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악

2012. 6. 26. 11:37한시

 

望嶽(망악)   태산을 바라보며 - 두보

 

 

岱宗夫如何(대종부여하)   태산은 과연 어떠한가?

齊魯靑未了(제노청미료)   제와 노나라에 걸친 그 푸르름 끝이 없구나.

造化鍾紳秀(조화종신수)   천지간에 신령스럽고 빼어난 것 모두 모았고,

陰陽割昏曉(음양할혼효)   산의 밝음과 어두움은 밤과 새벽으로 갈라놓았다.

蕩胸生曾雲(탕흉생층운)   층층이 펼쳐진 운해 가슴 후련히 씻겨 내리고,

 

決雌入歸鳥(결자입귀조)   눈 크게 뜨고 돌아가는 새를 바라본다.

會當凌絶頂(회당능절정)   반드시 산 정상에 올라,

一覽衆山小(일람중산소)   뭇 산의 작음을 한 번에 굽어보리라.

 

 

 

○ 嶽(큰 산 악) : 나라에서 제사를 지내던 큰 산

○ 岱宗 : 중국의 태산.

○ 夫如何 : 어쩌면, 저렇게도

○ 齊魯 : 제나라와 노나라

○ 靑未了 : 푸른 산이 끝이 없다.

○ 造化 : 조물주

○ 鐘神秀 : 신묘한 아름다움을 모으다 . 鐘(쇠북 종, 술잔 종, 모을 종)

○ 陰陽 : 남과 북

○ 割昏曉 : 저녁과 새벽을 나누다

○ 盪胸 : 가슴 설레다 . 가슴을 씻어내다.

○ 生曾雲 : 뭉게구름이 일어나다.

○ 決眥 : 눈거풀을 찢고 .

○ 入歸鳥 : 날아드는 새를 바라본다.

○ 會當 : 반듯이, 마땅히

○ 凌絶頂 : 산꼭대기를 오르다.

○ 衆山小 : 공자(孔子)가 태산에 올라 천하의 산이 이보다 작다고 한 고사.

      孔子 登東山而小魯 登太山而小天下라!’

     東山에 올라보니 魯나라가 작고, 泰山에 올라보니 천하가 작다 - <맹자> 진심장구 상(上)편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백련초해(百聯抄解)1~9  (0) 2012.09.05
촉상  (0) 2012.06.26
추야곡  (0) 2012.06.26
출새  (0) 2012.06.26
청평조  (0) 2012.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