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가(122)
-
[스크랩] 범중엄의 악양루기(岳陽樓記)
범중엄의 악양루기(岳陽樓記) 동기창 선생의 글씨
2012.09.05 -
[스크랩] 해강첩(海岡帖)
해강첩(海岡帖) 1917년 발간한 목판본 해강첩이다. 해강 김규진(海岡 金圭鎭1868-1933)은.. 조선 말기의 서화가로 일찍이 청국(淸國)에 유학하였으며 예(隸), 행서(行書) 등 각 서체에 능하였고, 그림은 산수, 화훼(花卉), 인물 등 그 소재가 다양하였다. 특히 난(蘭)과 죽(竹)을 잘하였다. 또한 ..
2012.09.05 -
[스크랩] 원교 서결(員嶠書訣)
원교 서결(員嶠書訣) 조선 후기의 양명학자이며 서예가인 원교(員嶠) 이광사(李匡師1705~1777)의 서체 이론서이다. 이광사는 1755년(영조 31) 나주벽서사건(羅州壁書事件)으로 큰아버지 진유(眞儒)가 처벌될 때 이에 연좌되어 회령(會寧)에 유배되었으나 많은 문인들이 그의 학문을 흠모하여 ..
2012.09.05 -
[스크랩] 숙종대왕 어필(肅宗大王御筆)
숙종대왕 어필(肅宗大王御筆) 조선 제19대 왕인 숙종의 어필(御筆) 탁본이다. 목판본 초서 대자(大字)로 매우 활달하고 웅혼한 맛을 느끼게하는 서체이다. 16폭 중 처음 8폭은 어제칠언시(御製七言詩)의 해서이며, 후자의 첫 폭에 「肅宗大王御筆」의 표시가 있는데 이「宸章」印에 의하여 ..
2012.09.05 -
[스크랩] 대보잠 [大寶箴]
대보잠 [大寶箴] 당나라 문신 장온고(張蘊古)가 천자(天子)를 위하여 지은 글이다. 대보(大寶)는 천자의 자리를 말한다. '잠'은 한문체의 하나로 풍자하고 훈계하는 내용의 글이다. 태종 즉위 초에 장온고는 중서성(中書省) 관리였는데, 이 잠서(箴書)를 만들어 황제에게 바쳐, 천자의 자리..
2012.09.05 -
[스크랩] 추사 김정희(金正喜)의 산숭해심(山崇海深) 현판 및 탁본
추사 김정희(金正喜)의 산숭해심(山崇海深) 현판 및 탁본 이 현판은 추사 김정희 선생의 복각 현판 글씨로 "산은 높고 물은 깊다."는 의취만큼 그의 높은 정신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서체이다. 김정희(金正喜1786∼1856)는 조선말기의 문신 실학자이며 서화가로, 본관은 경주. 자는 원춘(元春) ..
2012.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