 모여!
1. 元亨利貞에 대한 해석 2. 乾卦 6효에 대한 爻辭에 대한 해석 이번 글에서는 乾卦의 각 6爻辭에 대해 6번에 걸쳐 반복된 서술을 함께 묶어 볼꺼예요. 乾卦에서는 단순히 象數적인(天易) 내용만 서술된게 아니라, 그 시대를 이끌어 가는 시대정신(人易)을 압축요약해서 정리해 놓았습니다. ..
2017.07.27 -
[스크랩] [도전! 64卦] 01-2. 乾卦, 시간의 行을 세우다!
이번엔 乾卦에 대해 더 간결한 시선을 가져보도록 하죠! 건곤괘 이후의 각 괘들에 대한 문장의 편집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괘상(象) 2. 괘명(名) 3. 괘사(卦辭) - 彖傳 - 大象傳 4. 효제(爻題: 초구~상구 + 用九) 5. 효사(爻辭: 효의 풀이) - 小象傳 1번의 <卦象>은 복희씨가 지었습니다. 2..
2017.07.27 -
[스크랩] [도전! 64卦] 01-1. 乾卦, 시간을 세우다 (원문독해)
乾괘에 대한 첫번째 자료는 원문 전체를 둘러보기 위한 것입니다. 본문 글의 구성은 6爻에 대한 각각의 해석이 6번 반복되어 풀이 되어 있습니다. 乾는 天門, 坤은 地戶로 64괘로 들어가는 문인데, 乾은 理(원리)를, 坤은 氣(물질의 생성, 만물의 방창)이 이루어지는 땅의 사정을 대표합니다..
2017.07.27 -
[주역과 맞짱뜨기 - 18] 주역의 원문과 10翼의 문장
서괘전(序卦傳)은 64괘가 배열된 순서에 대한 논설의 문장인데, 서괘상은 역의 30괘가 자연과 인류사, 서괘하는 역의 34괘가 남녀와 가족사의 비유로써 순서가 정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순서는 人易의 실현을 위한 배열이므로 인위적인 것입니다. 잡괘전(雜卦傳)은 물상(雜而著)..
2017.07.27 -
[주역과 맞짱뜨기 - 17] 兌, 共産의 공동체를 꿈꾸다 (說卦傳)
第一章, 參天兩地는 땅의 변화법칙이다 昔者聖人之作易也 幽贊於神明而生蓍. 參天兩地而倚數. 觀變於陰陽而立卦 發揮於剛柔而生爻. 和順於道德而理於義 窮理盡性 以至於命. 옛 날 성인(聖人)이 역(易)을 지을 적에, 신명(神明 : 化育)을 그윽히 도와 시초(蓍草)를 내었고, 하늘은 삼(三)..
2017.07.27 -
[주역과 맞짱뜨기 - 16] 困復, 죽음과 부활
第五章, 日月이 相推하다 [咸] 易曰 憧憧往來 朋從爾思. 子曰 天下何思何慮 天下同歸而殊塗. 一致而百慮 天下何思何慮. 日往則月來 月往則日來 日月相推而明生焉. 寒往則暑來 暑往則寒來 寒暑相推而歲成焉. 往者 屈也 來者 信也. 屈信相感而利生焉. 尺蠖之屈 以求信也. 龍蛇之蟄 以..
2017.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