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조은글(186)
-
[스크랩] 한글의 아름다움을 찾아 떠난 40년 여행(규당 조종숙선생)
작가세계10 / 규당 조종숙 한글서체의 아름다움을 찾아 떠난 40년 여행 들어가며 논어에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는 구절이 있다. 이 말을 가슴속에 새기면서 40년 넘게 서예에 전념해 온 여류서예가가 규당(圭堂) 조종숙(趙琮淑) 선생이다. 세 사람이 함께 길을 걷..
2012.03.15 -
[스크랩] 응호조시구(應呼釣詩鉤)
※ 현대 중국 서법가 이탁(李鐸)의 行書 <동정춘색부(洞庭春色賦)>句 선면(扇面) 應呼釣詩鉤 亦號掃愁帚 (응호조시구 역호소수추) 마땅히 조시구(釣詩鉤)라 부르고 또한 소수추(掃愁帚)라 칭하리 ☞ 소식(蘇軾), <동정춘색(洞庭春色)> 중에서 ※ 소식(蘇軾)의 <洞庭春色..
2012.03.15 -
동정춘색부
소동파(蘇東坡)의 동정춘색부(洞庭春色賦) 한잔! - 월왕(越王) 구천(句踐)과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떠 올리며 한잔 술 하태형 칼럼, 2011-07-06 오후 02:52:38 ▲ 동파 소식의 발자취가 어린 소제의 풍경. 지난 시간 추양부(秋陽賦)를 소개드릴 때 안정군왕(安定郡王) 조영치(趙令畤)이란 인..
2012.03.15 -
[스크랩] 중국의 역사 연대표
중국의 역사 연대표 국 가 연 대 하(夏) 약 BC 21세기 - 약 BC 16세기 상(商) 약 BC 16세기 - 약 BC 1066년 주(周) 서주(西周) 약 BC 1066년 - 약 BC 771년 동주(東周) BC 770년 - BC 256년 춘추(春秋) BC 770년 - BC 476년 전국(戰國) BC 475년 - BC 221년 진(秦) BC 221년 - BC 206년 한(漢) 서한(西漢) BC 206년 - AD 23년 동한(..
2012.03.13 -
황희
領議政府事, 仍令致仕黃喜卒。 연로하여 領議政府事에서 물러난 黃喜가 卒하였다. 喜長水縣人, 字懼夫, 황희는 長水縣 사람인데, 字는 懼夫이며, 判江陵府事君瑞之子。 判江陵府事 黃君瑞(1328-1402)의 아들이다. 生而神氣, 異凡兒, 출생해서(1363) 神氣가 보통 아이와 달랐는데, 高麗末登第..
2012.03.04 -
박세당
○숙종실록 보궐 정오 1700년 8월 27일자 기사 朴世堂爲吏曹判書。 朴世堂을 이조 판서로 삼았다. 【史臣曰: “世堂自官小時, 退居城東郊外, 사신은 논한다. “박세당은 벼슬이 낮은 때부터 한양 동쪽 교외에 살면서 絶意仕宦, 敎授後生, 관직에 생각을 끊고 후학을 가르치며 註釋四書, 稱..
2012.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