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과 맞짱뜨기 - 18] 주역의 원문과 10翼의 문장

2017. 7. 27. 17:44周易의 理解

서괘전(序卦傳)은 64괘가 배열된 순서에 대한 논설의 문장인데,
서괘상은 역의 30괘가 자연과 인류사,
서괘하는 역의 34괘가 남녀와 가족사의 비유로써 순서가 정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순서는 人易의 실현을 위한 배열이므로 인위적인 것입니다.

 

 

잡괘전(雜卦傳)은 물상(雜而著)적인 관점에서의 서술입니다.
64괘가 天易의 음양관점에서 서술되어 있습니다.
64괘명의 또다른 정의를 만나볼 수 있는데 우주의 운행원리로 괘를 논설했습니다.

 

 

계사전(繫辭傳)은 원문이 긴글은 아니지만,
그 문장안에 담겨있는 내용이 매우 방대한 글인데,
書易의 정의와 정신, 占筮法 등이 상세히 다루어져 있고,
문장의 형식과 구성까지도 주역의 정신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설괘전(說卦傳)은 말그대로 說(해석)을 돕기 위한 글입니다.
64괘 각각의 괘의 논설에 들어가면서 선택되어지는 언어들이 갖는 의미를 해석했습니다.
언어는 약속이지요.
마찬가지로 주역을 해석할때 이런 비유를 들면 이런 뜻이다라는
사전약속의 글입니다.
주역은 비유와 상징, 중의적인 해석의 독해능력을 요하는 문장이 되겠습니다.

 

 

문언전(文言傳)은 1乾卦와 2坤卦에만 찬 되어진 글입니다.
64괘의 순서는 < 건곤 - 태비 - 음양(남녀) 만물의 濟 >으로의 흐름을 갖습니다.
내용 뿐만 아니라 글의 구성과 형태와 배열을 통해 시각적으로도 문장이 프랙탈화 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컴퓨터 폴더처럼 역 > 건곤 > 태비 > 수화의 濟 의 순서로 열리게 되어 있습니다.
그것을 逆으로 닫아 올라오면 건곤이 남는데,
결국 64괘중 62괘는 건곤의 펼쳐진 모습이라 乾坤은 결국 64괘의 전부(몸통)이자
주역으로 들어가는 출입문이므로 건곤을 통해 계사전의 글을 더욱 심도깊게 보충설명하게 됩니다.

 

 

상전(象傳)은 卦象(6효의 구성요소)과 爻象(一 --, 剛柔)에 대한 해석을 돕는 글입니다.

본래는 문언전과 상전도 별도의 문장이었는데,

후대 역인들의 실용서로 편집하면서

문언전은 건곤卦에 별도로 찬하여 넣고,

상전의 글은 64괘 각각의 별도의 글마다 卦象에는 대상전을, 爻象에는 소상전을 삽입해서 편집했습니다.

 

 

옛사람들의 사유의 근본은 음양이었으므로

모든 문장의 구성, 시각적인 문장구조 부터도 항상 (상)(하), (음양)의 구조를 갖습니다.

따라서, 서괘(2), 잡괘(2), 계사(2), 설괘전, 문언전, 상전(대.소)로 10翼(날개)를 달아

주역의 原文에 대한 주석의 글을 준비해 주신 것이죠.

 

 

주역의 본래 텍스트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卦(象)
2. 괘명(乾)
3. 괘사(卦辭) - 彖傳 - 象傳
4. 효제(爻題: 초구~상구 + 用九)
5. 효사(爻辭: 효의 풀이) - 小象傳

 

 

여기에,

卦와 각각의 爻 마다 象傳의 해설이 덧붙여지게 되는데,

 

괘에 딸린 대상전은 팔괘의 괘상(☰☱☲☳☴☵☶☷)으로만 괘가 풀이 되고

효에 딸린 소상전은 효위설로 효사가 풀이됩니다.

 

 

효위설

1. 당위설 / 응위설

2. 중위설

3. 추시설

4. 승승설

5. 왕래설 / 강유소식설

 

* 존비.등급의 관념

* 유가의 시중 관념

* 도가와 음양가의 영허소식 관념

* 시중설 - 中位說

* 순천응인설 - 하늘을 좇아서 사람에게 응한다.

* 양현설 - 어진이를 길러내야 한다.

 

 

계사전을 통해 64괘 각각의 텍스트들을 개별적으로 해석해 갈 수 있는 방법이 사전에 교육되어지고

설괘전을 통해 팔괘의 象이 같은 다양한 의미들이 제시되어 있으므로

10翼의 글들은 길흉, 회린, 득실을 해석해 가는 법과 그것을 해석해가는 능력을 돕습니다.

 

 

더불어 효사의 글들은 은나라 말과 주나라 초의 역사적인 배경으로 서술되므로

시경서경을 아울러 공부해야만 보다 풍부하고 적합한 해석이 가능해진다 할 수 있겠습니다.

 

 


 

 

 

 

이곳은 한국고전 조합DB 입니다.

http://db.itkc.or.kr/index.jsp?bizName=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