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학 단어 어휘

2022. 10. 14. 10:27간찰용어

-  하 -

하 蝦 새우 하.

하 瑕 : 붉은 옥 하. 紅玉. 옥의 티 하.

하갈 夏葛 : 여름에 葛布로 만든 옷을 입음. [韓愈 原道] ‘夏葛而冬裘 渴飮而饑食’

하갑 夏甲 : 夏의 임금 孔甲.

하강 夏康 : 夏의 임금 太康.

하거 何遽 : 何詎. 河渠. 왜. 어찌하여. 의문 또는 反語辭.

하걸 夏桀 : 夏 孔甲의 曾孫. 이름은 履癸. 暴君의 典型. 夏癸. 夏桀 死於歷陽山(歷山). 安徽 和縣西北 歷山 亦名亭山.

하경명 何景明 : 1483-1521 明代 詩人 字 仲黙 古文을 잘하여 李蒙陽과 함께 復古學을 제창함. [大復集].

하계 夏啓 : 夏禹氏의 아들. 姓은 姒. 禹임금이 王位를 伯益에게 물려 주었으나, 伯益이 讓位하고 箕山에 隱遁하였으므로 9년 동안 왕위에 있었음.

하고 河鼓 : 별 이름. 牛宿에 속하며 牽牛星 북쪽에 있음. 일설에는 牽牛星을 말함.

하과 夏課 : 1. 唐代 科擧에 떨어진 受驗生이 서울에서 여름을 보내며 공부하던 일. 또는 그 때 지은 詩文. 科擧 공부를 凡稱하기도 함. 2. 고려 때 글을 배우는 사람이 여름에 절이나 山水가 좋은 곳에서 약 50일 동안 공부하던 일.

하광신 夏光臣 : 高麗 明宗朝 吏部侍郞. 天性이 至孝하여 母喪에 廬墓 泣血三年하였으므로, 旌閭하고 命復戶하였는데, 旌閭는 大邱 晩村洞에 있다.

하귀락 夏龜洛 : 字 洛元 號 景菴 哲宗 壬戌(1862)生.

하근 下根 : 佛家에서 根氣가 劣等하여 佛道를 修行할 힘이 약한 사람을 말함. 下機.

하남삼절 河南三絶 : (安東臨河) 松亭 맞은편 江上에 奇巖絶壁이 높이 서 있고 그 중허리에 特筆大書로 河南三絶이라고 쓰여 있다. 이것은 世人들이 陶淵一帶를 칭송하여 洛江 남쪽의 偉容과 絶壁을 말하는 것인데 ‘瓢隱高風’瓢隱公 風範과 偉容, ‘落淵懸流’陶淵瀑布의 물달리 흐르는 壯觀, ‘仙遊層壁’仙遊亭을 둘러싼 奇巖層壁을 皆稱하여 三絶江山이란 뜻이다. 이 글씨는 英祖 42년 丙戌(1766) 九思堂 金樂行 芝谷 金正漢 金始亨 三公 在歲時에 刻石한 것이다.

하내 何奈 : 1. 어찌하겠는가. 2. 어떻게도 할 수 없음. [韓愈 感春詩] ‘孤負平生心 已矣知何奈’

하내 何乃 : 1. 어찌하여. 무슨 까닭으로. 2. 하물며. 더군다나.

하님 : 계집 下人을 대접하여 부르는 말. 下典.

하님여령 하님女伶 : 呈才 때에 儀仗을 드는 자비. 각 宮의 婢子를 시킴.

하달 下達 : 1. 윗사람의 뜻을 아랫사람에게 잘 이해시키는 일. 2. 財利를 밝힘. [論語 憲問] ‘君子上達 小人下達’ 3. 中媒人을 통해 여자 집에 婚姻을 申請하는 일. [儀禮 士昏禮] ‘下達納采用雁’ 4. 사삿일로서 임금에게 아뢰는 일. [禮記 表記] ‘事君不下達’

하당 下堂 : 1. 방이나 大廳에서 뜰로 내려오는 일. [禮記 郊特牲] ‘覲禮 天子不下堂而見諸侯’ 2. 아내가 남편으로부터 버림을 받거나 離婚을 당함. [後漢書 20 宋弘傳] ‘糟糠之妻 不下堂’

하도 많아셔 : 너무 많아서. 하도 바빠서. 하도 아파서.

하도 河圖 : 伏犧氏 때 黃河에서 나왔다는 龍馬(높이가 八尺 이상 되는 말)의 등에 나타난 圖形. 易卦의 原理가 되었음. [周易 繫辭] ‘河出圖 洛出書 聖人則之’.

하람 下覽 : (임금이 아랫 사람에게) ‘보게 한다면’의 뜻인 듯함. [正祖實錄 卷二 二年二月壬子(21)] ‘若蒙下覽 則可以一見決矣’[國編 朝鮮王朝實錄 45 正祖實錄 卷五 11面 下左]

하력 夏曆 : 夏代에 사용한 曆法으로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기간을 한 달로 하고 , 12개월 또는 13개월을 1년으로 한 陰曆.

하련단 下輦壇 : 下輦所. 下輦臺. 成均館 中石橋 건너 蕩平碑閣과 食堂 중간에 위치해 있으며, 임금이 輦을 멈추고 내리는 곳이다, [閔鍾顯 撰 太學志 泮宮圖] [肅宗實錄 25 19.8.壬午(11)] ‘上詣文廟 行爵獻禮 殿座明倫堂 試儒生 出御下輦臺 試武士 賜文科李寅炳 等七人及第’(한국고전용어사전 5-589)

하로 煆爐 : 煆 불사를 하. 굽다. 불기운세찰 하. 鎔鑛爐. 대장간.

하로동선 夏爐冬扇 : 여름에 火爐를, 겨울에 부채를 바침. 하는 일이 때에 맞지 않음. [論衡 逢遇] ‘作無益之能 納無補之說 以夏進爐 以冬奏扇’

하로자습 夏爐炙濕 : 여름 화로는 습기를 말리는데 쓰임. 여러 사물은 제각기 때에 따라 그 용도를 달리 함. [論衡 逢遇] ‘夏時爐以炙濕 冬時扇以翣火 世可希 主不可淮也’翣 부채 삽. 淮 모일 회,

하맹 遐氓 : 먼 邊方에 사는 백성.

하목정 霞鶩亭 : 達城 河濱 霞山里 所在. 洛浦 李宗文이 1604년경 처음 지었고, 그 아들 水月堂 李之英이 仁祖의 명으로 婦椽을 달기 위하여 重修하였다. 뒤로 九峯山의 기이한 봉우리들이 솟아 내려 왔고, 落東江이 북에서 南으로 흘러내려 다시 그 동으로 틀어 돌아 동쪽에 깊은 沼를 이룬 것을 東湖라하며, 옆으로 兄弟巖들의 石壁, 앞으로 十里明沙, 그리고 멀리 衛抱하는 金烏山 伽倻山 琵瑟山이 있어 爽快하고 雄渾한 風景이 國內 第一이다.

하빈 河濱 : 黃河의 근처. [管子 叛法解] ‘陶河濱 漁雷澤’

하사 嘏辭 : 제사 지낼 때 祝이 제사를 받는 祖上을 대신하여 주인에게 전하는 祝福의 말. [禮記 禮運] ‘修其祝嘏 以降上神’ 註, 祝祝爲主人 饗神辭也 嘏祝爲尸 致福於主人之辭也.

하사 嘏辭 : 嘏 복 하. 嘏辭하. 祭祀 지낼 때 祝이 祭祀를 받는 祖上을 대신하여 主人에게 전하는 祝福의 말. [禮記 禮運] ‘脩其祝嘏 以降上神’ 注 祝 祝爲主人 饗神辭也 嘏 祝爲尸 致福於主人之辭也.

하사 下賜 : 임금이 臣下나 아랫사람에게 물건을 줄 때만 쓰는 말이다.

하삭 河朔 : 黃河 以北地方. [書 泰誓中] ‘惟戊午 王次于河朔’

하상지 何尙之 : 南朝 宋人 字 彦德 諡號 簡穆. 벼슬은 尙書令 開府儀 同三司. 節操와 諫爭으로 有名. [南史 列傳]

하서 夏書 : 書經에 실려 있는 夏禹氏에 관한 기록. 禹貢 甘誓 五子之歌 胤征 등 四篇.

하선동력 夏扇冬曆 : 여름에 부채를, 겨울에 새해 달력을 선물함. 곧 철에 맞는 선물을 함.

하소정 夏小正 : 大戴禮記 篇名으로, 夏王朝 시대의 曆을 말하는데, 지금의 曆과는 달리 일종의 農事曆으로, 계절에 따른 농사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기록한 것이다. 紀每月之物候 大戴禮記 篇名. 隋書經籍志於大戴禮記中 別出夏小正一卷 自是始有夏小正之別本.

하수 下壽 : 60歲. <朗慧和尙碑銘>

하수오 何首烏 : 새박덩굴. 약재로 씀.

하승천 何承天 : 370-447 南朝 宋의 曆學者로 443년에 元嘉曆을 만듦.

하시저 下匙箸 : 祭祀 때 밥그릇에 꽂았던 숫가락을 제자리에 내려놓는 것.

하액 霞液 : 露珠也 <吳筠游仙詩> ‘霞液朝可飮 虹芝晩堪食’

하우불이 下愚不移 : 몹시 어리석은 사람의 氣質은 변하지 않는다는 말. [論語 陽貨] ‘唯上知與下愚不移’ 註 ‘上知不可使爲惡 下愚不可使强賢’

하위지 河緯地 : 禑王 13년(1387) - 世祖 2년(1456) 字 天章 號 丹溪 晉州人 副提學 禮曹判書 死六臣의 한 사람. 文章家로 이름. 諡號 忠烈.

하육 夏育 : 周代 衛의 勇士로 힘이 세어 千鈞이나 되는 무거운 것을 들어 올렸다고 함.

하이 何以 : 1. 무엇으로. 어떻게. [孟子 梁惠王 上] ‘何以利吾國乎’ 2. 어째서. 왜. [論語 季氏] ‘是社稷之臣也 何以伐爲’ 3. 차이가 없음. 또는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말.

하이자 夏二子 : 모기와 파리.

하일가외 夏日可畏 : 한여름의 뜨거운 햇볕. 몹씨 꺼림의 비유. 사람됨이 엄격하여 친근하기 어려움의 비유. [庾信 小園賦] ‘非夏日而可畏 異秋天而可悲’

하전 下典 : 上典의 對稱. 奴隸.

하전 下典 : 하님.

하정 夏正 : 謂夏時之正月也. [史記 曆書] 夏正以正月 殷正以十二月 周正以十一月 按後世 惟秦以夏十月爲正月 漢初仍之 自武帝時 卽改用夏正 歷代因之 至民國改用陽曆 其制始廢.

하정 夏鼎 : 夏禹氏가 九州의 쇠를 모아 만들었다는 솥. 禹鼎. [宋書 60 范泰傳] ‘夏鼎負圖 實冠衆瑞’

하정익 夏正益 : 字 乃謙 號 追慕齋 正祖 18년 甲寅(1794)生이며, 居喪三年에 未嘗見齒하였으므로 哲宗 때 道臣이 薦聞하여 贈朝奉大夫 童蒙敎官을 하였다.

하종 夏宗 : 諸侯가 여름에 天子를 뵙는 것. [周禮 秋官 大行人] ‘夏宗以陳天下之謨’ 注 夏見諸侯 則謀其事之是非.

하초 下焦 : 三焦의 하나이며, 배꼽 아래 부분 大腸 膀胱 등의 臟器를 포괄한다.

하청후 夏淸侯 : 대자리의 딴 이름. 南朝 李從謙이 命名.

하학 下學 : 人情이나 事理 등의 基本 常識을 배움. [論語 憲問] ‘不怨天 不尤人 下學而上達’

하허인 何許人 : 어떠한 사람. 어느 곳 사람. [陶潛 五柳先生傳]

하형 下衡 : 머리를 허리 아래로 수그림. [荀子 大略] ‘下衡曰稽首’

하호 何怙 : 누구를 믿을 것이냐의 뜻으로 아버지의 喪을 가리Zl는 말. [詩 小雅 蓼莪] ‘無父何怙 無母何恃’

하회 下回 : 1. 다음 차례. 次回. 2.윗 사람이 내리는 回答.

하황공 夏黃公 : 漢初의 隱士. 商山四皓의 한 사람. 姓名은 崔廣 字는 少通 夏里에 隱居하였음.

하후승 夏侯勝 ; 漢代 學者 字 長公 夏侯始昌에게 今文尙書를 배우고 簡卿과 歐陽生에게도 배웠으며, 博士로 임명되었고 [論語說] [尙書說]을 찬함.

하휴 何休 : 129-182 後漢 任城人 字 邵公 董仲舒의 四傳 弟子로 六經을 깊이 硏究하였으며, 17년간에 걸쳐 [春秋公羊解詁]를 지었음. 公羊傳을 찬양하고 左傳과 穀梁傳을 反駁하여 [公羊墨守] [左氏膏肓] [穀梁廢疾] 등을 지음. [後漢書 권 109 下]

하흠 始祖 夏欽 : 송나라 大都督을 역임하고 高麗 仁宗 때 우리 나라에 歸化하여 大邱에 정착하였는데, 아들 夏溶이 공을 세워 達城君에 封했다.

학 學 : 學問 학. 배우는 內容. 體系化 된 知識. [論語 述而] ‘德之不修 學之不講 聞義不能徙 不善不能改 是吾憂也’ 註 學必講而後明.

학고 學古 : 옛 사람의 가르침을 배움. [書 周官] ‘學古入官’

학구 鷽鳩 산비둘기 학. 비둘기 구. 산비둘기. 小人의 비유.

학구소대붕 鷽鳩笑大鵬 : 산비둘기가 鵬새를 비웃음. 小人이 偉人의 行爲를 비웃음.

학당 學堂 : 고려 元宗 2. 1261. 동, 서 두 學堂 설치, 別監을 둠. 그 후 開京에 五部學堂으로 정비. 조선 때 동 서 중 남 북의 5부로 나누어 학교를 세움. 태종 11. 1411. 남부학당을 세운 후 모두 건물을 마련. 북부학당은 끝내 세우지 못하고 폐지되어 四部學堂만이 존속. 敎授 2명 訓導 2명 인원 100명.

학록 學錄 : 高麗時代 國子監 正九品 벼슬. 成均館의 正九品.

학문 學問 : 1. 모르는 것을 배우고 의심나는 것을 물음. 곧 학예를 배워 익힘. [易 乾卦]‘君子學以聚之 問以辨之 寬以居之 仁以行之’2. 배워서 익힌 것. 學識.

학문 學門 : 학교의 문. [後漢書 79 儒林傳] ‘樹之學門 使天下咸取則焉’

학문사변 學問思辨 : 儒家의 修養方法. 널리 배우고, 자세히 묻고, 삼가 생각하고, 밝게 구별하는 일. 곧 博學 審問 愼思 明辨. [愼思錄 1] ‘學問思辨之功 所以不可闕也’

학보한단 學步邯鄲 : 남의 행위를 盲目的으로 模倣하려다가 도리어 자기 고유의 기능마저 잃게 됨의 비유. 邯鄲之步. 燕의 소년이 邯鄲의 步行法을 배우려다가 자기 고유의 步行法도 잊어버렸다는 故事.

학사승지 學士承旨 : 高麗時代 翰林院의 正三品 벼슬.

학생 學生 : 生前에 벼슬을 하지 않고 죽은 사람을 그 銘旌이나 神主 또는 紙榜에서 높여 말하는 것.

학생부군 學生府君 : 벼슬 못한 故人의 銘旌이나 神主에 쓰는 존칭.

학서 鶴書 : 書體의 이름으로 賢士를 招聘하는 詔書에 썼으므로 賢士를 招聘하는 詔書를 말함. [孔稚珪 北山移文] ‘及其鳴騶入谷 鶴書富農’

학식 學殖 : 學問을 쌓아 높은 境地로 올라감. 學問 學業 따위의 凡稱. [左傳 召公 18] ‘夫學殖也 不殖將落’ <殖 불어날 식, 成長.>

학여불급 學如不及 : 學問은, 달아나는 자를 뒤쫓아도 뒤따르지 못함과 같이해야 함. 곧 잠시라도 게을리 해서는 안됨의 비유. [論語 泰伯] ‘子曰 學如不及 猶恐失之’

학여천정 學如穿井 : 學問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음. 하면 할수록 더욱더 어려워짐의 비유. [雲笈七籤] ‘學道當如穿井 井愈深 土愈難出’

학유 學諭 : 高麗時代 國子監 從九品 벼슬. 成均館의 從九品.

학자삼다 學者三多 : 學者의 세 가지 要件 곧, 讀書를 많이 할 것, 持論이 많아야 할 것, 著述이 많아야 할 것. [小學紺珠 藝文類] ‘看讀多 持論多 著述多 楊文莊公言 學者當取三多’

학전 學田 : 學位田. 高麗 朝鮮 때 儒學을 가르치던 각 敎育機關의 經費에 充當하기 위하여 지급한 土地.

학정 學正 : 高麗時代 國子監 正九品 벼슬. 成均館의 正八品

학조 學曹 : 國子監의 딴 이름. [張籍 詩] ‘遠封來寄學曹人’

학조 鶴弔 : 弔喪함. 陶侃의 母親喪에 온 問喪客 두 사람이 학이 되어 하늘로 날아올라갔다는 전설에서 유래.

학족삼여 學足三餘 : 學問을 하는데 있어서 겨울철과 밤과 비오는 날의 세 餘暇 시간을 活用하면 充分하다는 것.

학창 學窓 : 學校. 학문을 닦는 곳.

학창의 鶴氅衣 : 옛날 웃옷의 일종. 흰 빛깔의 창의에 검은 천으로 테두리를 넓게 둘렀음.

학채 學債 : 글방 선생에게 보수로 주는 穀食. 講米.

학해 學海 : 1. 學問의 世界가 깊고 넓음의 비유. 2. 강물이 쉬지 않고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것과 같이, 사람도 꾸준히 배워야 함의 비유. [法言 學行] ‘百川學海而至于海’

'간찰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형 단어 어휘  (1) 2022.10.14
한~항 단어 어휘  (0) 2022.10.14
ㅍ 단어 어휘  (1) 2022.10.14
ㅋ,ㅌ 단어 어휘  (1) 2022.10.14
合下  (2) 2022.10.14