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일반(204)
-
삼대명필 - 조선시대
석봉(石峰) 한호(韓濩), 봉래(蓬萊) 양사언(楊士彦),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를 일컫는다. 한석봉은 개성 출생으로, 왕희지(王羲之)·안진경(顔眞卿)의 필법을 익혀 해(楷)·행(行)·초(草) 등 각 서체에 모두 뛰어났다. 1567년(명종 22) 진사시에 합격하고, 가평군수를 거쳐 1604년(선조 37) ..
2018.05.11 -
완당전집(阮堂全集) 제8권-잡지
완당전집(阮堂全集) 제8권-잡지 예리하고 가지런하고 건강하고 둥근 것은 필의 네 가지 덕이다. 난곡(蘭谷)의 서법은 너무도 해숭위(海嵩尉)의 필의(筆意)를 지녔으니 어찌 그 연원이었던가? 창울(蒼鬱)하고 돈좌(頓挫)하여 속본(俗本)과는 매우 틀린다. 필은 봉(鋒)이 가지런하고 허리가 강..
2018.03.15 -
金翅鳥 & 萬毫齊力
금시조 ★. 4327년에 산, 이문열의 금시조를 다시 읽어보았다. 실존 인물을 한 자씩 바꾸어서 소설의 이름으로 사용하였다는 말을 듣고 내 나름대로 대치시켜보았다. 주인공인 고죽은 죽농 서동균 고죽의 선생인 석담은 석재 서병오 고죽의 문하생인 초헌 김군은 소헌 김만호 고죽의 여제..
2018.03.14 -
[스크랩] 내가 읽은 서예 이론 책들
내가 읽은 서예 이론 책들 ★. 내가 글씨를 처음 쓸 때에는 이론책이 있는 줄도 모르고 썼다. 선생님이 시키는대로 쓰면 되는 줄 알았다. 그러다가 네 번째의 서실에서 서산선생님을 만나면서 지금까지의 글씨 쓰는 법과는 전혀 다른 방법이어서 의문을 가지고 글씨도 쓰지않고 있을 때 ..
2018.03.14 -
[스크랩] 孫過庭(손과정)書譜(서보)의 감상과 해석
孫過庭(손과정)書譜(서보)의 감상| 해서.행서.초서 古方 | 조회 70 |추천 0 | 2015.02.23. 11:29 書譜卷上。 吳郡孫過庭撰 第一篇 夫自古之善書者。漢魏有鍾 張之絕。晉末稱二王之妙。王 羲之云。「頃尋諸名書。鍾張信為 絕倫。其餘不足觀。」可謂鍾張 ■■■■■■■■■云沒..
2017.11.27 -
[스크랩] 손과정 孫過庭의 서보 書譜에 대하여
[스크랩] 손과정의 서보에 대하여| 서예이론 및 한문 원전 자료실 中齋(중재) | 조회 95 |추천 0 | 2016.04.25. 00:17 .bbs_contents p{margin:0px;} 손과정 孫過庭의 서보 書譜에 대하여 Ⅰ. 서 론 노신(魯迅)은 <학문학사강요(學文學史綱要)>에서 말이란 풍파와 같다. 출렁거리던 파도소리가 오래 지..
2017.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