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조은글(186)
-
[스크랩] 가훈모음
家 訓 1. 博愛 널리 사랑하라 2. 中庸 치우치지 않도록 하라 3. 思無邪 생각함에는 사악함이 없어야 한다 4. 誠敬直 성실하고, 공경하고, 정직하게 5. 信望愛 믿음.소망.사랑 6. 見得思義 이득을 보면 옳은지를 먼저 살피라 7. 敬神愛隣 하나님을 경외하고 이웃을 사랑하라 8. 敬天愛人 하나님..
2012.06.07 -
근묵
오세창의 ’근묵’ 완역 고려말부터 대한제국까지 1천136명 서간 등 엮어 정몽주, 길재, 정도전, 성삼문, 이황, 정약용 등의 글씨를 서화 감식의 대가 위창 오세창(1864-1953)이 엮은 글씨첩 ’근묵(槿墨)’이 66년 만에 완역돼 출간됐다. ’근묵’이란 근역(槿域), 즉 무궁화가 피는 우리나라..
2012.06.07 -
[스크랩] 아내에게
增內<아내에게> ■ -백낙천- 生爲同室親 생위동실친 살아서는, 한 방에서 사랑하고 死爲同穴塵 사위동혈진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히리라 他人尙想勉 타인상상면 다른 사람도, 부부의 도를 지키는데 而況我與君 이황아여군 하물며 그대와 나는, 더 할 나위 있겠는가 ? 黔婁固窮士 검..
2012.06.06 -
[스크랩] 讀畵法
讀畵法 ▶ 동양화(東洋畵)를 대하다보면 몇 가지 의문점을 갖게 된다. *첫째는 이치에 맞지 않는 일들이 그림에 그려졌다는 것이다. *둘째는 실제 있지 않았던 일이 마치 있었던 것처럼 가상적으로 그려졌다는 것이다. *셋째는 고금(古今)을 통하여 동일한 형식의 그림이 계속 그려졌다는 ..
2012.06.06 -
[스크랩] 東洋畵 技法
沒骨法 동양화에서 윤곽선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색채나 수묵으로 그리는 畵法. 畵鳥·花卉·草蟲 분야의 주요 描法으로 鉤勒法과 반대된다. 중국의 남북조시대에 서역을 통해 유입된 이란과 인도 계통의 채색 요철법에 토대를 두고 형성되었으며, 梁의 張僧繇, 당의 楊界를 거쳐 오대와..
2012.06.06 -
[스크랩] 명루와 한시
중국의 3대 명루(名樓)와 한시(漢詩) 감상 ◈ 등왕각(滕王閣) ▲ 등왕각(중국 강서성) 등왕각(滕王閣)은 고대로부터 중국 강남(江南)의 유명한 3 대 누각(樓閣) 중 첫 번째로 칭한다.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로 인하여 천고(千古)로 부터 그 이름을 남겼다. 중건(重..
2012.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