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가(122)
-
[스크랩] (스크랩)剛菴 宋成鏞 글씨
剛菴 宋成鏞 서예 작품 강암(剛菴) 송성용(宋成鏞·1913~1999) 강암 선생은 1913년 전북 김제시 백산면에서 유재 송기면 선생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 5 세부터 한학과 서예를 익히고 16 세 때부터 창작활동 ☆ 일제 단발령에 항거하고 보발(保髮)과 한복을 고집, 창씨개명 거부 ☆ 서예 5 ..
2018.06.25 -
[스크랩] (스크랩)素田 孫在馨 글씨와 그림
素田 孫在馨 글씨와 그림 素田 孫在馨(1903~1981) 추사 이래 우리나라 서예계 대가로 추앙을 받고 있으며앞으로 1세기 안에 나타나기 힘든 서예가라고 한다. 1903년 전남 珍島 출생1924년 제3회 조선미술전람회 예서《顔氏家訓》로 입선 1925년 양정고보 졸업 (양정고보 9회) 1929년 외국어학원 ..
2018.06.25 -
[스크랩] (스크랩) 위창(葦滄) 오세창 글씨
위창(葦滄) 오세창 글씨 葦 滄 年 譜 1864 (1세): 서울 이동에서 출생 1865 (2세): 부친 吳慶錫 義州監稅官에 부임 1865 (3세): 부친 賚咨官으로 北京행. 귀국후 병인양요 기록. 1868 (5세): 부친 뢰자관으로 북경행 1869 (6세): 부친 譯官으로 북경행. 正3品 通政大夫에 오름. 1871 (8세): 부친 家塾을 설..
2018.06.25 -
[스크랩] 강암(剛岩) 송성용(宋成鏞: 1913~1999) 서화 감상
강암(剛岩) 송성용(宋成鏞: 1913~1999)은 전북 김제에서 송기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썼으나 부친이 서예가보다 학자가 되라는 권유로 공모전에 출품을 하지 않다가 부친께서 돌아가신 후에 처음으로 국전에 45세 나이로 출품하여 연속해서 입선, 특선, 문공부장관상 ..
2018.06.25 -
[스크랩] 우산 송하경님의 작품 감상
출처 : 우리문화글쓴이 : 우리얼 원글보기메모 :
2018.06.25 -
[스크랩] 석전(황욱)
악필법(握筆法)의 대가: 석전 황욱(石田 黃旭)선생 석전선생 ‘봉저난상’ -봉새와 난새가 날아 오르듯이 활기차게 살라.- 오랜만에 지리산 화엄사에 갔다가 ‘지리산 대화엄사(智異山大華嚴寺)’라는 편액을 보고 한참을 바라다 본 적이 있다. 곧고 힘찬 글씨를 보고 석전 황욱(石田 黃..
2018.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