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7. 27. 15:50ㆍ周易의 理解
오늘부터 나의 개인 스타디 연재한다.
이유인즉은 주역과 맞짱뜨기에 대한 貴人의 同行 요청이 있었기 때문이다.
사실 이런 연재는 끄적거리는 노트필기에 비해서 몹시 부담이 되는데
그래도 그만큼 공부의 시각을 객관화시키고 집중시키는 효과는 크다는 점에서
기꺼이 함께 동행하기로 한다.
우리가 서점에서 접하게 되는 <주역> 책은 주역 통행본이라고 한다.
漢代에서 宋代의 주자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이 접하게 되는 통상적인 편집 형태라는 말이다.
이런 형식은 오랜 시대에 수많은 석학들의 주역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가장 바람직하게 후학에게 가르침을 전달하고
또 실질적인 주역의 활용서로 이용하기 위한 편리한 구조로 엮어져 있으므로,
주역이라는 학문의 전문서일 뿐만 아니라 인류사를 담고 있는 가장 거대하고 公的인 <역사서>라고 하겠다.
주역의 공부는 사람마다 접근방법도 다르고 원하는 목적도 다르므로,
이 공부는 아주 당연하게 나의 공부를 위한 術數學(점험역학)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해석을 목적으로 하며
易에 대한 상수학/의리학/점험학/도가양생학의 여러 접근방법을 두루 걸치게 되겠다.
오늘은 주역 64괘에 대한 전체적인 간단요약으로 <들어가기> 시작한다.
64괘의 가장 중요한 핵심 字語는 <過>와 <未>이다. 과거와 미래.
易은 농경사회에서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자연과의 썸타기를 성공하기 위한 인류의 피나는 노력의 산물이다.
易은 曆이며 歷이다.
歷은 당연히 농경생활(禾禾)과 정착생활(厂언덕+止머물다)의 산물이다.
인류는 오랫동안 생존을 위해 태양의 주기를 관찰해왔다.
새싹이 싹트는 때로부터 잠장되어 겨울을 나고 새로운 해를 맞이하여 다시 순환하는 주기를 끊임없이 관찰하고
여러 방법으로 그 기록들을 후손들에게 전달했다.
이 오래된 기록이 過이다. 이렇게 경험이 누적된 것을 畜이라 한다.
9번째 괘인 小畜은 처음 공동체 생활을 시작한 부족사회, 씨족 사회이고,
26번째 괘인 大畜은 문명사회, 즉 황화문명을 이루었다는 선언이다.
주역 상경의 주인공은 乾坤 하늘과 땅이다.
乾은 태양이며 坤은 인류의 거처인 지구를 뜻하고 <음양>으로 표현되는 밤과 낮은 어디까지나
<지구인>의 시각이란 점도 명심하자.
태양이 어디 밤을 만들 수 있겠는가? 밤낮은 지구의 개별 사정이다.
주역세상의 중심은 땅(地)이며 중심은 원래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기준이니까 靜이다.
태양이 도는게 아니라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도는 거라고 똑똑한 척 하면 낭패다.
어차피 우주적인 시각이 지구인의 실생활에 어떤 도움이 되겠는가?
어디까지나 우리는 지구의 관점에서 우주를 품고 산다.
이것을 우리는 우주의 <겉보기 운동>이라고 한다.
이 겉보기 운동은 의외로 현대 우주과학 보다 오류와 변화가 적다.
기준점이 확실하고 목적이 분명하며, 어디까지나 수천년의 기록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서양의 기술문명이 아무리 발달하여도 易의 세계를 와해시키거나 무너뜨릴 수는 없다.
서양이라야 고작 100년 이상의 시간이다. 인류사를 통틀어 새발의 피다.
주역 64괘에 대한 전체를 아우르는 시각적 접근은 앞으로 다양하게 시도되겠지만,
오늘은 인류사, 歷의 관점, 過와 未의 관점에서만! 살펴본다.
1~10번째 괘는 자연과 인류와의 썸타기 역사이다.
새싹(屯-蒙)이 주기성을 갖는다는 것과 씨앗을 통해 인류의 통제가 가능하다는 것을 체득했다.
치수(需-訟)에도 어느 정도 기술적인 성과를 얻었고
이웃들이 모여살면서(師) 서로 힘을 보태면(比) 농삿일에 보탬이 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공동생활(小畜)의 시작이다. 당연히 공동체를 위한 질서(履), 절차가 갖춰지게 된다.
11~12번째 괘인 泰否는 주역을 이해하는 중요한 한 마디(節)이다.
가장 효과적인 易에 대한 표현이기도 하다.
方以類聚. 만물이 끼리끼리 類의 성향에 따라 무리짓는 것이며, 四方의 표현하는 계절의 순환을 표현하고 있다.
이렇게 봄가을(泰否)을 순환하며 오랜 역사가 흘러갔다.
11~30번째 괘의 주인공은 火(☲)이다. 문명세계에 대한 인류의 역사를 기록한다.
13번째 괘의 同人은 火(☲)에 대한 뜻을 같이 하는 자들이다.
하늘의 이치를 숭상하고 乾의 公平無事함을 공동체에 이룩하고자 하는 꿈을 지녔다.
시대의 지식인이며 현자들이었을 터이므로 하늘의 이치를 순행하여 뜻을 모았으니 大有하였다.
하늘의 뜻을 얻어(大有) 역사의 主人들로써 큰힘을 취하였으나
공동체의 公益을 취하여 共産의 세상을 이룩하기 위해 분배(兼)와 복지로써 민중을 다스렸다.
豫는 樂이다.
고대의 樂은 만파식적(피리=籥)과 같은 의미를 부여받고 있었으며,
그 대나무 피리의 마디에 담겨진 곡식의 숫자의 용량크기에 따라 <도량형>의 최소단위가 정해졌다.
도량형이 통일 되었다는 것은 국가를 통치하는 기본이 된다. 공평무사하니 백성들이 즐겨 따른다(隨).
문제는 蠱다.
사람이 셋이상 모이면 힘이 발생된다. 누적되면 권력화의 병폐를 갖는다. 然故가 생기는 것이다.
이해타산이 생기고 가까운 친지와 지인과 끼리끼리 물자를 독점하려 한다.
빈부의 차가 생기고 사회가 삐거덕 거린다. 저울은 평형을 잃었다. 樂은 사라졌다.
현명한 위정자를 얻었다면 다행이다.
臨은 살피는 행위이다. 臥와 品으로 이루어진 글자인데, 드러난 현상을 가까이에서 세심히 들여다 본다는 뜻이다.
현인이 백성들의 불편함이 어디로부터 연고하는지 살피기 위해 백성들에게로 잠행했다.
당연히 돌아가 고심하며 해결책을 찾기 위해(觀) 애쓸 것이다.
噬嗑은 형벌이다. 깨부심이다. 현명한 위정자가 사회를 치료하기 위해 칼을 빼들었다.
이렇게 문제가 해결되면 문명은 한단계 더욱 진보하게 되리라. 賁이다.
이것을 白賁이라 표현했다. 원숙한 道의 경지에 다다른 통치술을 말함이겠다. 堯舜之濟다.
賁(번성) - 剝(쇠퇴) - 復 (회복)
역사도 變易의 질곡을 함께 한다. 흥망성쇠함이 사계절과 같다.
천지자연의 易을 닮았다. 하늘이다. 无妄하다.
26번째 괘는 大畜으로 역사성(過)를 표현했는데, 인류의 큰 마디인 문명에 대한 발전사이다.
이 문명의 불을 꺼트리지 않는 것은 성인의 큰 근심이었다.
자연이 이듬해의 생명을 위해 씨앗을 길러 내듯이 성인들은 다음 세대를 짊어질 현인을 길러내기로 했다.
頣은 공동체의 공익에 헌신할 수 있는 후계자의 양성이다. 이것이 문명을 지속시키는(大過) 힘이다.
29~30번째 괘의 坎離 괘는 28괘를 압축하여 담아 저장하는 타임캡술(씨앗=태극)인 동시에
주역 하경을 통해 서술될 주제어, ☲(중녀) ☵(중남)을 제시하고 있다.
陰陽이면서 동시에 男女이고 63~64괘인 旣濟 未濟의 다른 표현이다. 확장, 반복되며 서술되고 있다.
☲(火) 中女
☵(水) 中男
하경의 특별함은 중남 중녀라는 괘를 선택했다는 것이다.
8괘는 모두 건-장남(震)-중남(坎)-소남(艮), 곤-장녀(巽)-중녀(離)-소녀(兌)에 배속된다.
주역에서 괘를 해석할 때의 중남 중녀는 동물의 姓을 대표하며
장남.장녀는 늙은이, 연장자로 소남.소녀는 젊은이, 연하자로 해석된다.
☱
☲
咸괘는 소녀(☱-兌)와 소년(☲-艮)의 만남이다. 춘향과 몽룡의 사랑이 되겠다.
☲
☱
睽괘는 서로 반목함을 나타내는데 중녀(☲)와 소녀(☱)와의 관계이다. 남편이 젊은 첩을 들였다. ^^
그런데 우리가 중남과 중녀를 특별하게 여기는 까닭은
괘의 자리(爻位)때문이다. 가운데 자리를 차지했다는 것은 實勢를 의미한다. 권력을 차지한 자이다.
中女는 단순한 여자가 아니라, 帝(황제)의 여자 妾이다. 정실부인의 位이며 황후의 位이다.
하경의 31~40괘는 청춘남녀의 만남(咸)과 결혼생활(恒)의 썸타기(遯-大壯)로 해석해 보자.
주역은 對待(錯-기준-고정)와 流通(從-변화-길흉)의 성질이 반복되며 서술된다.
반대되는 개념으로 분류(泰否 = 方以類聚)해서 가볍게 <대표 의미>만 훑어보자. 음양으로 나뉜다.
주역의 하경에서 우리가 눈여겨 봐야 할 괘는
51,52괘와 57,58괘이다. 이 괘들은 진정한 변화의 주역들이다.
4괘가 모두 하경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은 하경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것은 <변화><변역>이라는 말이다.
雷霆(震艮)으로써 만물을 고동(鼓)시켜 잠깨우고 風雨(兌巽)로써 만물을 윤택히 길러내는 것이다.
만화방창의 다양한 자연의 변화모습을 표현하고자 함이다.
다시 하경을 마무리 할 즈음에 過를 만났다. 小過이니 사소한 가정사, 개인의 역사쯤으로 이해하자.
이런 다양한 개별적 역사(小過)가 모여 한 국가의 역사가 되고, 그 국가들의 역사가 모여 인류사(大過)가 된다.
마무리 괘는 坎離의 體가 動靜하는 목적이 되는 用을 표현하고 있다. 濟는 건너감이다.
남녀의 가정사에서 濟란 무엇일까?
결국 후손의 남김이 아니겠는가? 그래야 생물학적인 죽음을 극복하여 새로운 삶으로 건너갈 수 있다.
中孚이다. 孚는 새가 알을 품고 通시키기 위해 발톱으로 알을 굴리는 모습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陽은 子月에서 시작되며 中孚의 절기 토화작용으로부터 율려한다.
자, 이제 글을 마무리 할 때가 왔다.
인류가 태양의 주기를 관찰하는 것은 曆이며 歷이고 過라 했다.
관찰의 목적은 이듬해(未來)의 새싹(屯)이 돋아나는 시기를 추론하는 데 있다.
인류가 賁-剝-復 하는 인류의 歷史를 기록하는 것도 過이다.
기록의 목적은 復에 있다. 무너지는 문명의 쇠함을 극복하여 새로운 역사의 장을 열기 위함이다.
未來를 도모하고자 함이다.
그렇다면, 인류가 오랫동안 周易을 관찰하고 연구했던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당연히 過의 법칙으로부터 인간세상의 未來를 예측하기 위해서이다.
天雷無妄, 마른하늘의 날벼락을 극복하기 위한 인류들의 도발적인 도전이다. 방점은 未에 찍혀있다.
하여, 이 거대한 장편서사시는 未濟괘로 주역의 목적을 분명히 선언하며 끝을 맺는다.
'周易의 理解'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과 맞짱뜨기 - 06] 剛, 태양이 솟아 오르다 (0) | 2017.07.27 |
---|---|
[주역과 맞짱뜨기 - 05] 恒, 震男과 巽女가 입맞춤하다 (0) | 2017.07.27 |
[스크랩] [주역과 맞짱뜨기 - 04] 蒙, 雜而著 (雜卦傳) (0) | 2017.07.27 |
[스크랩] [주역과 맞짱뜨기 - 03] 하늘의 빛 정역, 땅의 소리 주역 (0) | 2017.07.27 |
[스크랩] [주역과 맞짱뜨기 - 02] 우주변화의 道 (0) | 2017.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