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가(122)
-
유석암
석암 유용(劉墉)의 작품을 북경 수도박물관에서 발견했으나 조명이 어둡고 시간적 여유가 없어 설명을 살필 수 없었습니다. 유용은 우리나라 조선 후기 문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준 서예가로 청나라 중기 강희 58년(1719) ~ 가경 9년(1804)까지 정치가이자 서예가로 활동한 문인입니다. 字는 ..
2012.06.07 -
이광사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 1705~1777)가 쓴 글씨 한호(韓濩, 1548~1605) 후 조선 후기 서예의 조선화에 마침표를 찍은 인물로 평가되는 이광사의 행서(行書)이다. 이광사의 호는 원교(圓嶠), 수북(壽北)이고, 자는 도보(道甫)이다. 아래 작품은 이광사가 어떤 그림을 본 후 중국의 고개지(顧愷之)..
2012.06.07 -
모수명
정월초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에서 호남의 명필 창암 이삼만 물처럼 바람처럼전을 다녀왔습니다. 그중 이삼만 선생의 제자인 모수명의 작품이 있어 살펴 보았습니다. 큰 大字書로 영정(寧靜)을 써 바로 눈에 띄었습니다. 해설에 의하면 이말은중국 삼국시대 제갈량이 말한 담박명지 영..
2012.06.07 -
우우임
우우임(于右任 1879~1964)은 중화민국의 언론인으로 《신주일보》, 《민호보》, 《민우보》, 《민리보》를 차례로 발행하여 청조를 비판, 혁명사상을 고취하였다. 국민당의 중앙집행위원으로 활동하였고 쑨원(孫文)이 죽자 당내 우파의 지도자로 활약하며 1928년 국민당 요직을 겸임하고, 19..
2012.06.07 -
선우추
중국 북경 수도박물관 3층 전시실에서 만난 선우추의 작품입니다 선우추(鮮于樞, 1256~1301)는 중국 원대(元代)의 문인. 어양(漁陽 하북성 계현) 출신. 자는 백기(伯機), 호는 곤학산민(困學山民), 지방관을 역임하여 강소행서도사의 관을 지냈고 만년에는 태상사전부(太常寺典簿)가 되었다. ..
2012.06.07 -
조맹부와관도승
글씨의 대가로 널리 알려진 조맹부(趙孟頫)는 부부가 낚시를 좋아하였다. 그들의 고향은 호주(湖州) 오흥(吳興)(지금의 절강성 오흥)사람으로, 주변에 강과 호수가 많아 자연히 낚시를 하며 자랐을 것이다. 조맹부(1254∼1322)는 자가 자앙(子昻), 호가 송설(松雪), 별호가 구파(鷗波) 수정..
2012.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