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이기(李頎)-장욱에게 드리다(贈張旭)

2012. 5. 30. 17:49서예일반

장욱에게 드리다(贈張旭)

 

張公性嗜酒 장욱은 천성 술을 좋아하고,

豁達無所營 호방하며 잔꾀를 부리지 않네.

皓首窮草隸 한 평생 초서와 해서를 탐구하여,

時稱太湖精 태호 정기 받았다 칭송받았지.

露頂据胡床 머리 풀어 헤치고 호상에 누워,

長叫三五聲 고래고해 소리 지르네.

興來洒素壁 흥이 나 깨끗한 벽에 휘갈기니,

揮筆如流星 운필 마치 유성 같구나.

下舍風蕭條 누추한 집에는 바람도 적막하고,

寒草滿戶庭 뜰에는 겨울 잡초 무성하네.

問家何所有 집에 무엇이 있냐고 물으니,

生事如浮萍 인생지사 부평초라네.

左手持蟹螯 왼 손에는 술안주로 게의 집게다리를 쥐고,

右手執丹經 오른손에는 단경(丹經)을 들고 있네.

瞪目視霄漢 두 눈 부릅뜨고 하늘을 쳐다보노라니,

不知醉與醒 취했는지 깨었는지 알 수가 없네.

諸賓且方坐 여러 객들 아직 반듯하게 앉아 있는데,

旭日臨東城 아침 해는 동쪽성에 걸려있네.

荷葉裏江魚 연꽃잎 아래에는 강물고기 노닐고,

白甌貯香秔 흰 단지에는 좋은 쌀 가득하네.

微祿心不屑 하찮은 봉록에는 조금도 마음 두지 않고

放神于八紘 오로지 세상끝에만 정신을 쏟네.

時人不識者 세인들은 알지 못하지만,

卽是安期生 이가 바로 안기생(安期生) 같은 신선이라네.

 

1) 이기(李頎: 690-751): 운남(雲南)동천(桐川)사람이고 대대로 하남(河南)영양(穎陽)에서 살았다. 당(唐)나라 개원(開元)년간에 진사(進士)가 되어 신향현위(新鄕縣尉)를 지냈다. 왕유(王維)와 왕창령(王昌齡)과 벗하였으며 시풍이 잠삼(岑參)에 가까웠다.

2) 장공(張公): 장욱(張旭). 당(唐)대의 소주(蘇廚)사람이며 자(字)는 백고(伯高)다. 일찍이 금오장사(金吾長史)를 l지내서 사람들이 장장사(張長史)라고 불렀다. 사람됨은 오만하고 강직하며 규율을 중시하지 않았다. 이백(李白)과 하지장(賀知章)등 일곱 명을 합하여 “주중팔선(酒中八仙)”이라 불렸고 7언 절구에 능했다. 술 마신 뒤에는 울부짖으며 광분하고, 붓을 잡고 초서를 쓰면 미친 듯 세속을 벗어난 기풍이 있었다. 간혹 머리카락에 먹물을 적셔 글씨를 썼는데 이는 더욱 기이하였다. 세상에서는 그를 장전(張顚)이라고 불렀다.

3) 활달(豁達): 성격이 명랑하고 호방하다.

4) 호수(皓首): 흰머리를 말하며 사람이 이미 늙었다는 것을 가리킨다.

궁(窮): 근원을 찾아 탐구하다.

초예(草隸): 초서와 예서, 혹자는 장초 혹은 예초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겼으나 명확하지 않다.(당나라 이전에는 해서를 예서러 불렀고 예서는 팔분이라 하였습니다. 또한 당나라 시대에는 해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었고 예서는 자취를 사적인 장소에서 사용되었으며 장욱은 해서와 초서에 뛰었났습니다. 따라서 이구절은 주석의 이해가 잘못되었습니다. 참고하세요)

5) 태호정(太湖精): 사람들은 장욱의 초서가 유독 태호의 정기를 얻었다고 생각하였다.

6) 노정(露頂): 사서에 의하면 장욱은 머리카락이 적고 소갈머리였다고 기록하고 있다.(주석의 이해가 별로 정확하지 않습니다. 당시 남자들은 모자(관)을 쓰고 다녔는데 장욱은 머리를 내 놓고 다녔기 때문에 노정이라고 한 것이라고 여겨집니다.)

호상(胡床): 접을 수 있는 간편한 의자. 교의(交椅) 혹은 교상(交床)이라고도 한다.

7) 소벽(素壁): 석회칠하여 깨끗한 벽. 《백첩(白帖)》에 “왕헌지(王獻之: 字는 子敬)가 대규(戴逵: 字는 安道)의 집을 들렀다. 술이 거나하게 되었을 때 안도는 자경에게 글을 청했다. 자경은 소매를 걷어 올리며 큰소리로 말하기를 ‘나의 글은 비록 고인들만 못하나 그대에게 소벽 한 면 정도는 채워 줄 수 있네.’라고 하였다. 지금 초당비(草堂碑)가 바로 이것이다.(王子敬過戴安道. 飮酣, 安道求子敬文. 子敬攘臂大言曰: ‘我辭翰雖不如古人, 與君一掃素壁. 今草堂碑是也.)”

8) 유성(流星): 하늘을 나는 듯이 스쳐지나가며 빛을 내는 별, 속칭 ‘적성(賊星)’. 여기서는 운필이 신속함을 형용했다.

9) 하사(下舍): 누추한 집.

소조(蕭條): 적막하다.

10) 생사(生事): 사람이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생기는 일.

부평(浮萍): 물위에 떠다니는 부평초(浮萍草).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비유함.

11) 해오(蟹螯): 게의 집게발 한 쌍.《진서(晉書)·필탁전(畢卓傳)》에서 필탁(畢卓) 은 “오른손에는 술잔을 들고, 왼손에는 게의 집게다리를 들었네. 술실은 배에서 박수치고 노래하니 일생이 만족스럽네.(右手持酒杯, 左手持蟹螯. 拍居酒船中, 便足了一生矣.)”고 하였다.

12) 단경(丹經): 선인(仙人)들이 단약을 만드는 책.

13) 징목(瞪目): 화난 눈으로 똑바로 보다.

소한(霄漢): 하늘의 가장 높은 곳.

14) 백구(白): 흰색 단지.

향갱(香秔): 쌀의 한 종류로 아주 향기로운 맵쌀의 일종.

15) 팔굉(八紘): 8극(極), 팔방의 극한. 굉(紘)은 땅 끝.

16) 안기생(安期生): 도가(道家)의 전설속의 선인(仙人)이다.

 

 

【설명】 장욱은 당(唐)대의 가장 유명한 초서의 대가이다. 술을 좋아하고 광초(狂草)에 능하였는데 이 ‘증시(贈詩)’는 그가 글씨 쓸 때의 정신과 특징을 잘 포착하여 펼쳐내었다. 이 대서예가의 예술에 대한 집착과 이상을 생동감 있게 그렸으며 또한 안빈락도와 구속에 얽매이지 않는 독특한 개성 그리고 뭇사람과 다른 비범한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다.

출처 : 중국과 서예
글쓴이 : 금릉산방인 소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