戒酒文

2019. 4. 10. 09:26story

계주문(戒酒文)

정철(鄭澈)

 

내가 술을 즐기는 이유가 네 가지 있다. 마음이 불평하여 마시는 것이 첫째이고, 흥취가 나서 마시는 것이 둘째이고, 손님을 대접하느라 마시는 것이 셋째이고, 남이 권하는 것을 거절하지 못하는 것이 넷째이다.

 

某之嗜酒有四不平一也遇興二也待客三也難拒人勸四也

 

마음이 불평스러우면 순리대로 풀어버리면 될 것이고, 흥취가 나면 시가(詩歌)나 읊조리면 될 것이고, 손님을 접대할 때는 정성으로만 하면 될 것이고, 남이 아무리 끈덕지게 권하더라도 내 뜻이 이미 굳게 서 있으면 남의 말에 흔들리지 않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네 가지 좋은 방도를 버리고 한 가지 옳지 못한 데 빠져들어 끝내 혼미(昏迷)하여 일생을 그르치는 것은 무슨 이유인가?

 

不平則理遣可也遇興則嘯詠可也待客則誠信可也人勸雖苛吾志旣樹則不以人言撓奪可也然則捨四可而就一不可之中終始執迷以誤一生何也

 

내가 벼슬을 그만두고 물러나 쉬면서 다섯 번이나 임금님의 소명(召命)을 받았는데, 금년 봄에는 마지못해 병을 무릅쓰고 조정에 달려가 소()를 올려 사퇴하기를 청했다. 그러니 내 뜻이 정말 산수를 즐기는 데 있다면 의당 두문불출하여 자취를 감추고 언행을 삼가야 할 것이다.

 

余休官退處五承恩旨到今年春迫不得已力疾趨召陳疏乞退志在丘壑則當杜門斂跡愼言與行可也

 

그런데 동정(動靜)이 일정하지 못하고 언어가 늘 실수를 범하는 등 온갖 사망(邪妄, 간사하고 망령됨)한 것들이 모두 이 술에서 나오곤 한다. 술이 한창 취할 때에는 마음 내키는 대로 속시원히 언행을 마구 했다가, 술이 깬 뒤에는 다 잊어버리고 취했을 때의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 남이 혹 취했을 때의 일을 얘기해 주면 처음에는 그럴 리가 없다고 믿지 않다가 나중에 참으로 그런 일이 있었음을 알고 나면 부끄러운 생각에 꼭 죽고만 싶어진다.

 

而動靜無常言語失宜千邪萬妄皆從酒出方其醉時甘心行之及其醒也迷而不悟人或言之則初不信然旣得其實則羞媿欲死

 

그러나 오늘도 그런 실수를 저지르고 내일 또 그런 실수를 되풀이하여 허물과 후회가 산더미처럼 쌓이되 그 허물을 만회할 날이 없는지라, 나와 친한 사람은 나를 슬퍼해 주고 나와 사이가 좋지 않은 사람은 더럽다고 침을 뱉곤 한다. 그래서 천명(天命)을 더럽히고 인기(人紀: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를 모멸함으로써 명교(名敎:인륜을 밝히는 교훈)에 버림을 받은 것이 적지 않다.

 

今日如是明日又如是尤悔山積補過無時親者哀之疏者唾之褻天命慢人紀見棄於名敎者不淺焉

 

이달 초하루에 가묘(家廟)에 하직 인사를 드리고 국문(國門)을 나와 강가에 이르러 강을 건너려고 할 적에 나를 전송 나온 사람이 배에 가득했다. 이 때 홀연히 한양 쪽으로 머리를 돌려 나의 과거사를 돌이켜 생각해 보니 내 자신이 마치 남의 집에 뛰어 들어가 도둑질한 사람이 창·칼 속에서 간신히 뛰쳐나와 백주에 사람을 만나자 몹시 놀라 당황하고 군박(窘迫)하여 몸둘 곳이 없는 꼴과 똑같아서 큰 죄라도 지은 것처럼 종일토록 전전긍긍해 마지않았다.

 

月之初吉辭家廟出國門臨江將濟送者滿舟回首洛中追思旣往則恰似穿窬之人抽身鋒鏑白日對人惶駭窘迫無地自容終日踧踖如負大罪

 

내가 다시 강가에 돌아왔는데, 이 때 마침 선친(先親)의 기일(忌日)을 당했다. 나는 목이 메어 눈물을 삼키면서 애통해하는 가운데 일말의 선심(善心)이 우러나서 마침내 개연히 스스로 다음과 같이 반성한다.

 

及去而更來于江上也先忌適臨嗚咽呑聲哀慘之中善端萌露遂慨然自訟曰

 

어찌하면 명도(明道:북송의 유학자 程顥의 호) 같은 경지에 이르러서도 사냥하기 좋아하던 마음이 10여 년 뒤에 다시 우러나왔고, 어찌하면 담암(澹庵:남송의 명신이며 유학자인 胡銓의 호) 같은 경지에 이르러서도 그 심한 고초를 겪은 터에 여색을 그리도 대단히 사모하였던가?

 

참으로 잡아 간직하기 어려운 것이 마음이요, 잃어버리기 쉬운 것이 뜻이라, 이 마음과 이 뜻을 누가 주장하는고. 주인옹(主人翁:마음)이여, 항상 스스로 경계하여 각성할지어다. 진실로 이 말과 같이 하지 못한다면 내가 어떻게 다시 이 강물을 보겠는가.

 

喜獵何到於明道而萌動於十年之後好色何到於澹菴而繫戀於動忍之餘難操者心易失者志心兮志兮孰主張之主人翁兮常惺惺兮苟不如此言吾何以更見江水兮

 

만력 5(1577,선조 10) 47일에 서호정사(西湖亭舍)에서 쓴다.

萬曆五年丁丑四月書于西湖亭舍

<松江集>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紅桃  (0) 2019.04.10
釣說  (0) 2019.04.10
遺才論  (0) 2019.04.10
吊蠅文  (0) 2019.04.10
補網說  (0) 2019.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