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가(122)
-
[스크랩] 안진경(顔眞卿)의 天下第二行書
행서묵적(行書墨迹). 안진경(顔眞卿)의 작품. 세로 28.2센티미터, 가로 72.3센티미터. 25행, 230자. 이 첩본은 안진경이 자기의 조카를 위해서 쓴 하나의 제문의 초고이다. 그의 조카인 안계명(安季明)은 안록산의 반군에 의하여 피살당하였다. 이 작품은 원래 서법작품으로 쓴 것이 아니다. 극..
2012.09.05 -
[스크랩] 왕희지의 天下第一行書
동진 영화 9년(기원353년) 3월 3일, 왕희지는 산음(山陰)에 거주하는 일부 문사들과 함께 난정으로 가서 수계(修禊)를 거행했다. 참가한 사람들은 흥이 일어 많은 시편을 썼다. <<난정서>>는 바로 왕희지가 이 시집을 위하여 쓴 서문의 원고이다. 서문은 당시 남방사족계층이 신..
2012.09.05 -
[스크랩] 난정서(蘭亭序)에 대한 새로운 해석
<<난정서>> (당. 풍승소 모본, 신룡본, 북경고궁박물원 소장) <<난정서>> (원. 조맹부 모본) <<난정서>> (송. 인종 조정 모본) <<난정서>> (수. 개황 모본) <<난정서>>(청. 강희 모본) <<난정서. 현대. 모택동 글씨) <<난정서>> (청. 정판교 모..
2012.09.05 -
[스크랩] 삼희당(三希堂)
역사상 삼희당(三希堂)은 자금성 양심전(養心殿)내에 있었다. 삼희당(三希堂)이라고 이름을 붙인 이유는.. 건륭(乾隆)이 삼희(三希), 세 가지 희귀한 물건)라고 불렀던 왕희지의 <<쾌설시청첩(快雪時晴帖)>>, 왕헌지의 <<중추첩(中秋帖)>>, 왕순의 <<백원첩(伯遠帖)>>..
2012.09.05 -
[스크랩] 왕희지(王羲之) 쾌설시청첩(快雪時晴帖)
진(晉) 왕희지(王羲之, ca. 303-361) 쾌설시청첩(快雪時晴帖) 서첩(書帖), 종이에 먹가로 23 cm 세로 14.8 cm 왕희지(王羲之)(약 303~361),원적은 산동(山東)으로 명문 세가에서 태어나 서진(西晉) 말 부친을 따라 남으로 내려가 우군장군(右軍將軍) 및 회계(會稽, 절강성 소흥(浙江省 紹興))의 ..
2012.09.05 -
[스크랩] 왕탁(王鐸)초서(草書)
청(淸) 왕탁(王鐸, 1592-1652) 초서(草書) 서첩(書帖) (제 3, 5, 6, 7쪽), 종이에 먹, 각각 28.3 x 36 cm 왕탁의 자는 각사(覺斯), 호는 숭초(嵩樵), 십초(十樵), 치선도인(癡僊道人)으로 하남성 맹진(孟津)사람이다. 천계(天啓)2년 진사(進士)에 급제하였고 청나라가 들어선 후 예부상서(禮部尙書)가 되..
2012.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