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가(122)
-
[스크랩] (스크랩) 栗山 李洪宰의 글씨 2
栗山 李洪宰의 글씨 2
2018.06.25 -
[스크랩] (스크랩) 栗山 李洪宰의 글씨 1
栗山 李洪宰의 글씨 1
2018.06.25 -
[스크랩] (스크랩) 秋史 金正喜 글씨(2)
秋史 金正喜 글씨(2) 호고유시수단갈(好古有時搜斷碣) 연경루일파음시(硏經婁日罷吟詩) 옛것 좋아서 때로 깨어진 비갈(碑碣)을 찾고, 경전 연구 여러 날에 끝내면 시를 읊는다. 석파 선생(흥선대원군)에게 보이기 위해 쓴다. 삼연노인(三硯老人)
2018.06.25 -
[스크랩] (스크랩) 秋史 金正喜 글씨(1)
秋史 金正喜 글씨 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정조 10)∼1856(철종 7). 조선 말기의 문신·실학자·서화가. 조선후기 학자·서화가·금석학자(金石學者). 자는 원춘(元春), 호는 추사(秋史)·완당(阮堂)·예당(禮堂). 본관은 경주(慶州). 충청남도 예산(禮山) 출생.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 박..
2018.06.25 -
[스크랩] (스크랩)一中 金忠顯 글씨
一中 金忠顯 선생의 서예작품 一中 金忠顯 약력 김충현(金忠顯, 1921년 4월 2일 ~ 2006년 11월 19일) 대한민국의 서예가이다. 호는 ‘일중(一中)’이며, 서울 출신이다. 一中은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이 기승을 부리던 1942년 21살의 나이로 한글고체(國文)를 만들고 ‘우리 글씨 쓰는 법’을 ..
2018.06.25 -
[스크랩] (스크랩)如初 金膺顯 글씨
여초 김응현(如初 金膺顯) 서예작품 여초 김응현(如初 金膺顯 1927~2007.2.1.) 서울 출생. 호는 여초(如初)·완여(頑如)·완도인(頑道人).경안재(景顔齋).무외헌(無外軒).벽산려(碧山廬). 1951년 고려대학교 졸업. 1974년 중국 국립고궁박물원 초청 방화단장, 1975년 국전 초대작가. 1976년 현대화랑 ..
2018.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