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6. 26. 11:44ㆍ한시
蜀 相(촉 상) - 杜 甫(두 보)
丞相祠堂何處尋 (승상사당하처심) 승상의 사당을 어디서 찾아 뵐고?
錦官城外栢森森 (금관성외백삼삼) 금관성 밖 잣나무 우거진 숲 속이로다
映階碧草自春色 (영계벽초자춘색) 댓돌에 비친 푸른 풀은 저절로 봄빛을 내고
隔葉黃麗空好音 (격엽황려공호음) 나뭇잎 사이 꾀꼬리의 울음소리 무심하네
三顧頻煩天下計 (삼고빈번천하계) 세 번 초려를 찾음은 천하를 구할 계책을 얻고자 함이요
兩朝開濟老臣心 (양조개제노신심) 2대 임금(유비. 유선) 섬기며 애를 쓴 늙은 신하의 충정이여
出師未捷身先死 (출사미첩신선사) 출정하여 이기지 못하고 몸이 먼저 세상을 떠나니
長使英雄淚滿襟 (장사영웅누만금) 길이 후세의 영웅들로 하여금 옷깃에 눈물 적시게 하누나!
○ 蜀相 : 촉의 승상 제갈량
제갈공명 : 중국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181~234). 자(字)는 공명(孔明). 시호는 충무(忠武). 뛰어난 군사 전략가로, 유비를 도와 오
(吳)나라와 연합하여 조조(曹操)의 위(魏)나라 군사를 대파하고 파촉(巴蜀)을 얻어 촉한을 세웠다. 유비가 죽은 후에 무향후(武鄕侯)로서
남방의 만족(蠻族)을 정벌하고, 위나라 사마의와 대전 중 오장원의 진중에서 병사하니 그의 나이 54세였다.
○ 處尋 : 있는 곳을 찾음
○ 錦官城 : 삼국시대의 蜀漢의 劉備, 諸葛亮 關羽의 사당이 모셔져 있는 白帝城.
후에 오장원 어느 산야에 평장된 제갈량의 유골을 찾기 위해 초나라의 백성들은 전 산야를 뒤졌으나 찾을 수 없어. 제갈량의 魂魄을 모셨
던 것이다. 바로 만인의 충신 제갈량을 법도 따위는 무시하고 유비의 사당 앞에 모신 것이다.
○ 栢森森 : 잣나무 우거짐
○ 映階 : 돌 계단돌 비친
○ 隔葉 : 나무 사이
○ 三顧 : 제갈량을 세 번 찾아간 유비의 고사(三顧草廬)
○ 兩朝 : 촉의 유비와 유선 2대
○ 未捷 : 이기지 못함
○ 淚滿衿 : 옷깃을 눈물로 적시다.
復愁[복수]
(시름을 되새기며) - 두보
萬國尙戎馬 (만국상융마) 아직도 나라가 전란에 휩싸였으니,
故園今若何 (고원금약하) 지금 내 고향은 어찌 되었으리
昔歸相識少 (석귀상식소) 지난번 갔을 때도 아는 이 적었는데,
蚤已戰場多 (조이전장다) 일찍부터 여러 차례 싸움 겪었으니까
♣ 大歷2년((767년) 가을 두보 56세 때의 작품으로 12首 連作 중 第3首,
○ 萬國(만국) : 天下 到處
○ 戎馬(융마) : 군마, 전란을 의미
○ 故園(고원) : 두보가 고향이라고 생각한 낙양, 장안 두 군데 중 여기서는 洛陽
○若何 (약하) : 如何, 何如와 같은 뜻. 어떤 상태인가?
○ 昔歸(석귀) : 옛날에 고향에 돌아갔었다.
○ 相識(상식) : 아는 사람, 낯 익은 사람,
○ 少(소) : 거의 없다.
○ 蚤已(소이) : 조이(早已)와 같다. 이제는 다, 이미.
온 천하가 아직도 전란에 휩싸여 있으니
내 고향 낙양은 어떻게 되었을까?
옛날 고향에 갔을 때도 아는 사람이 별로 없었거늘,
일찍부터 노상 싸움의 마당이 되었던 낙양은 더욱 쑥밭이 되었겠지!
[출전] : 世界詩人選 1. [唐詩選]. - 高銀 譯註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백련초해(百聯抄解)10~19 (0) | 2012.09.05 |
---|---|
[스크랩] 백련초해(百聯抄解)1~9 (0) | 2012.09.05 |
망악 (0) | 2012.06.26 |
추야곡 (0) | 2012.06.26 |
출새 (0) | 2012.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