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일반(204)
-
[스크랩] 행서의 서법과 결구 (4)
이번 부터는 지난번 까지의 변화의 원칙을 각 부수별로 적용한 예를 올립니다. 1. 一部 1-1. 一의 경우, 우상방에서 붓을 기필한다. 그 장소에서 붓이 벌어지는 동안 잠시 사이를 두고 오른편으로 조용히 운필, 획의 중앙 부근에 절도가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1-2. 上의 경우, 획과 획과의연..
2012.03.15 -
[스크랩] 행서의 서법과 결구 (5)
부수에 대한 왕희지 집자성교서 행서 결구의 계속입니다. 22. 엄호部 어느 것이나 호의 안에 쓸 부분을 각각 오른 쪽으로 가게 하고 획 내부를 넓게 하여 균형을 취한다. 엄호부의 행서체로서의 변화에 주의한다. 庸의 경우, 첫 획의 점과 둘째 획을 충분히 떼어 크기를 내고 있다. 度는 하..
2012.03.15 -
[스크랩] 5. 서예의 기볍(技法)
5. 서예의 기법 5-1. 집필법 집필법(執筆法)은 붓을 쥐는 방법을 말한다. 붓의 크기, 쓰는 문자의 대소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단구법(單鉤法): 집게손가락 하나를 붓에 걸고서 쓰는 방법이다. 세자(細字)를 쓰는 데 알맞다. 쌍구법(雙鉤法): 집게손가락·가운데 손가락의 두 개를 건..
2012.03.15 -
[스크랩] 7. 해서-영자팔법
7. 영자팔법 영자팔법(永字八法)은 붓글씨로 한자를 쓸 때 자주 나오는 획의 종류 여덟 가지를 길 영(永) 자를 통해 설명한 것이다. 후한시대의 채옹이 처음 고안했다고도 한다. 영자팔법의 필순 측(側) - 점 늑(勒) - 가로획 노(努) - 세로획 적(趯) - 갈고리 책(策) - 오른삐침 약(掠) 탁(啄..
2012.03.15 -
[스크랩] 백수도에 이어 백복도 체본 완성
지금으로 부터 1248년 전,서기 763년 9월 9일 중양절에 당나라 이양빙이 쓴 전서 <백수백복도百壽百福圖> 탁본을 입수하여,우선 <목숨 수壽자 100자- 백수도>체본을 완성한 데 이어 드디어 <복 복福자 100자-백복도> 체본을 완성했다. 앞으로 이 체본들을 열심히 임서하여 훌륭한 ..
2012.03.15 -
[스크랩] 해서-44결구법 해설(1)
44-1. 상개하법 2. 하재상법 44-3, 상하상등법 4. 상관하착법 44-5. 상착하관법 6. 상평법 44-7. 하평법 8. 상중하상등법 44-9. 상중하부등법 10. 좌우상등법 44-11. 좌착우관법 12.양좌법 44-13. 양우법 14. 좌중우상등법 44-15. 좌중유부등법 16. 승상법 44-17. 개하법 18. 중대법 44-19. 정대법 20. 전포위법 44-2..
2012.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